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통일장관연속헛발질…남북경협의제바꿔야

-

우리정부의대북협력제­안은최근3타수무안타­를기록 중이다. 4월에코로나 방역지원, 9월 2일 남북이산가족 화상상봉, 14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의대화복귀와협력­제안에북한은모두무반­응으로일관했다. 8월에입었을북한의태­풍과수해피해에대한우­리측의지원제안을미리­알기라도하듯 김정은 위원장은 모든 외부의지원을 거부하는선수를 쳤다. 이런 남북교착상황을 타개하기위해정부는7­월에대북인사라인을대­폭교체했다.

포부에찬 통일부 장관은연속해서헛발질­중이다. 7월 27일에 부임하면서북한의대동­강 맥주와남한의쌀·설탕을 ‘물물교환’ 방식으로교류의물꼬를­처음에트려고 했다. 아뿔싸, 그런데이것이미국과 유엔의대북제재에위배­된다는 사실을 뒤늦게(8월 24일) 알게되면서 철회한다. 그러자 다른 방도를 모색한다. 8월 28일에는 또 제재에저촉하는 북한의개별관광 방안을들고 나왔다. 여의치않자 9월7일에인도주의교­류로 선회했다. 대북관계개선을 포기하지않겠다는 정부의집요함이역력히­드러나는대목이다.

이런정부의집요함을여­기저기서부추기고있다.진보학자들은‘햇볕정책 2.0’ 운운하고있고,정계에서는북한에비공­개특사파견을하자는주­장이나오고 있다. 관공서별로는 북한과의경협사업을 경쟁하듯 내놓고 있다. 한국 국민이라면누가 대북관계개선을 반대하겠는가. 그러나 문제는 통일부 장관이청문회에서언급­했듯 ‘대북제재와 관련해창의적해법’을아무도제시하지못하­고있다.

대북제재속성무시발언…국가신뢰추락

오히려난국에봉착한상­황에대한그의짜증섞인 비현실적발언으로 한국 외교는 더어려워지고있다. 지난 7일‘한반도국제평화포럼’개회사에서통일부장관­은“평화 번영과 한반도를향한통일부의­의지는 분명하고 견고하며, 두꺼운얼음을 깨고 항로를 열어가는 쇄빙선과 같은 태도와 자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분단은 우리의지와 상관없이주어졌지만 평화는노력없이오지않­는다”고단언하고“남북이주도하고,국제사회와협력해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되돌릴 수 없는 평화의시대를열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대북제재에저촉되지않­는 ‘작은 교역’을 통해남북관계개선을모­색하겠다는열의를밝혔­다.

남북 주도를 강조하는 것이국민의귀에캔디이­겠으나대북제재의속성­을일관되게무시하는발­언이다. 이로 인해우리나라의대외신­뢰는 추락을 면치못하고 있다. 8월 18일 주한미대사예방자리에­서한·미워킹그룹이남북교류­에걸림돌이라 재조정이필요하다는 그의발언은 추락의 제어장치마저완전해제­시켰다.설립된지2년밖에안된­위원회는코로나사태로­제기능도한번발휘하지­않고있는개점휴업인상­태다.

더나아가그는9월2일­한·미동맹이냉전의산물이­라며평화동맹으로 전환하자는, 중국 외교부 대변인과 같은 발언을 공개적으로 했다. 이에덧붙여“한반도 정세를 변화시키기위해 북·미 관계는 북·미관계대로풀더라도남­북관계는남북관계대로­풀자”면서북·미와 남북의노력을양분화시­켰다.이정부가‘민족끼리’의방식에집착하는방증­이다.

이런그의발언은상당한­오해의소지가있는것이 분명하다. 그날 서훈 국가안보실장의발언으­로입증됐다. 국회운영위원회에출석­한 그는 “한·미동맹의근간이훼손돼­선안된다는게우리정부­의명확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미국에파견된신임외교­부1차관은 12일에양국의국장급­실무대화채널을신설하­자고 제안했다. 남북관계개선에장애가 되는 한·미대화의 수준을 워킹그룹의것보다 잠정적으로더낮추자는(국장급 협의체)소리로밖에들리지않는­다.

우리정부가 대북제재완화와 관련해아직도이처럼비­현실적인발언을계속해­대는데대해국민은답답­하다. 그답답함은북한주민의­경제적고난과고충을 해결하려는 데고민이전혀보이지않­고있기때문이다. 그저북한 정권과 당국과의접촉에만몰입­하는양상을 시종일관 보여주고 있다. 북한 주민을생각한다면북한­인권법을국내외에서지­지하는것이기본이다.북한주민을생각한다면­국제기관과의노력이배­가되어야 한다. 대북제재의상황에서유­일한방법이기때문이다.그러나이는정부의차선­책이다. 지난 8월 6일 세계식량계획(WFP)에1000만달러(약119억원)를지원하기로결정한게­고작이다.

대북제재의 완화문제는 북한의 비핵화가 전제된다. 제재의일시적인 중단이든 해제든 모두 비핵화가 완성되어야만 가능하다. 다시말해유엔의제재결­의안에서금지하는 모든 사안을북한이충족시켰­을 때만 제재의중단이나 해제가 가능하다. 미국의제재안 역시북한의비핵화가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불가역적­인(혹은 돌이킬수 없는) 핵폐기(CVID)’가 이뤄졌다고 판단될 경우 중단이나 해제를해줄수있다는것­이입법되었다.

CVID수준비핵화전­제돼야해제가능

유엔의 제재는 사안별로 제정된 것이 특징이다.북한의1차 핵실험이있었던 2006년부터채택된­유엔의제재결의안은 핵과 미사일개발에관련된것­이다. 사안별로북한이제재이­유와 관련된행동을자제하면­중단이나 해제가 가능하다. 가령, 미사일개발을 위한 부품의수입이나 밀수 행위를 자제하고그런기록이없­다고증명하면 된다. 핵개발과 관련된 제재안 역시 마찬가지다. 어려운 점은 유엔의관련기관으로부­터사찰과검증을받아확­인시켜줄의지가 북한에있느냐다. 이것이어려운 이유는 핵과관련해북한이국제­원자력기구(IAEA)의사찰과검증을199­0년대부터거부하고있­기때문이다.

미국의제재는 더 복잡하다. 미국은 250건이 넘는 대북제재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그 상위법으로는몇개만 존재한다.따라서이상위법의요구­를북한이충족시키는 것이‘고디언의 매듭’을 푸는 방법이다. 가령, 2019년 12월에입법화된 ‘2020 회계연도국방수권법(NDAA Fiscal Year 2020)’에서도 이는명시되었다. 동법안 7134조 (1)항의(A)절에서북한이대량살상­무기(WMD)의실험과확산을입증하­고, WMD와 미사일의영구적인제약­을 검증하기위한다자대화­에북한이임하기로결정­하면제재의중단이나해­제가대통령의보장으로­가능하다는것이다.

그러나 이들 조건의 구체적인 내용과 의미는2016년에 통과된 ‘북한 제재와 정책 강화법(North Korea Sanctions and Policy Enhancemen­t Act of 2016)’의 401조와

402조에 예속된다. 401

조는제재의한시적(1년) 중

단의조건을 제시한다. 미국 달

러의위조지폐생산이나­이와 관련

된기술과 장비를 모두 양도해야 한다.돈세탁방지를위한모든­법과규범을준수해야 한다.유엔결의안에서정의한­조건을충족시켜야 한다.또한북한에불법납치·나포된외국인질이석방­되어야 한다. 또한 국제원조의배분과 관찰절차가국제수준에­준하도록해야 한다. 정치범수용소의환경개­선이입증되어야 한다. 이들 요건을충족시킬때제재­가1년간중단될수있다.

대북제재의해제는 402조에명시되어있­다. 동조항에따르면401­조의조건을충족시키는­것은물론동 법안이제정한 비핵화의요구조건을 모두 충족시켜야 한다. CVID 수준의비핵화가 우선이다. 그리고 모든 정치범을 석방하는 것이다. 평화적인 정치활동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에대한 검열이없어야한다. 개방적이고 투명한 사회가 확립되어야 한다.나포된미국인뿐아니라­모든외국인이석방되어­야한다. 이들은 1953년 정전협정을 위반한 북한의나포행위로인한 나포자들까지포함한다. 이모든것이충족되면미­대통령이미국의대북제­재해제안을의회에제출­할 수 있다. 미의회가 비준하면제재는해제된­다.

인도주의차원에서도제­재에저촉되는사안에대­한예외요청을신청해야 한다. 단,이런지원사업이공인된­국제기관을통해서라면­요청을따로신청하지않­아도 된다. 그럼에도 지원물품이 제재조치에저촉될경우­미의회나 유엔에예외신청을해야­하는조건이있다.

남북한에주어진전략 선택은 두 가지다. 첫째는미국을설득시키­는 것이다.일시적인제재의중단을­원한다면, 북한이 불법적인 경제활동을 자제하는것이다. 제재의해제를 원하면, 북한의비핵화다. 단,명심해야 할 것은 우리와일본의납치자 문제해결노력이병행되­어야 한다. 둘째는 유엔의제재를 사안별로 노리는 것이다. 유엔의제재가 사안별로 조건이부여되었기때문­에단계적인접근이가능­하다.문제는 어느 것을 선택해도 북한에어려운 선택이다. 사찰과검증을위한이들­에대한 개방과 협력이전제되기때문이­다. 이런선택지가남북대화­의의제로 상정되어야 한다. 이의해결을 견인해야 비로소진정한‘중재자’가 될수있다. <경희대교수>

 ??  ??
 ??  ??
 ??  ?? 판문점을 방문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16일 오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정위회의실에서 JSA 관계장교로부터설명을­듣고 있다.뒤쪽으로군사분계선콘­크리트가 보인다.
판문점을 방문한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16일 오전 경기 파주시 판문점 군정위회의실에서 JSA 관계장교로부터설명을­듣고 있다.뒤쪽으로군사분계선콘­크리트가 보인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