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골관절염신약‘카티스템·인보사’연령별선호도엇갈려

수술·연골재생·통증감소선택갈려사용­경험초기단계용례증가­긍정적

- 이정수기자 leejs@

골관절염 혁신신약으로 평가받는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가 연령에 따라 상반된 환자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건강정보를 공유하는한온라인커뮤­니티에서는골관절염환­자중에서도 비교적 젊은 경우에는 카티스템, 고령인 경우에는 인보사를 맞는 것이 적합하다는내용이지지­를얻고 있다.

이 중에는 ‘카티스템이 65세 이하에서 연골 손상이 너무 심하지 않을 경우에 장점이있다’, ‘재활운동이 어려운 고령의 경우 인보사를 맞고 장기간 통증 감소를 기대해볼 필요가 있다’ 등 비교적 구체적인 의견까지 나온다.

이같은현상이나타나는­것은두제품특성 때문이다.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는모두그­간주로처방돼온화학합­성의약 품이나 바이오의약품과 달리 치료·사용 경험이 비교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때문에의료진이나환자­입장에서적극적인활용­에는다소한계가 있다.

현재까지 보험급여가 적용되지 않고 투약비용이 수백만원에 이르는 고가의약품이라 는 점도 환자 접근성을 낮추는 요인이다. 이에 줄기세포치료제와 유전자치료제 시장성은 현재까지도 업계 사이에서 논란으로 남아있는상황이다.

이같은시장상황때문에­두제품을각각출시한 바이오업체 메디포스트와 코오롱생명과학도 국내 출시 후 사용사례가 꾸준히늘어나고 있는 것을 마케팅 일환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두 제품 간에 선호되는 연령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효과유지 기간, 연골재생 여부, 수술시행 여부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두 제품 허가사항을 살펴보면, 사실상 연령제한은 없다. 그나마 인보사 허가사항에만 19세 미만에게는 유효성 등이 확인되지않았다는 내용뿐이다. 사실상 30대 이상 골관절염 환자에서는 두 제품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카티스템은 수술이 필요하고, 연골 재생이 이뤄진다는 점, 먼저 개발돼 비교적 장기 데이터를 갖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반면 비교적 최근에 허가된 인보사는 수술 이 필요 없고, 통증 감소가 뛰어나다는 점에서장점을갖고 있다.

이는 환자마다 다르게 수용되고 있다. 수술이나재활운동조차­버거운고령환자에게는 인보사를 통해 주사 투여만으로 장기간통증감소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유리하고,젊은 환자는 카티스템 수술 후 연골 재생과재활운동으로 무릎 회복을 노릴 수 있다는해석이나온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치료제 효능·효과에따라 연령 구분 없이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는지적도 있다. 그예로두제품은같은무­릎통증에사용되지만 구체적인적응증을보면­카티스템은 무릎 연골결손 치료, 인보사는중등도무릎골­관절염으로다소다르다.

한업계관계자는 “여러 환자가온라인커뮤니티 등을 통해 치료 경험을 공유하면서사용방향을­제시하고있지만,적절한사용시기와 환자대상에 대해서는 의료진 사이에서도의견이 분분하다”며 “다만 이런환경에서도 두 제품 모두 꾸준히 용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