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활력잃은국가산단…규제·원가부담에수출경쟁력­꺼져간다

가동률2010년대첫­80%이하로…세제감면등지원책시급

- 류태웅기자 bigheroryu@

우리나라 ‘수출 역군’인 국가산업단지가활력을­잃고 있다.

납품해야 할 주요 업종들이 활력을잃고 있는 가운데 최저임금 인상 등 정부의 각종 규제까지 더해진 결과라는지적이다.

8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가산업단지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9.3%를 기록했다.

국가산업단지의 평균가동률이 80%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0년대 들어 처 음이다. 특히 84.7%에 달했던 2012년과비교하면 5.4%포인트나 급감한 것이다.

산업단지공단은 기계, 자동차부품,전기·전자 등 수출에 특화된 업체들을집적시켜, 국가발전의토대로삼는­다는취지로 1960년대부터 조성됐다. 현재경기 5곳, 울산 2곳 등 전국에 걸쳐 32곳이운영 중이다.

그동안 국가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해 온 산업단지공단은 2010년대 들어상황이크게달라지­고 있다.

우선 생산액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있다. 2012년 616조원이었던 생산액은2017년 539조원으로 연평균 2.6% 감소했다.

전체생산액을 업체수로 나눈 업체당생산액도 같은 기간 129억5000만원­에서 108억5000만원­으로 연평균 3.5% 줄었다.

수출액도 2017년 1910억 달러(213조5953억원)로 2012년 2294억 달러(256조 5380억원) 대비 17% 가까이줄었다.

같은 기간 국가산업단지가 전체 수출에서차지하는비중­도 42%에서 33%로 9%포인트 급감했다. 업체당 수출액 은 482만 달러에서 385만 달러로 연평균 4.4% 쪼그라들었다.

상황이 이러니 입주사들은 고정비를줄이기위해인­력을줄이고 있다.

실제 올해 6월 기준 국가산업단지의 고용인원은 102만3000명에 그쳤다. 2015년 111만9000명과 비교하면 9만6000명이 짐을싼 셈이다.

수출을 늘리기 위해선 세계 경제 회복과 더불어 경쟁력 강화가 필수이지만상황은녹록­지 않다.

정부가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 근무제등을도입하면서 중소기업중심인입주사­들의 원가 부담이 급증하고 있 다. 이는 제품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어수출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주요 요인으로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국가산업단지의활력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을 시급히마련해야한다고­지적하고 있다.

이상호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산업혁­신팀장은“정부는종전산업단지입­주사에감면해주던지방­세(취등록세·재산세 등)를 내년부터 없애기로 했다”면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지방세 감면을 유예해주거나 없애주는 것”이라고강조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