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5G품은이통사,자율주행차시장선점

SKT, 죽스·디에이테크놀로지와기­술개발·사업화추진스타트업토­르드라이브와사업협력­위한업무협약맺어

- 라스베이거스(미국)=정명섭기자jms9@

올해 3월 스마트폰으로세계최초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에 나서는 국내이동통신사들이5­G 기반의새먹거리사업으­로자율주행을 낙점했다. 각사는글로벌 기술기업의각축장인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19’에서 연합전선을 구축했다.

국내 1위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은 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9에서 자율주행 기술 개발을위해 국내외 기업들과 손을 잡았다. 먼저죽스, 디에이테크놀로지와 자율주행 기술개발과사업화를추­진키로했다.

죽스는 2014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설립된 자율주행차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다. 이회사는구글 웨이모, GM크루즈등과 높은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한기업으로손꼽힌­다.

현재까지 총 7억9000만 달러(약 880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 지난해 12월에는미국캘리포­니아주로부터일반인을­태울수있는자율주행차­시험운행승인을최 초로 받았다.

디에이테크놀로지는 전기차에 필요한2차 전지의 제조 설비를 생산하는 국내기업이다.

SK텔레콤과 디에이테크놀로지는 공동으로국내서비스개­발·운영을 맡고, 죽스는 여기에 필요한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나선다. 3사는 국내에서 교통 약자의이동을 지원하는 자율주행 서비스, 자율주행기술이적용된­보안·관제 서비스, 자율주행로봇택시등을­준비할계획이다.

SK텔레콤은 같은날자율주행기술스­타트업토르드라이브와­도사업협력을위한업무­협약을맺었다.

토르드라이브는 자율주행차 권위자로 알려진 서승우 서울대 교수와 제자들이 2015년 설립했고, 미국 실리콘밸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토르드라이브는자체 제작한 자율주행차 스누버로 여의도 등 서울 도심을 지난 3년간 무사고로주행했다.

SK텔레콤은 5G 차량통신기술(V2X), HD맵 업데이트, 차량 종합 관리 서비스등의 기술을 고도화하고, 토르드라이브는 자율주행 기술 및 소프트웨어 개발,무인 자율주행 솔루션 고도화, 자율주행차량공급및개­조등을담당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자율주행 등 4차산업혁명 분야에서 장벽 없는 협력은 기업의 선택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수요건”이라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도 이번 CES에서 5G 사업모델 중 하나로 자율주행을 낙점했다.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은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혼다, 닛산, 인텔 등 자동차업계의부스를방­문해 5G 기반자율주행차의 미래 발전방향에 대해 의견을교환했다. 그는 자율주행차의 탑승객 편의성 향상과 혁신적인 신기술, 커넥티드카추진현황등­에주목했다.

LG유플러스 측은미래스마트시티시­대의 차량 이용 방식과 실시간 인공지능(AI) 분석에 초저지연 특성을 갖춘 5G가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LG유플러스는지난해­말한양대와공동으로자­율주행차에 5G를 접목해 장애물 회피, 경로 변경해 운행 및 주차하는 시나리오를실증하기도­했다.

 ??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가운데), 존 포스터 죽스 최고재무책임자(오른쪽), 이현철 디에이테크놀로지대표­이사가 9일(현지시간) 미국라스베이거스에위­치한 윈(Wynn) 호텔에서열린업무협약­체결식에참석해기념촬­영을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가운데), 존 포스터 죽스 최고재무책임자(오른쪽), 이현철 디에이테크놀로지대표­이사가 9일(현지시간) 미국라스베이거스에위­치한 윈(Wynn) 호텔에서열린업무협약­체결식에참석해기념촬­영을하고 있다. [사진=SK텔레콤 제공]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