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정치적암투에…일장춘몽으로끝난中민­영기업신화

- 곽예지·양성모·김형석기자yejik@

덩샤오핑손녀와결혼후­승승장구한前회장한때­자산348조…태자당연루의혹에몰락­사기·횡령혐의체포…경영권금융당국넘어가­미래에셋과美호텔15­곳소유권놓고법적분쟁

2014년 10월 중국보험사가미국뉴욕­맨해튼의랜드마크인 럭셔리호텔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을매입했다는 소식이전 세계를 뒤흔들었다. 각국 정상들이방문해묵을만­큼미국을대표할만한전­통있는대형호텔을사들­인주인공은 안방(安邦)보험.설립된지10년밖에되­지않은기업이었다.안방보험은이를 시작으로 글로벌대형호텔과 금융사들을공격적으로 매입했다. 안방보험은 중국 민영기업의성공신화를­써내려가는듯보였다.

하지만 성공 신화는그리오래가지못­했다. 2017년 우샤오후이(吳小暉) 안방보험회장이경제사­범으로체포된이후쇠락­의길을 걸었고, 모든경영권은 중국 금융당국으로 넘어갔다. 결국 안방보험은우회장 체포 3년만에그룹 해체를 결정했다. 한때자산이최대2조 위안(약 348조원)에 달했던‘중국판 버크셔 해서웨이’가 역사 속으로 완전히사라지게된것이­다.

공중분해된안방보험,국유화마무리

안방보험은지난 14일열린주주총회에­서법인을청산하기로결­정했다는입장문을밝혔­다.중국경제망 등 다수 언론은 “안방보험이이날 중국 은행보험감독관리위원­회(은보감회)에해산을신청하고청산­절차를시작할것”이라고보도했다.

중국 금융당국의 위탁경영 종료선언 약 6개월만이다.은보감회는 2018년 2월 23일보험법위반과회­사 상환능력악화를이유로­안방보험에위탁 경영을맡기로했다.

사실상 이때부터안방보험 해체는 예정된 수순이었다. 일단 은보감회는 인수·합병(M&A) 광폭행보로 크게 불어난 안방보험의 몸집부터 줄여 나갔다. 안방보험이 2014년부터 약 3년에 걸쳐 매입한 각종 호텔·리조트, 부동산, 기업들을 내다파는방식으로다.

안방보험이 그동안 인수한 월도프 아스토리아호텔, 뉴욕 센트럴파크의 제이더블유(JW)매리어트에식스하우스 호텔, 로스산타모니카비치호­텔, 샌프란시스코 리츠칼튼 하프문베이리조트 등 미국 유수의호텔·리조트와 거액의부동산, 중국국내상장사, 한국의동양생명과 ABL생명(옛 알리안츠생명)등이줄줄이시장에매물­로 나오거나 잠재매물로거론됐다.

은보감회는 2018년에만 스지(世紀)증권, 방인금융리스(邦銀金融租賃), 민생(民生)은행, 자오상(招商)은행, 퉁런탕(同仁堂), 완커(萬科)A 등다수상장사지분은물­론,부동산자산도모두매각­했다.

지난해9월에는 안방보험이소유하고있­던미국내 15개 고급호텔을 모두 한국 기업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이하미래에셋)에팔기로한바있다.

대대적인 구조조정도 진행됐다. 중국 정부가 세운 다자(大家)보험그룹에 안방보험이 편입된 것이다. 은보감회는지난해6월­안방보험의사업을인계­할다자보험그룹을신규 설립했다. 총 203억6000만위­안의자본금은 중국보험보장기금과 중국석유화공그룹(시노펙), 상하이자동차 등 국유 자본 및기업이 충당했다. 안방보험이사실상 국유화되는 것을의미한다.

안방생명과안방양로보­험·안방화재의지분은다자­보험으로 넘어갔고, 안방보험은 보험법에 따라등록이취소돼청산 절차를 밟았다. 이후 은보감회는 지난 2월 다자보험이정상적인경­영능력을 갖추었다고 판단,안방보험에대한위탁경­영을끝낸다고발표했다.

‘몰락한사업가’로남은우샤오후이

중국 민영기업의 ‘파워’를 보여줬던 안방보험은이처럼짧은­역사의마침표를 찍게 됐다. 안방보험창업자이자 전회장인우샤오후이가 체포된게결정적인 계기였다. 우 회장은 지난해 5월 18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현재 상하이 바오산 감옥에 수감돼있다.

사실 그의 체포는 매우 갑작스러웠다. 우 회장은 2017년 6월불법경영등을이유­로기습 체포됐다. 당시검찰은 우 회장이당국 관리감독 규정을무시한 채 불법으로 자금을 조달해 약 652억 위안 규모의 사기를 저지르고, 100억 위안의 보험료를 횡령해국가 금융안보에심각한 위협을 끼쳤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안방그룹의지배구조는 매우 복잡하고,자금조달출처도불투명­한부분이많았다.안방보험은 2004년 자동차 보험사로 시작해 2010년 생명보험시장에뒤늦게­뛰어들었는데,이후등록자본금이5억­위안에서10여년 만에 619억 위안으로급증했다. 그런데이에비해중국 생보시장에서의점유율­은4%로 미미했다.

안방보험의 막대한 자본이 우샤오후이 회장의화려한정치적인­맥에서나왔다는해석이­제기됐던이유다. 1966년 저장성에서태어난우샤­오후이는공무원생활을­하다두번의결혼을거친­후덩샤오핑(鄧小平)의외손녀인 덩줘루이(鄧卓芮)와 재혼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주룽지(朱鎔基) 전총리가문과도깊은관­계를맺고있어그의성공­배경에태자당(太子黨, 당 고위간부 출신 자녀) 인맥이있었다고도알려­져있다.

또중국 훙얼다이(紅二代, 원로공산당 혁명가 2세)와의긴밀한 교류가안방보험사업확­장의원천이었다는 얘기도 있다. 안방보험이순식간에 전국3000개 지점, 2000만명의고객을­확보한것은권력층인맥­없이는불가능했다는분­석이다.

이에따라 우샤오후이회장 체포가 정치적인암투와 관련이있을 것이라는 추측이나온다. 시진핑(習近平) 중국국가주석이1인 권력강화를위해태자당­의힘을 빼는 과정에서정치적희생양­이됐다는 것이다.

안방보험해체로 우 회장의재기는 사실상 불가능해졌다. 그가감옥에있음에도그­와관련된인물에대한중­국정부의감시가지속되­고있어, 우회장은 법률적인 차원에서도 구제를 받기는 힘들 것으로예상된다.

미래에셋, 58억달러투자취소통­보

안방보험은우리나라에­서도익숙한보험사다.앞서언급한 것처럼미래에셋과 미국 호텔 매매계약으로 얽혀 있고, 동양생명·ABL생명의 모회사이기때문이다.

특히미래에셋은 안방보험과 호텔인수 건을 놓고갈등을빚으며법적­분쟁을벌이는중이다.

미래에셋은 지난해9월안방보험이­소유하고있던미국 내 15개 고급 호텔을 58억 달러(약 7조원)를투자해인수하는 내용의매매계약을 맺었다. 계약금으로 5억8000만 달러도지급한상태다.

그러나 일부 호텔 소유권에 문제가 발생하면서미래에셋은 지난 4월 잔금 납입절차를 중단하고매매계약 취소를 통보했다. 등기권리를 보장해주는미국내권원­보험사로부터안방보험­과 제3자 간소송에대한 결과를 보장받지못한 만큼 매매거래를유지할수없­다는게미래에셋측입장­이다.

안방보험은 계약을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소송에 돌입했고, 미래에셋은이를 받아들일수없다며맞소­송에나선상태다.

미래에셋측은“안방보험측이호텔가치­를손상시키는 내역과 부채를 사전에공개하지않았고, 정상적호텔 운영을 지속하지 못했다”며안방보험의과실로계­약해지사유가발생했다­고설명했다.

당초 4월 17일까지인수절차가­마무리될예정이었으나­두회사간이견으로계약­이미뤄져왔다.

동양생명·ABL생명거취관심

안방보험이 청산 절차를 밟으면서 동양생명과ABL생명­의 거취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보험업계일각에서는동­양생명의신임이사회의­장인뤄성의주도로매각­이추진될가능성에무게­를두고있다.

동양생명은 지난달 중국 보험당국 출신으로 모그룹다자보험그룹의­실세인뤄성을신임이사­회의장으로선임했다.

뤄의장은중국보험감독­관리위원회(보감회)발전개혁부부주임,보험정보기술관리유한­책임회사부총재등을거­쳐다자보험그룹에재직­하며옛안방보험이투자­한주요금융사이사회요­직을맡고있다.

보험업계에선다자보험­그룹인사이자 중국보험당국 출신인사가 새의장으로 오는 만큼, 새의장의지휘아래매각­절차가본격화될것이라­는추측을내놓고있다.

다자보험그룹은 동양생명의 최대주주인 다자생명의 모회사다. 동양생명 지분은 다자생명이42.01%, 다자생명의 자회사인 안방그룹홀딩스가33.33%를 보유 중이다. 다자보험그룹은 현재전략적 투자자(SI)를 유치하는등민영화작업­을진행하고 있다. 은보감회는다자보험그­룹의민영기업성격을유­지하고지배구조를보완­하기로했다.

다자생명이안방그룹홀­딩스를 통해지분 100%를 보유한 또 다른 국내 자회사 ABL생명과 묶어패키지매각에나설­것이란관측이우세하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실제로 매물로 나올 경우, 유력한 인수 후보로는 4대금융지주사 중 유일하게생명보험자회­사가없는우리금융지주­나보험사 M&A 시장의큰손으로 떠오른 사모펀드(PEF)운용사등이거론된다.

보험업계관계자는“두보험사는공식적으로­매각설을부인하고있지­만다자보험그룹의해외­자산분석결과에따라향­후매각이진행될가능성­은열려있다”고말했다.

 ?? [로이터·연합뉴스] ??
[로이터·연합뉴스]
 ?? [아주경제DB] ?? 2017년 체포된우샤오후이(吳小暉)안방보험전회장
[아주경제DB] 2017년 체포된우샤오후이(吳小暉)안방보험전회장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