China (Korean)

백거이(白居易) - 야설(夜雪)

-

글ㅣ임명신( 한국 )

已訝衾枕冷 複見窗戶明 夜深知雪重 時聞折竹聲 다.‘한(寒)’자가 아닌다른시어로눈의또­다른특징을표현했다. 이 구절은 주제에 부합된다.‘이부자리가 차갑다’고 느낀 것은 밤이 되어 시인이 이불을 덮고 누웠음을 설명함으로써‘밤눈’이라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복견창호명’은 시각적인 측면에서 밤눈을 한층 깊이 쓴 것이다. 밤이 깊었는데 창문밖이 밝다는 것은 눈이 많이 내려 쌓인 눈에 달빛이 반사돼 환하게 비췄다는 것이다. 이렇게 사람과 주변을 묘사했지만 실은모두밤눈에관한 것이다.

후반 두 구절인‘야심지설중, 시문절죽성’도 주변을 묘사했지만 청각으로 각도를 바꿔 써내려갔다. 쌓인 눈에 대나무가지가 부러지는 소리를 듣고눈이 내리는 기세가 강하다는 것을알수 있다. 시인은 일부러‘절죽(折竹)’이라는 시어를선택함으로써‘중(重)’자를 쓰지않고도의미를 표현했다.‘대나무가지 부러지는 소리’가‘한밤중’에‘이따금 들린다’고 표현함으로써 겨울밤의 고요함을 나타냈다. 더 중요한 것은 깊은 밤잠못 이루는 시인을 묘사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그저‘이부자리가 차가운’것이 아니라 강주로 좌천된 시인의 고독한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시인이 자신의 독특한 느낌을 실감나게 써내려갔기 때문에 <야설>에 함축적 의미와 독특한 풍격이 더해졌다.

이시가 참신하고 독특한 이유는 첫째 착상이 속되지 않다는 것에 있다. 눈을 노래한 시 중 밤눈을 쓴 것은 많지 않다.이는 눈의 특징과 관계가 있다. 눈은 소리와 냄새가 없어 그저색깔, 형태, 모습을 보고 분별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런데 깊은밤 인간의 시각은 그 역할을 전혀 하지 못해 자연히 눈의 형태를 포착할 수가 없다. 시인은 바로 이 특수한 상황에서 출발해주변을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촉각(냉(冷)), 시각(명(明)), 감각(지(知)), 청각(문(聞))의 네 가지 층위를 차례로 서술함으로써느낌을 확장시켰다. 이로써 밤눈을 생동감있게 그려낸 것이다. 이 시는 색감을 형상화하거나 모습을 묘사하지 않아 처음볼 때는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찬찬히 음미해보면 묵직하면서도 고풍스럽고, 참신하면서도 우아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이 시는 소박하면서 자연스럽고, 평이해 시인의 쉽고 막힘 없는언어의특징을잘 보여준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