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포스코밖에서도‘동반성장·국가발전’경영철학실천

최근아너소사이어티회­원등재상임고문맡아2­년간후방지원

- 류태웅기자

권오준전포스코회장이­경영일선에서물러난뒤­에도 ‘국가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포스코 경영철학을 몸소 실천하고있어 화제다.

6일 재계에 따르면 권 전 회장은 최근 1억원 이상 고액 기부자 모임인 ‘아너소사이어티’회원으로등재됐다.

그는 “국가와 사회의도움으로포스코­가세계적인회사가 되고, 저는마음껏 신나게 일할 수 있었다”며 “이제는저 자신이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차례”라고소회를밝혔다.

권전회장의기부는이번­이처음이아니다. 그는 2016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하며 받은 상금3억원을 한국공학한림원과 서울대, 포스텍에전액기부한바 있다.

또 그는 1986년 포스코에 입사해지난 7월 25일 회장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32년간 국민기업인 ‘포스코’맨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 노력해왔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의 핵심기치인 ‘동반 성장’을 앞서실천한셈이다.

실제 권 전 회장 재임 시절인 지난해 9월 포스코는 외주사들이 ‘두 자릿수 임금 인상’을 할 수 있도록 외주비1000억원을 증액했다. 이에 따라 경북포항, 전남광양에서근무하는­외주직 원 1만5000명에게 혜택이돌아갔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기술력 및 연구개발(R&D) 능력 향상을 위해 성과공유제, 특허 지원 등을 제공하는 한편자금부담을 경감해주기 위해 다양한금융지원프로그­램을운영했다.

포스코의 한 직원은 “권 전 회장은포스코의창립목­표가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데 있는 만큼 동반 성장을 필연적으로 받아들였다”며 “특히 회사가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기에평소에도 이해관계자인 지역사회와의협력을강­조했다”고 귀띔했다.

권 전 회장은 평소에도 “(포스코는)나만을 위한 회사가 아니고 국가를 위해 존재하는 회사”라며 “이는 포스코의 가장 핵심적인 가치이고 이를 지속적으로 키워 나가야 한다”고 강조한것으로알려져 있다.

맡은바책무를다하는그­의성격은사임의사를밝­힌 뒤에도 고스란히드 러났다.

그는 지난 4월 19일 이사회에서 사임 의사를 밝힌 직후 사내망에 올린글에서 “보다 젊고 도전적인 최고경영자(CEO)가 포스코의 100년을 향한여정에 앞장서줘야 한다”며 “후임 회장이 선임될 때까지 주어진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그의 업적에 비해 이임식은너무나 조촐했다. 책무를 다하되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다는 평소 신념대로조직과 신임 회장에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행보라고 포스코 안팎에서는해석했다.

향후 2년간 포스코 상임고문을 맡게된 그는 회사가 사회공헌 등 사회적 가치 실현으로 ‘위대한 포스코(POSCO the Great)’를 향한 힘찬 항해를 하기 위해 후방에서 적극 지원한다는구상이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