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Korean)

이중원(李重元) —‘왕손을 그리며(憶王孫)’ 중 여름 ( 夏詞 )

글ㅣ임명신( 한국 )

-

風蒲獵獵小池塘,過雨荷花滿院香,沈李浮瓜冰雪凉。竹方床,針線慵拈午夢長。Fēngpú lièliè xiǎochítán­g, guòyǔ héhuā mǎnyuànxiā­ng, chénlǐfúgu­ā bīngxuěliá­ng. Zhúfāngchu­áng, zhēnxiàn yōngniān wǔmèng cháng

풍포렵렵소지당, 과우하화만원향, 침리부과빙설량.죽방상, 침선용점오몽장

창포가 바람결에 하늘대는 작은 연못,비갠뒤온 뜰에 가득한연꽃 향내,우물속에던져놓은과일­들얼음처럼 시원하구나.대나무 평상에 눕자니, 바느질엔 게으름이 나고 한낮의 단꿈은 길어지네.

연작 <왕손을 그리며-봄 여름 가을 겨울> 가운데‘여름’편으로 잠시 더위를 잊어보자.‘왕손’이란‘고운 님’을 뜻한다. 원래‘왕족 귀족의 자제’를 의미했지만 차차 이런 의미의 시어로 굳어졌다. 작자 이중원은 송나라 휘종(徽宗) 시절서기 1122년 전후의생존인물이라는 것 외에 알려진 바가 없다. 오로지 이 연작시 하나로영원한생명을얻­은 셈이다.

<왕손을 그리며-여름>은 무더운 날씨 속에 분주한 현대인들에게 상쾌한 짬을 선사한다. 수묵담채화 같은 시공의 한 자락으로문득 타임슬립, 사랑하는 이(말 통하는 벗)와 함께 할‘꿈같은 여름휴가’,‘휴가같은 어느 여름날’을 고대하게 만든다. 그림 같은풍물 속‘게으름’의 나른한 매혹, 기다림의 소망……“길어진 한낮의 단꿈’은 자연스런 생체리듬일 뿐 아니라‘님의 부재’를 극복하는지혜일지 모른다.

글자 수의 구성에서 보듯 <왕손을 그리며>는 흔히‘한시(漢詩)’로 통하는‘근체시’가 아니라 사(詞) 다. 당나라를 거치며 詩가문인의 기본소양 및궁극의 장기로서 극한의 발전을 이룬나머지 매너리즘에 빠지자, 보다 자유롭고 생생한 감성의 표출방식이절실해졌다. 드디어‘유행가 가사=詞’의 시대가 열린다. 사대부의고매한 정신세계와 미의식을 담은 근체시들이 각광받는 한국 일본에 비해, 중국에서는 구어적 평이함과 넘치는 감성을 담은 詞의인기가 높다. 중국인들에게는 삶의 일부, 피부에 와 닿는 생활심 미주의의 매체인 것이다. 영화나 드라마의 대사, 일상적 소통 등에는 주옥 같은 詞 구절들이 곧잘 등장한다. 잘 익혀두면 중국인들과의교제를한­층멋스럽게할기회가 많아진다.

참고로 다른 계절의 노래도 훑어보자. 그리움, 쓸쓸함, 기다림을 우아하고 감미롭게 노래한 <왕손을 그리며>는 원어민들에게현대어번­역이필요없을만큼 친근하다.

“방초 우거지는 계절이군요 그리운 이(왕손)여, 버드나무 너머 덩그러니 높다란 누각이 서러워 구슬픈 뻐꾹새 소리 차마 못듣겠소. 해질녘, 빗줄기에 맞아 배꽃 지는 모습에 가슴 아파 문닫고깊이 틀어박히네(春詞: 萋萋芳草憶王孫 柳外樓高空斷魂 杜宇聲聲不忍聞欲黄昏­雨打梨花深閉門)”,

“쏴쏴 찬바람 불고 억새꽃 피는 가을, 밝은 달 비스듬히 들이치는 누각에 홀로 기대어 있는데, 주렁주렁 늘어진 주렴. 서글픈마음으로 눈여겨 바라보니 오래된 나루터에 고깃배 등불 하나(秋詞: 颼颼風冷荻花秋 明月斜侵獨倚樓 十二珠簾不上鈎 黯凝眸 一點漁燈古渡頭)”,

“먹구름 밀어낸 바람으로 눈발이 겨우 멎고, 먼 하늘 몇 마리쓸쓸한 기러기소리 차마 못 듣겠네. 홀로 싸늘한 이불 끌어안은채, 달빛 몽롱하게 빛나고 창 밖엔 가녀린 매화 그림자 가로놓이네(冬詞: 彤雲風掃雪初晴 天外孤鴻三兩聲 獨擁寒衾不忍聽 月朧明窓外梅花瘦影横)”.

<왕손을 그리며>는‘선율의 이름(詞牌)’이기도 하다. 작곡자는송나라때의 진관(秦觀, AD 1049-1100). 시인진관이라면동시대­의 구양수나 소식 정도의 존재감은 없으되 여성적 애상을 빌어섬세하고 함축적으로 인생사의 아픔을 표현함으로써 詞의한미학을극대화했­다고 평가된다. 진관의 멜로디는 당대인들의 감성을 자극하는 음률이었으리라. 다음은 그 평측(平仄)을 표기한 악보, 즉운보(韻譜)다. ⊙○⊙●●○△ ⊙●○○⊙●△ ⊙●○○⊙●△ ● ○△ ⊙●○○⊙●△(○=평성 ●=측성 ⊙=평성 혹은 측성 △=평운▲=측운). 평측이란 개개의 글자가 일정한 높낮이(음정)를 가지는한어(漢語)의 특성에서 유래한다. 훨씬 다양하던 고대의 음정이오늘날 표준어(Mandarin)에는 4개의 성조로 정착했다. 일부 예외가 있으나 1성 2성의 글자는 平, 3성 4성은 仄, 고대음운의 흔적(入聲=받침소리)을 간직한 광둥어(Cantonese)나 우리말 발음을 알면평측에혼동이 없다.

 ??  ??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