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4차산업혁명주도할키­워드첫째도둘째도셋째­도데이터”

문용식정보화진흥원장­기조연설 “AI플랫폼과데이터경­제는동전의양면데이터­고속도로뚫어경제혈맥­바꿔야”

- 강영관기자 kwan@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를 뚫어서 산업화시대를 열었고, 2000년대 정보고속도로를뚫어서­정보화시대를맞이했습­니다. 2020년대 4차산업혁명을주도할­수있는키워드는데이터 고속도로입니다.”

문용식 한국정보화진흥원장(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위원)은 13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ABC 전략’이라는주제로 열린 ‘제10회 착한 성장, 좋은 일자리 글로벌포럼(2018 GGGF)’ 기조연설에서 “데이터가거침없이 흐를 수 있도록 빠르고 안전한 데이터고속도로를 뚫어야 경제의 혈맥이 바뀐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2·3·4·5·22면>

문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 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국민의 정부 시절 김대중 대통령과손정의소프트­뱅크 회장의 일화를 소개했다. 그는“손정의회장이김대중대­통령에게 IMF 위기를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초고속인터넷망이라고 조언했고, 이는 우리나라가정보통신기­술(ICT) 강국으로발돋움할수있­는출발점이 됐다”면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금 손 회장에게 혁신성장을위한자문을­구한다면손회장은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데이터라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의 중요성은 글로벌 경제 주도권의 변화에서도 나타난다. 문 원장은 “2001년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 5개 기업에 정보기술(IT)기업은 마이크로소프트 한 곳이었지만 2016년에는 5곳 모두 IT기업(애플·알파벳·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페이스북)으로 채워졌으며, 올해는 페이스북 자 리에 텐센트가 들어왔다”며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하는 ICT 기업으로 글로벌 경제의 중심축이 이동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디지털 혁신시대 국가 간, 기업 간 인공지능(AI) 기술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 것으로예측했다. 문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제품이 데이터를 통해 서비스와 융합되며, 기술의선순환을 통해 가치가 창출된다”면서 “데이터 플랫폼을 장악한 국가, 기업과의 경쟁은 시간이 갈수록 어려워지기 때문에 조기에 따라잡는 것이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문 원장은 또 “AI의 원천은 데이터의 기계학습을 통한 알고리즘의 정교화다. 결국 AI 플랫폼과데이터 경제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면서 “따라서데이터 경제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빠르고 안전한데이터고속도로­를구축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데이터고속도로구­축전략으로△고가치·고수요데이터구축·개방△자유로운데이터거래·유통△데이터이용활성화등을 제안하고, 정부와산하기관·민간이 협력해 차근차근 풀어나가야 한다고조언했다.

문 원장은 “대한민국의 미래 비전은 대한민국자체가 전 세계 디지털 특구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라며 “우리가 가진 ICT 인프라를최대한활용해­우리나라 자체가 디지털 혁신의 플랫폼이 되도록만들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이날포럼에선국내 제조, IT, 금융등을대표하는 기업 임원들의 주제발표도 이어졌다. 이들은 AI와 빅데이터 등을 통한 융복합 산업의 변화상과 선제적 전략, 기술동향 등을 설명했다. 이어김홍일 은행권청년창업재단 상임이사를좌장으로청­년창업가들이 참여해 ‘데이터 경제 활성화 스타트업들의토크콘서­트’가 진행됐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