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대중저항을가볍게여긴­대통령의끝

1979년 부마항쟁과박정희를생­각함1979년전세계­헤게모니싸움억눌린정­치·경제적불만들불관용의­정치와기회의박탈들

-

지금으로부터 40년 전, 그러니까 1979년 7월 1일, 카터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을 마치고 공항으로 가는 차 안에서 박정희 대통령에게 남북 교차승인에관한 의견을 물었고, 박 대통령은 이에 동의하였다고 한다. 정상회담에서 주한미군 철수나 긴급조치 9호해제를둘러싸고설­전을벌인것과는 달리, 이문제에서는두정상의­의견이일치했던것이다.

1979년은 미·중 수교와 이란혁명이라는 두 가지세계사적 사건으로 시작된 해였다. 당시 한·미 간에는 안보문제와 인권문제를 둘러싸고 팽팽한 긴장이흐르고있었다.

카터 대통령은 미·중 수교에 따른 후속조치로 주한미군 철수와 남·북·미 3자 회담을 추진하고 있었으며, 이란혁명과 같은 사태가 한국에서 반복되지않도록정치자­유화를강력히주문하고­있었다.

당시한국사회에서는강­력한검열때문에밖으로­표출되지는 않았지만, 유신체제에대한반감이­상당했다. 재야로불렸던급진민주­주의자들은유신헌법폐­지와 대통령 하야를 요구하였고, 야당의 온건 민주주의자들은 긴급조치 9호와 양심수들의 석방을요구하였는데, 카터대통령과미국의 고위인사들도기회있을­때마다인권개선을요구­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끝까지 긴급조치 9호를 해제하지 않았다. 주지하다시피, 한·미 정상회담이 끝난후 넉달도 채 되지 않은 시점에서 박 대통령이사망하는 사태가 발생했다. 9월에 접어 들어 대학생들의 시위가 시작되고, 10월 초에 김영삼 신민당총재를 국회의원직에서 제명하자, 유신체제에대한 잠재적인 불만은 집단적인 저항으로 변하기시작하였다.그것이바로부마민주항­쟁이다.

부산과 마산에서 차례로 일어난 학생들의 저항은 시민들의 합세로 대규모 시위로 변했고,박대통령은이를계엄령­과위수령으로막았다.

현장을 직접 목격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은 당시의 상황을 폭풍전야와 같다고 느꼈다. 미국의 정보보고서도항쟁이 정치적불만에경제적박­탈감이더해지고있다고­기록하고있었다.

만약 박 대통령이 그때 계엄령 대신 긴급조치 해제를 선택했더라면 어땠을까? 그의 불행은 자신의자존심에너무집­착했기때문이었다.

돌이켜보면, 1979년은 한국전쟁으로 시작된 미·중적대가화해와협력으­로전환되는시점이었다. 그는 이런 시대적 변화를 충분히 읽지 못했고, 대중들의불만과저항을­가볍게생각했다.

그결과는 ‘대통령의 불행’이었다. 그의후임 대통령들도 김영삼 대통령과 김대중 대통령을 제외하면,이런불행을반복했고오­늘날까지도지속되고 있다.

오래전에 그레고리 헨더슨은 한국정치를 소용돌이의 정치라고 표현했다. 우리는 이보다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역동적 발전이라는 표현을 더 선호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동성 뒤에 잠재하고 있는하나의 위험, 즉 관용의 문

제를 좀 더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한

다. 반복되는대통령의불행­은독선과함께상대방에­대한관용이거의없었기­때문이다.

물론 한국의 정치를 규정하는 구조적 요인에는미·중 관계가 자리한다. 적대적 국면에서 화해협력의 국면을 지나 치열한 경쟁의 국면에서 접어든 미·중 관계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나라가 한국이다.정치군사적으로 미국에, 경제적으로 중국에 의존하는구조가불가능­해지고있다.

중대한변화의기로에서­한국의시민사회는머리­를 맞대고 이런 난국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를 토론해야 하는데, 배타적 불관용의 정치는 이런 기회를국민들로부터빼­앗아가고있다.

40년 만에 부마민주항쟁이 국가기념일이 되었다. 10·26과 1980년의 소용돌이 때문에 잊혔던 부마민주항쟁의기억이­제자리를찾고있어서다­행이다. 다만과거에대한기억이­집착으로전락하지않았­으면좋겠다.

 ??  ??
 ??  ?? 박정희전대통령
박정희전대통령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