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규제에꺼져가는기업투­자

삼성전자·SK하이닉스外30대­기업투자활동위축…규제·노동개혁시급

- 류태웅기자 bigheroryu@

국내 30대 기업가운데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투자활동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 경제의 성장동력이 꺼진다는 얘기로, 투자 활력 제고 등 규제 개혁이 시급하다는목소리가나­온다. <관련기사 2면>

6일 본지가 전국경제인연합회에 의뢰해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제외한 30대 기업의 2018년 투자활동현금흐름은 전년도 대비 20.5% 감소했다. -10조7326억원에­이르던게-8조5279억원에 그쳤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투자 목적에 따른 현금의 유출·입을 일컫는 것으로, 투자에 따른지출이 유입액보다 많을 경우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업종별로 보면 전자, 철강, 자동차, 조선, 항공등국내경제를이끄­는 전·후방산업에서 일제히투자활동이위축­됐다.

재계 서열 4위인 LG의 핵심 계열사인 LG전자는 투자 현금흐름이 전년도 -7135억원에서 -6677억원으로 6.4% 둔화됐다.

최근 수출 및 내수 감소로 실적이 큰 폭으로 악화된 현대자동차는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2017년도 투자지출이 -1조1389억에 달했으나, 올해에는 -466억원으로 96%나 수직낙하했다.

기아자동차(-1조6865억원→-7332억원),현대제철(-6000억원→-5752억원), 대한항공 (-1조1367억원→-1829억원) 등도마찬가지다.

국내 빅3 조선소인 대우조선해양(1699억원→501억원), 삼성중공업(1767억원→1693억원), 현대중공업(-283억원→2088억원) 등은업황 악화에 따른 자산 매각으로 투자 지출보다유입액이늘거­나전년도수준을이어갔­다.

반면 이 기간 ‘반도체 호황’을 이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4조8556억원에서 -8조8709억원, -4조7847억원에서 -9조9868억원으로­배이상투자지출이유입­을 앞섰다.

이에 따라 이들 2개사가 30대 그룹에서 차지하는 투자활동 현금흐름 비중은 47.3%에서68.9%로 21.6% 포인트증가했다.

업계에선 이런 편중현상이활력을잃은­한국 경제의 현재 상황을 보여준다고 평가하고있다.

조장옥 서강대 명예교수는 “투자 증가율이마이너스를 기록하는 것은 위험 신호라 할 수있다”며 “투자 감소는 자본 감소로 이어지고,이는노동생산성후퇴를­촉발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노동생산성이 감소하면 고용 및자본생산성, 투자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이나타난다”며 “과도한 최저임금 인상과 노동시간의 강제적 감축, 비정규직의 무리한 정규직화, 법인세 인상 등 자본생산성과 잠재성장률을 잠식하는 조치들과 관련한 정책 보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에대해권태신전국경­제인연합회부회장은“고령화로인해국내소비­시장에제약이있는상황­에서수출은 미·중 통상갈등으로어려움을­겪고 있어, (기업들의)투자는여느때보다의미­가 크다”면서 “반도체를 제외한우리주력산업의­투자위축이심각한상황­인 만큼, 규제혁파와노동개혁으­로투자의불씨를되살려­야한다”고강조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