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제2중동붐타고…기회의땅밟는CEO들

사우디,미래신도시대규모투자…철강수요급증에눈독삼­성물산·GS글로벌등납품기회·신사업가능성모색

- 백준무기자jm100@

사우디아라비아가 상사맨들에게블루오션­으로떠오르고 있다. 사우디가 ‘중동판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5000억 달러(약 600조원)를 들여미래신도시건설에 나서면서 철강수요가급증하고있­기때문이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주력 사업인 무역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등미래먹­거리도확보할수있을것­으로 보인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 종합상사 최고경영자들이 잇따라사우디 출장길에 올랐다. 지난달말에고정석 삼성물산 상사부문사장이사우디­의수도인리야드를찾은­데이어이달초에는김태­형 GS글로벌 사장도 현지를 방문했다. 이들은 각각 사우디 정부 관계자및거래선을만나­사업을논의하는한편현­지사업장을점검한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고사장과김­사장이현지에서추가납­품기회를모색하는한편­신사업가능성도타진한­것으로보고 있다. ◆사우디,미래신도시에5000­억달러투입…건설·상사업계‘눈독’

종합상사가 사우디에 주목하는 것은 막대한 시장성 때문이다. 사우디 정부는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준비를 목표로 ‘비전 2030’을 선포한 바 있다. 총 7000억 달러가 투입되고, 이가운데 미래 신도시 ‘네옴(NEOM)’ 건설에만 무려 5000억 달러가쓰인다. 국내 기업들은 사우디의 사회간접자본(SOC) 수요를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지난 6월 무함마드빈살만사우디­왕세자겸부총리가 방한하자 건설업체를 계열사로 두고 있는 삼성그룹과 GS그룹은분주하게움­직였다.

당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물산을 찾아 “중동지역 국가의미래산업분야에­서삼성이잘해낼수있는­부분을찾아보고협력강­화방안을마련해발빠르­게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부회장은 방한 중인 빈살만 왕세자를 서울 용산구 승지원으로 초청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도 사우디 현지에서 3개월 만에회동해 협력방안을논의했다.

GS그룹 또한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인 아람코와 ‘에너지 및 투자분야’ 사업협력을 위한 포괄적 업무협약을 지난 6월 체결했다. 양측은 업무협약을 계기로 석유 및 가스 등 에너지 사업뿐만 아니라 건설, 무역등에서도새로운사­업기회를모색하기로했­다.

현재 삼성과 GS의 건설 계열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GS건설역시사우디에­서도로와교량등대형프­로젝트수주에주력하는­것으로 알려졌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사들이 중동지역에서만 100억 달러 수준의 수주 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현재 내년준공을목표로 리야드에서도심지하철­3개노선을시공 중이다.

◆추가납품모색이어신재­생에너지등미래사업가­능성도

건설사를계열사로 둔 종합상사도 덩달아호황을누리고 있다. 특히 삼성물산 상사부문의경우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서의약진을꾀할­수있다는점에서주목받­고 있다. 사우디가 ‘탈(脫)석유’를 꾀하며 국가 에너지원을 신재생으로 전환하는 ‘에너지 트랜스포메이션’ 기조를 선언했기 때문이다. 사우디는 2023년까지 9.5GW의태양광·풍력발전시설건립을목­표로하고 있다.

최근 신재생에너지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점찍고 대규모 사업을펼치고 있는 삼성물산 상사부문으로서는 더없이 좋은 기회다. 삼성물산은 2017년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에신재생에너지복­합발전시설을지은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사들이 종합상사의 손을 잡고 사우디 공략에나선 데에는 그룹 차원의 판단이 있었을 것”이라며 “건설사 입장에서는 상사 측의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추가 발주 기회를 잡을 수 있고최근 성장의 한계에 부딪힌 상사 측역시높은마진을 노릴 수있기때문에 ‘윈윈’ 관계라고할수 있다”고 말했다.

 ??  ?? 고정석삼성물산상사부­문 사장(왼쪽)과 김태형GS글로벌 사장. [사진=삼성물산·GS글로벌 제공]
고정석삼성물산상사부­문 사장(왼쪽)과 김태형GS글로벌 사장. [사진=삼성물산·GS글로벌 제공]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