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국민이직접입법제안… SNS,민주주의‘판’을바꾸다

김수민‘내일티켓’플랫폼운영홈페이지서­손쉽게의견접수청년들­정치참여기회도제공

- *5 ஻୦ࢢசசଭ ۩ਏ ➁ “입법티켓을드립니다”장은영기자eun02@

국회의원들에게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필수다.자신의의정활동을홍보­하기위해서다.그러나국회의원SNS­가홍보가아닌입법의장­이된다면어떨까.

20대 국회 최연소 국회의원인 김수민바른미래당 의원(32)은 SNS를 새로운직접민주주의 ‘판’으로 바꾸는실험을 하고있다. 바로 ‘내일티켓’이다. 그는 국민이입법을 직접 제안하는 디지털 참여 민주주의플랫폼을운영 중이다.

8일 김 의원실에 따르면 내일티켓은국민 누구나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법안을요청할­수있는플랫폼이다.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평소 생활하면서느꼈던 개선돼야할문제점과이­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법안에 대한 생각을100자 이내로 적어서 올리면 된다. 별도의추가적인절차가­필요 없다.

이와 별도로 법안을 직접 만들수있는 ‘내일티켓 영프론티어’도 진행하고 있다. 청년들에게 직접 법안을 만드는 과정에참여하는기회를­주기 위해서다.

학생 3~4명이 한팀을 이루고, 김의원실 보좌진 한 명이 팀을 맡는다. 학생들이 아이디어 등을 제안하면 보좌진은 해당 아이디어가 법이 될수 있는지와 법의 한계점이나 구조 등 정책적인 부분을 설명을해주는식이다.

현재까지 840건의 티켓이 올라와 있으며 이 가운데 59건은 실제로 발의됐다. 대표적인 법안은 키오스크라고 불리는 무인주문기계(단말기)를 장애인·비장애인이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법률 개정안’과 남녀가 동일한 임금을 받을권리를제도화한‘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민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는 ‘국가정보화기본법개정­안’ 등이다.

내일티켓은 김 의원이 직접 기획했다.그는참여민주주의확대­를의정활동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회의원인 자신이 갖고 있는 입법권을 국민에게나눠줘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자신의홈페이지­첫화면을내일티켓으로,마지막화면을‘김수민’으로배치했다.

김 의원은 이날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평소 택시를 많이 타고 다니는데 택시기사님들이 항상 정치를 욕하신다. 친구들과 대화를 해봐도 마찬가지”라며“예전보다 시민의정치에대한관심­은높아졌는데 참여할 기회는 여전히 적다”고밝혔다.

이어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명인데여전­히 300명인 극소수의정치인만이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다”며 “이렇게 효율성과 대표성이 극히 떨어지는 구조가 결국정치에대한불신을­야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치에 대한비난을비판으로, 불신을 신뢰로바꿔서민주주의 발전에도움이될수있도­록하는것이정치인으로­서의 사명이라고 생각한다”며 “접근성과 희소성을 없애기 위해 참여 민주주의플랫폼을기획­하게됐다”고덧붙였다.

청년들 반응도 뜨겁다. 내일티켓 영프론티어 프로젝트를 통해 ‘온라인 성희롱방지법’을 만든 유승현씨(숙명여대·22)는“온라인 성희롱이나 유튜브 콘텐츠 등은기성세대 국회의원들이 모르는 지점이라우리법안이더­의미가있다고생각한다”며 “기술에 따라갈수 있는 법이 필요한데 아직 많이 부족하니까 기술과 함께법도빠르게발전해­가길바란다”고말했다.

 ??  ?? 작년 10월 건대입구역에서 ‘내일티켓’ 행사를 진행한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왼쪽 첫째)과 청년들이이야기를나누­고 있다. [사진=김수민 의원 홈페이지]
작년 10월 건대입구역에서 ‘내일티켓’ 행사를 진행한 김수민 바른미래당 의원(왼쪽 첫째)과 청년들이이야기를나누­고 있다. [사진=김수민 의원 홈페이지]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