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건설업계‘직급파괴’현장선엇갈린반응

“사고많은건설현장선상­명하복필요” “선임들에게좀더존경받­는다는느낌”직급축소성장통…한화건설은복원

- 한지연기자hanji@

“사건, 사고가많은 건설현장 관리에는상명하복식문­화가 필요하다. 관리체계가 명확하지않으면 후임자 문책도, 현장컨트롤도안되기때­문이다. 문제는상하평등한 관계는 ‘선진문화’, 상명하복한국식조직문­화는 ‘악습’으로 비춰진다는 점이다. 때론 ‘꼰대’같은문화가더필요한곳­도 있다.”

“직급 파괴에큰 의미를 두는 건 아니다. 중요한건 보수적인 업계에서 직급 파괴가 논의되고 변화를 시도한다는 점이다. 직급에관계없이평등한 기회를준다는점은기업­대내외적으로긍정적이­미지를 준다.”

건설사들이 상명하복 군대식 기업문화의 한계를절감하며도입하­고있는 ‘직급 파괴’ 실험이성장통을겪고있­다.직급파괴란직급대신이­름을부르는 소위 ‘(이름)님 문화’를 말한다. 직급장벽을 없애수평적분위기가조­성되면업무유연성이높­아지고,경직된 조직문화도 쇄신할 수 있다며최근 건설사들이앞다퉈도입­하기시작했다.

문제는 보수적인 건설업문화와 직급 파괴가 처음 도입된 미국 실리콘밸리스타트업식­문화가 상충되면서 제대로 자리잡지못하고 있다는 점이다.익명을 요구한 건설업계관계자는 “외국계 컨설팅사들이직급 파괴도입을 촉구하면서국내기업들­이분별없이받아들인측­면이있다”면서“마치사대주의처럼한국­식조직문화는 ‘꼰대’로, 미국식수평체계는‘선진문화’로받아들여져건설현장­에서관리가점점더어려­워지고있다”고토로했다.

18일 건설업계에따르면현대­건설은 최근기존 5단계직급을2단계로 통합했다.사원과대리를매니저로, 과장·차장·부장을 책임매니저로 변경했다. 현대차그룹이지난해부­터시작한 ‘수평적 관계에 따른상호존중조직문화 만들기’의일환이다. GS건설도올초부터부­장·차장·과장·대리·사원으로 나뉘어있는 5단계직급을 부·차장급은 책임, 과장이하는전임으로 하는 2단계로 바꿨다. GS건설 관계자는“자유롭고 창의적인조직문화를만­들기위한 시도”라면서 “호칭 개편과 함께 복장도 자율화됐다”고말했다.

HDC현대산업개발은­지난해5단계직급을3­단계로축소한 뒤모든 팀원의호칭을 매니저로 통일했다. SK건설역시부장이하­직위호칭을 ‘프로’로 바꿨다. 직원들에게전문성과주­인의식을심기위해서다. 대림산업은 부장급 이하 7단계로 촘촘했던 직급을 4단계로 줄이고, 임원직급 체계도 5단계에서3단계로축­소했다.

현장에서는엇갈린반응­이나온다. 직급 개편을마친 A건설사 매니저는 “회의를 할 때선임들에게좀더존중­받고있다는느낌이든다”면서“선진화된경영시스템을 도입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라고말했다.

반면비슷한경력의또다­른관계자는“창의적이고수평적인문­화가 필요한 곳이있고그렇지않은곳­이있다”면서“호칭만 ‘프로’로바뀐다고전직원이주­인의식을 갖고일하는 건 아니다. 경험과 연륜이필요하고,현장사고가많은건설업­에서는특히상명하복식­책임관리와긴장감이필­수”라고말했다.

앞서직급파괴실험을했­던건설사가운데기존호­칭으로 되돌아오는 경우도 있다. 실제한화건설은 2012년 사원은 ‘님’, 대리부터부장까지는 ‘매니저’로 불렀지만3년만인 2015년께전통적인­직급체계로 돌아왔다. 이회사 관계자는 “안전이 중요한건설현장 특성상 서열이갖는긴장감이필­요했다”면서“직급이애매하다 보니외부업체와 소통에문제가생기기도­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관계자는 “외국처럼어렸을 때부터수평적인조직문­화를 학습하는 것도 아니고, 유연한소통을 기대한다면서정작 수평적소통체계를 ‘지시’ 받는입장이다 보니자연스럽게받아들­이지못하는측면이있다”면서“특히‘님’문화로 조직문화가느슨해지면­서 현장에서는 관리감독도 잘 안 되고사건, 사고도 늘고 있다는 불만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직급 단순화 탓에승진과 임금 등 동기부여를상실할수있­다는점도최근에는단점­으로부각되고있다”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