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고령‘가야금’이충주‘신라금’된사연

- 코로나가바꾼한가위풍­속…악기이름도지역·사람따라변해대가야국­출신우륵,신라탄금대서활동하며‘신라금’으로불러

코로나19는 한가위풍속도까지바꾸­었다.민족대이동이라고 불리는 혈연·지연의 견고한 문화마저바뀔수있다는­가능성을보여주었다.수천년동안추석이라는 이름 아래미풍양속으로 당연히감수했던명절스­트레스를줄일수있다는­사회적합의를경험한까­닭이다.신라때경주 낭산(狼山)에서활동했던가난한 음악가 백결(百結·한 벌옷을 백번기워입었다는 뜻) 선생도 명절이엄청괴로웠을 것이다. 끼니를 해결할 쌀조차도 제대로없는 살림살이인데, 명절이라고 따로 떡을 만든다는 것이가당키나했겠는가.가장은상심한부인을위­해거문고(琴)로방아찧는소리를연주­하며정성껏 위로했다. 별다른경제적출혈없이­생색을낼수있었다.부인이그소리만으로만­족했는지는알수없지만‘방아타령’이라는 명곡은영원히남게 된다. 명절가난이라는위기가­또다른창작의기회를제­공한 것이다.

고향친구들과 모여왁자지끌하게회포­도 풀 수없는 역병이창궐하는 추석에는 혼자 방에서갖가지음원을 통해거문고 연주소리를 들으면서‘지음(知音)’으로 우정을대치하는방법도­있겠다.제자백가서〈열자·列子〉에나오는두친구가 그랬다. 백아(伯牙)가 생각을높은산에두고서­거문고를연주하면 종자기(鍾子期)는 듣고서“태산과 같음이여!”라는추임새를 넣었고, 물을염두에두고거문고­를타면“황하와 양자강 같을시고!”라고 하며무릎장단을 보탰다. 이처럼백아가 생각하는바를 종자기는반드시알아들­었다.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거문고줄을 끊고(絶絃) 다시는 연주하지않았다고 한다.이후 ‘지음’과 ‘백아절현’은 우정을상징하는문자로­바뀌었다. 만약지금둘이다시만나­거문고를연주하고추임­새를넣고자한다면“종자기는 반드시마스크를 착용해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친절한안내문자가­올 것이다.

엄숙한 조선의선비들도 음악에대한 이해는 반드시 갖추어야 할 교양이기도 했다. 경북 예천 남야(南野)종택에는 자명금(自鳴琴·나라와 집안에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스스로 울림)이라고 불리는 거문고가 가보로 전해왔다고 한다. 박정시(朴廷蓍·1601~1672)는 벼슬에서물러날때책한­권과이거문고 한 개만 챙겨서 귀향했다. 청렴결백했던 그도거문고는포기할수 없었다.어찌보면오백년전의부­분명품족이누린유일한 사치였던 것이다. 서재에거문고를 두고서독서하다가 쉬는 틈을 이용하여연주를 하곤 했다. 혹사당한 눈은 쉬게하고대신놀고있던­귀를열고서손가락을마­디마디움직이는이완을 통해긴장감을 해소하는 나름의휴식법이라하겠­다.

경북청도화양 탁영(濯纓)종택에는 탁영금(보물제957호)이 전해온다. 김일손(1464~1498)이 1490년제작한 것으로, 국내에서현존하는가장­오래된거문고라고 하겠다. 당시의원재료는 오동나무로 제작된, 이미 100년 넘은 낡은 문짝이었다. 문을 새로교체하면서버려지­는것을얻어와거문고를­만들었다. 문비금(門扉琴·문짝거문고)이라 이름을 붙이고는 “거문고는 내마음을 단속하는 것이다. 걸어두고소중히여기는­것은긴소리때문만이아­니로다”라는의미까지부여한 글을 남겼다. 오동나무판대기가 문(門)의역할을마치니다시거­문고의몸체로바뀐것이­다.

절집에도 거문고는 빠지지않았다. 충남 예산 수덕사에전해오는, 만공(滿空·1871~1946)선사가 소장했던 거문고는 고종임금의아들인의친­왕이준 선물이라고 한다. 바탕에‘공민왕 금(琴)’이라는 글씨가 새겨져있긴했으나 지방문화재지정으로 만족해야 했다. 추정컨대전문가들로부­터진짜 고려금(高麗琴)으로 인정받진못한 모양이다. 고려진품이라면 당연히 국보감이다. 하지만 현대소설가의영감을 자극하면서장편소설 탄생의실마리를 제공했다. 최인호(1945~2013) 작가의‘길없는 길’은 이거문고의비밀에 대한 상상으로 시작되기 때문이다.이처럼거문고는 가사를 짓고 소설을 만드는 마르지않는문학적샘물­역할도마다하지않았다.

경자년(2020년)의 추석풍습만 변하는것이아니라, 이미오래전에가야금이­름도 바뀌었다. 우륵(于勒)의 고향인 대가야국 도읍지였던 경북 고령에서는 가야금이라고 불렀지만 가야가 신라에병합된이후 그의주 활동무대가 된 충북 충주 탄금대로옮겨가면서신­라금이 된다. ‘신라금’이라는 이름으로 일본 나라(奈良)에 소재한 동대사(東大寺·도다이지)정창원(正倉院·쇼쇼인)에몇점이보관되어있다­고한다.현재가장오래된가야금­인셈이다.

지금 가야금과 거문고는 일목요연한 도표를 만들어 서로 차이점을 열거하면서 분명하게 경계를두고나누고있지­만 한자사전의‘금(琴)’자(字)는 ‘거문고 금’자다. 두악기역시세월이흐르­면서자기개량을 게을리하지않았고 지역과 성별에따라 악기에대한 선호도가 달라졌지만, 예전에는크게구별하거­나 나누지도않았던 모양이다. ‘강남에서는 귤,강북에서는 탱자’라고 한 것처럼지역과 사람에따른 자연스런변화가 뒤따랐을 뿐이다. 어쨌거나 모든 것은 바뀐다는그 사실하나만 바뀌지않을뿐모든 것은 변해가기마련이라는 것도 ‘금(琴)’자가알려주고있다.

가능한 한 이동금지를 권고한 추석연휴인지라지인이­두고간국악시평집을읽­으면서시간을보냈다. 덤으로오가는길에탄금­대와가얏고마을을찾았­다. 이게책한 권이주는 힘이다. 가얏고마을입구의넓은 공터에 진열된, 어림짐작으로 몇 백개는될법한전시용오­동나무판은또다른 볼거리다. 남한강절벽위의탄금대­표지석앞에서유장하게­흐르는강물을바라보며­소리없는소리를들었다.아~그렇지(유레카)! 서산(西山)대사로 불리는 청허휴정(淸虛休靜·1520~1604)선사도 거문고를 좋아하여‘청허가(淸虛歌)’를 남기셨지.

 ??  ?? 연주하는우륵 선생.
연주하는우륵 선생.
 ??  ?? 가얏고마을
가얏고마을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