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노화와질병없는신들의­낙원,인간의숙원이되다

-

인간에게 불가능하지만 신에게는 가능한 불로장생이 거론되면서 공간에 대한 신화가 시작되었다. 속세와는 다른 신들이 사는 장소인 불로촌에살게되면인간­도불로장생의혜택을받­을수있다고 상상하였다. 이러한 불로촌의 대명사는 에덴동산이다. 구약성서 창세기에 나오는 ‘에덴 동산’은 아카드어 에디누에서 유래되어 들판이나 평원이라는 뜻을지니고있으며 노화, 질병, 죽음이없는풍요와기쁨­의 낙원이다.다음에등장하는파라다­이스는페르시아어로정­원을의미하는파이리-다에자로부터 유래했으며 히브리어 구약성서가 그리스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나왔다.

파라다이스는 초월적 의미의 낙원으로 통용되었고, 요한계시록에서는종말­에 건설되며 생명나무가 있는 낙원으로묘사되고 있다. 또다른낙원은메소포타­미아수메르신화에등장­하는딜문으로순수하고­깨끗하며 빛나는 땅으로 맹수나 혐오스러운 동물들이 설치지 않고 질병이나 노화, 죽음이없는기쁨의 땅이다.페르시아인들은북쪽지­하에이마의 땅이 있으며, 게르만족들도 북쪽에 살아있는 자들의 땅이라는 불로장생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고 믿었다. 호메로스에 의하면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엘리시온은 서방 대지의 끝 오케아노스강 근처에 있는 기후가 온난하고 향기가 충만하며, 헤시오도스가 언급한 지복자의 섬이며, 영웅들이사는곳이었다.

한편 헤스페리데스 정원은 헤라가 제우스와의 결혼선물로 가이아로부터받은황금­사과나무를심어라돈이­라는뱀과세명의요정들­이지키는 아름답고 포근하며 이상향의 대명사가 되었다. 플라톤이 언급한아틀란티스섬은­이베리아반도와아프리­카를가르는헤라클레스­의기둥 너머 대서양에 위치한 풍요로운 이상향인데 지진으로 영원히 바다속에수장되고말았­다고 하였다. 중국에도서왕모가산다­는 요지(瑤池)나 인도에서는 티베트의 수미산 정상에 있는 강린포체를 시바의 궁전으로여겼고극락이­라는 개념이 있었다. 캘리포니아 모독 족의 신쿠무시가딸들을위해­지었다는구름위의 신전이나, 신들이산정상에신전을 지어 놓고 모여 살았다는 올림포스도 마찬가지 개념이다. 이런 곳들은 신을 위한 장소이며 인간이 도달할 수 없는 하늘, 혹은 하늘과 가까운곳인높은산꼭대­기에존재한다고상상하­였다.

불로촌의존재는종교적­측면에서도매우중요한­사안이었다.신들이

인류는불로촌의염원을­포기할수없었다속세와­달리고통‧아픔‧가난‧죽음없는이상향서양,영원한삶누리려성배찾­고젊음의샘탐험공간개­척시도로인류발전동력­된대양시대열어

사는 곳으로 더 이상 삶의 고통, 아픔, 가난, 고독, 죽음이 없고 영원한삶이 보장되는 곳이며 인간이사후에가야할곳­으로 상정하였다. 그러나 살아서 찾아가야 할 불로촌을 찾는 노력도 구체적으로 추진되었다.특히 기독교계 중심의 유럽사회가 중세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집중적으로 집요하게 추진하여 왔던 불로촌 개척을 위한 구체적 목표는 크게두가지방향이었다.

하나는성배를 찾는 작업이었으며 다른하나는젊음의 샘을 찾는탐험이었다. 성배에 관한 대표적 전설로는 아서왕 이야기가 있다. 엑스칼리버를 휘두르며 위풍당당하며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줄 알았던 왕은성배를 찾으면 모든 일이 다 잘 풀린다는 마법사 멀린의 이야기를 듣고원탁의 기사들과 열심히 성배를 찾으려고 하였다는 전설이다. 성배를소유하면치료와­재생의능력이 생기고, 신과의사소통할수있는 능력,영원한 젊음, 행복, 자신이필요한무엇이든­지불러낼수있는능력이­생긴다고 믿었다. 그래서 기독교신앙과 맞물려 영생과 건강, 행복, 그리고소원성취를 가능케 해줄 것으로 기대되었던 성배를 찾는다는 것은 중세기독교계유럽인들­에게는강렬한열망이었­다.

불로장생 추구를 위해 불로촌을 찾는 또다른 목표는 젊음의 샘에 대한 탐험이었다. 젊음의샘은그물을마시­거나목욕을하면젊음을­되찾는다는 샘으로 BC 5세기 헤로도토스의 저술에 등장한 이래 알렉산더대왕의 정벌, 십자군전쟁때까지전설­적으로지속되다가 15세기 대양시대가 열리면서 본격적으로 그 실체에 대한 탐험이 시작되었다. 헤로도토스는다음과같­이기록하였다.

“어식민(魚食民)이 장수나라의 왕에게 주민들의 수명과 식이습관을묻자 그는 대부분의 주민들이 120년을 살며 어떤 사람들은 그보다 더오래 살고, 고기는 삶아 먹으며 주로 우유를 마신다고 하였다. 주민의장수에 대하여 의혹을 표시하자 왕은 그를 어느 샘으로 데려가서 세수를 시켰다. ----주민들이 장수를 한 요인은 바로 매일 이 물을 사용하였기때문일 것이다.”

이와같이그가장수촌의­주민들이장수하는요인­이 바로 젊음의샘때문이라고 언급한 이래, 젊음의 샘에 관한 전설은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더욱 강하게 퍼져나갔다. 예수께서 아픈 자를 낫게 해 준 요한 복음의 베테스다 우물과 연계되어 젊음의 샘은 분명한 실체로 인식하게 되었다. 베테스다 샘에서나온물로 씻거나 마시게 되면 모든 질병이 낫게되고 젊음이 회복된다고 확신하게 되었으며 그러한 곳이 실제로 있을것이라고 믿었다. 인류의건강을지키기위­한세계최대규모의건강­보건연구소인 미국국립보건원 (NIH)이 위치한 곳이 워싱턴 근교의 베테스다라는 사실도 이와 연관 있다. 스페인은 중남미 정복 후, 원주민 사이에 널리 퍼져있던 불로촌 비미니의 전설을 따라 본격적 탐험대를 조직하여 카리브해 연안의 중남미 지역을 샅샅이 뒤졌다. 젊음의 샘에 대한유혹이이들을유카­탄반도의마야 지역, 바하마지역등을집중조­사하게 했다. 푸에르토리코의 초대 총독이었던 후안 퐁세 드레온은 탐험대를이끌고전설속­의비미니를직접찾아 나섰다. 국가권력이나서서비미­니를 찾아나선 것은 중국 진시황의 불로초 탐구와 유사한 역사적 사건이었다.

인간에게 불로촌은 도저히 버릴 수 없는 염원이었으며 이천년이 지났어도 그 미련은 시들어질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성배와 젊음의 샘의전설은 서양인들에게 대양시대를 여는 탐험과 개척의 큰 빌미를 주었다. 이러한 노력 덕분으로 비록 원래의 목적과는 다르지만 과거와 전연다른 새로운 세계가 개척되고 열리게 되었다. 불로장생을 추구하려는목적으로 시도하였던 불로촌 탐구는 결국 공간 개척과 확보의 명분이되어 후일 국가와사회의 발전에도 큰영향을미치게 되었다. 인간의지극한 욕망과 이를 구현하려는 노력이 인류 발전의 동력을 이룬 전형적인 사례이다. <전남대연구석좌교수>

 ??  ?? 에덴동산은 노화, 질병, 죽음이없는풍요와기쁨­의 낙원이다. 16세기의 화가루카스크르나흐가­묘사한 에덴동산.
에덴동산은 노화, 질병, 죽음이없는풍요와기쁨­의 낙원이다. 16세기의 화가루카스크르나흐가­묘사한 에덴동산.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