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디지털혁명가에‘혼족’은없다

-

그레이스 호퍼(1906~1992)는 미 해군 최초의 여성 제독으로도 유명한데, “학생들을가르칠때숙제­를빽빽이첨삭해서돌려­주면영어가아니라 수학을 배우러왔다며 항의하는 학생들이 있었다. 그러면 나는 수학을알아봤자설명하­는 법을모르면 소용없다고 답했다”고 한다. 설명할수 없는 지식은 죽은 지식이며, 자신의 지식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명료하게말하고쓸줄알­아야한다고한 것이다.

아이작슨이 <이노베이터>에서 이런 천재와 반항적인 사람들의 재미나고독특한일화만­알려주고말았다면이책­의가치는그리높진않았­을 것이다. 아이작슨은 이들의 교류와 협업, 열린 마음이 ‘디지털 혁명’을가능하게했다며그사­례들을제시하고 있다.

“폰 노이만이 위대한 건 자신의 천재성에만 의존하지 않고, 함께 일하는사람들에게바로­바로질문을던지고경청­하고부드럽게대안을제­시하고 의견을 수집하면서 창의적인 협업 과정의 감독 역할을 수행할줄아는재능이었­다”는것같은 거다.

아이작슨은또 “새로운 아이디어는 갑자기, 어떻게 보면 직관적인 방식으로 찾아온다. 하지만 직관은 이전의 지적 경험의 결과물에 불과하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전하면서 타인의 지식,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처럼 <이노베이터>는 “여러 사람 여러 조직이 열린 마음으로 협력한곳에서개혁과발­전이더 쉬웠고, 아무리좋은아이디어라­도혼자움켜쥐고있던 사람, 그이득을혼자챙기려던­사람은절대성공에이르­지<홀로 활동하는 사람>

못했다”는널리알려진주장이틀­리지않음을확인해주고 있다. 이와함께 “본인이 원했건원하지않았건외­딴곳에서협조자도경쟁­상대도없이홀로 연구하고 천착해야했던사람도 실패자의반열에 올랐다”는 사례도 제시된다.

협업이발전에더도움이­된다는걸아는조직은조­직원들이더쉽게협업할 수 있도록 궁리를 하기도 하는데, 아이작슨은 전자공학과 컴퓨터분야의세계적연­구소인미국의 벨연구소(Bell laboratori­es)를 예로든다.

“1930년대에 접어들어 벨연구소는 공간이 부족해지자 신사옥을 짓기로 했다. 운영진은 신사옥을 연구분야에따른개별 건물로 구분하지않고대학캠퍼­스분위기가나게지으려­고 했다. 우연한만남을통해연구­자들의창의성이배가된­다고믿었기 때문이다.”

아이작슨에따르면 스티브 잡스는 70년 후애플의새본사를설계­할때 벨연구소의 전략을 따랐다. 그 자신이 천재일 잡스도 개방적 분위기가만들어내는‘우연한 만남’의생산성에크게주목했­다는것이다.

<이노베이터>를 읽으면서 ‘합스부르크 기형’이 떠올랐다. 1273년부터191­8년 1차 대전의결과로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제국이해­체될때까지 750년 가까이 영국과 프랑스를 제외한 거의 모든 유럽 국가를 통치했던 합스부르크 왕가는 정치 안정, 왕권 세습, 세력 증강, 혈통 유지를위해 근친결혼으로 얼기설기 얽혔다. 그 결과 후대로 내려오면서 기형으로태어난왕자와­공주들이 많다. 턱이길고뾰족하며아래­입술은비정상적으로 두껍다. 정신과 신체 발육도 늦어 스페인의 마지막 합스부르크왕인카를2­세는네살에 말을, 여덟살에걸음을시작했­다.

지금 한국을 지배하고 있는 진영논리는 정신적 근친결혼의 다른 말일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 논리에 빠지면 자기들끼리만 교류하고 생각한다. 합스부르크의 왕자나 공주들처럼 기형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기형을 지나 괴물이 튀어나올 단계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바로 옆에한국적진영논리가­탄생시킨괴물이있을수­도있겠다는생각도 든다.

아이작슨은 2014년 <이노베이터>를 쓰기 3년 전에는 스티브 잡스의전기를, 그 전에는 아인슈타인과 벤자민 프랭클린, 헨리 키신저 전기를썼으며 <이노베이터>를 낸 3년 뒤인 2017년에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전기를 냈다. 대부분 베스트셀러가 됐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좋아하는사람이 많다. <논설고문>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