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1년2개월만에…상승세멈춘서울아파트­값

감정원“9·13부동산대책여파”강남3구재건축중심3­주째하락

- 김충범기자acech­ung@

8일 한국감정원은지난 5일 조사기준주간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이 0.00%를기록했다고 밝혔다. 작년 9월 둘째 주부터 시작된 가격 상승행진이 1년2개월 만에 끝났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이번 보합세 진입은 종합부동산세 등 세제 강화, 임대사업자 혜택 축소, 대출 규제 등의 내용이담긴 ‘9·13 부동산 대책’ 여파에따른 것”이라고분석했다.

특히 강남 3구는 재건축 단지의 호가가빠지며3주연속­내림세를보였다.

송파구의 아파트값 변동률은 -0.10%를 기록, 내림폭이 지난주(-0.05%) 대비2배 확대됐다. 또 강남구와 서초구도 나란히 -0.07%를 기록했다.

지난주까지 상승세를 보였던 강동구도 이번 주 17주 만에 보합 전환됐다. 고덕동 일대 신축아파트의 경우 가격 피로감에매수세가꺾이­는모습을나타냈다.

강북권에서는 용산구가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며 -0.02%로 2주 연속내림세를보였다.

다만 중구(0.11%), 종로구(0.03%)는그간 상승폭이 낮았던 주상복합과 중소형 위주로 수요층이 형성됐고 강북구(0.08%), 노원구(0.05%), 동대문구(0.04%), 성북구(0.04%) 등은 동북선 등의 국지적 개발호재가 더해지며 상승세 가 이어졌다.

지방 아파트값은 이번 주 -0.04%를기록, 지난주(-0.02%)보다 낙폭이 커졌다. 5대 광역시와 세종시는 각각 0.02%, 0.01% 올랐지만, 8개도가 -0.10%를 나타내며하락세를견인­했다.

특히 전국 평균 아파트값은 서울의 보합세 전환, 지방의낙폭확대등의요­인이맞물려1개월여만­에보합으로전환됐다.

반면 경기도는 0.07%로 오름폭이 지난주 대비 0.01% 포인트 확대됐다. 특히구리시(1.02%)의 경우 별내선 역사가 들어설 예정인 인창동 등을 중심으로 매물부족 현상이 이어지며 오름세가 지속됐다.

또 고양시 덕양구(0.42%)도 대곡소사선, 대곡역세권 개발, GTX-A 노선 등 개 발호재에 따른 기대심리가 높아지며 상승세를 보였다.

인천도 지난주 0.02%에서 이번 주0.06%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신규공급이 많은 중구(-0.09%)는 하락세를 보였지만, 부평구(0.18%)는 부평·삼산동 지하철 인근 단지의 수요가 증가하며 상승폭이 커졌다.

한편 아파트 전세가격도 초겨울에 진입하면서낙폭이커지­는모습을보였다.

서울의 경우 이번 주 -0.03%로 지난주(-0.01%)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특히강남 4구는 -0.06%로 지난주(-0.03%)대비하락폭이2배 커졌다.

서초구(-0.18%)는 정비사업 이주 마무리 및 신규단지 입주 여파로 하락세가이어졌다. 또 중랑구(-0.03%)는 인근 지 역의수요분산으로하락 전환됐고, 동대문구(-0.02%)는 선호도 낮은 노후 단지의 수요가 줄면서 전셋값이 하락세를 나타냈다.

경기지역 역시 -0.08%를 나타내며지난주(-0.03%)보다 내림폭이확대됐다.

안성시(-0.45%)는 평택시, 용인시 처인구 등 인근 지역의 입주가 이어지면서하락세가 지속됐다. 또 하남시(-0.32%)는 올해 하반기 약 7000가구에 달하는공공임대 등 신규 입주물량이 쏟아지면서수요가감소­했다.

한편 지방은 5대 광역시가 -0.03%, 8개 도가 -0.08%를 기록했지만 세종시는1.32%의 가파른상승세를기록했­다.

세종의 경우 지역 전반적으로 전세 매물이 부족한 가운데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및 정부청사 인근 단지와 대전 출퇴근이 양호한 단지 등을 중심으로 상승폭이확대됐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