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아람코, 17일IPO…개인투자자에최대0.5%판매

中,국부펀드·국유기업동원100억­달러투자전망도

- 김신회기자 raskol@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사우디아람코(이하 아람코)가 오는 17일 투자자들을 상대로 한 수요예측·청약을 시작으로 기업공개(IPO)를본격화한다. 아람코의 IPO는 역대 최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지만,사우디정부는지분매각­규모와공모가예상범위­등을당장 제시하지않았다.

9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아람코 지분 100%를 보유한 사우디정부는이날아람­코의사우디 증권거래소(타다울) 데뷔를위한투자설명서­를 냈다. 사우디 정부는 650쪽이 넘는 이 문건에서 오는 17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오는17~28일에는 개인투자자를 상대로 청약을 받는다고 밝혔다. 개인투자자에게할당된­물량은전체매각분의최­대 0.5%로 정했다. 최종공모가는다음달5­일에 결정된다.

투자설명서에는타다울­거래소가첫거래이후6­개월간아람코의추가 상장을 금지했고, 사우디 정부 또한 1년간 추가 상장을 실시하지 않는다는내용이 담겼다. 사우디정부는다만일반­외국정부관련기관이나­투자자에게는아람코지­분을팔수있는권리가있­음을재확인했다.

이밖에 투자설명서에는 아람코의 최근 실적과 회사 구조 등이 구체적으로 담겼지만, 사우디 정부가 이번 IPO로 목표한 조달액 등 가격이나물량과관련한 정보는 들어있지 않다. 시장에서는 예상가격이 다음주에 공개될 것으로 본다. 사우디 실세이자 왕위계승 서열 1위인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2016년에 발표한 ‘비전 2030’을 통해 아람코의IPO 청사진을 제시했다. 공급과잉과 수요둔화가 맞물려 2014년부터 국제유가가 급락하면서 석유시대의 종언을 둘러싼 우려가 한창이던 때다. 무함마드 왕세자는 2018년까지 아람코를 상장해 조달한 자금을 경제구조개혁의밑천으­로삼기로 했다.

사우디 정부는 당초 아람코 전체 지분의 최대 5%를 팔아 1000억 달러를 조달하면 시가총액이 2조 달러에 이르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예상대로 되면아람코의 IPO는 역대 최대 규모가, 아람코는세계최대 시가총액기업이 된다.

하지만 당초 지난해로 계획된 상장이 미뤄지는 동안 아람코의 회사가치가고평가됐다­는지적이일기 시작했다. 소식통들은블룸버그에­무함마드 왕세자도 아람코의 시총이 1조6000억~1조8000억 달러 수준이면 만족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블룸버그는 16개 은행 애널리스트들이전망한­아람코의시총이 1조1000억~2조5000억 달러, 중간값은 1조7500억 달러라고 전했다. 이정도라도물량이받쳐­주면세계최대 IPO·시총기록이 된다. 아람코는지난 1~9월 682억 달러의순이익을올렸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831억 달러)보다 20% 가까이 줄었다. 매출도 2330억 달러에서 2170억 달러로 7%가량 감소했다. 지난해에는1110억 달러의순익을 냈다. 같은기간 애플 실적의 2배에 가까웠다. 엑손모빌·로열더치셸·BP·셰브런·토탈 등 5대 다국적 석유 메이저의 순익을모두합한것보다­많았다.

한편 사정에 정통한 소식통들은 블룸버그에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이 국부펀드와 국유기업을 동원해 아람코에 100억 달러를 투자할수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아람코투자는 국제유가 상승에대비하는동시에­시진핑중국국가주석이­주도하는일대일로(육해상신실크로드)사업을뒷받침하기위한­것이라는분석이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