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코로나이후글로벌격차,백신주권이가른다

-

델타, 람다 등 변이바이러스의확산으­로 팬데믹의끝이다시묘연­해지고 있다. 다소 섣부르긴 하지만 이미예고된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가 점점현실화하고 있는 모양새다. 비난이거세긴 하지만 백신을세번이상 맞는 부스터샷까지등장한다. 백신접종과관련한부익­부 빈익빈, 즉 ‘백신 디바이드(격차)’가 더욱기승을 부릴 태세다. 한편으론 경제활동이크게위축되­면서코로나로 죽으나, 굶어죽으나 매한가지라면서불평불­만이최고조로치닫고 있다. 자연스럽게사회적거리­두기와 같은일상에대한강력한­규제가 합리적인선택인가에 대한 의문이 증폭된다. 방역과 경제라는두 마리토끼를 두고 실랑이를 벌이기보다는 양날이동시에작동하는­방향으로선회하는국가­들이늘어나는추세다.

그나마 백신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들에국한된현상이­다.백신접근이어려운국가­들에게는이마저도 사치스러운 이야기로만 들린다. 결국은 포스트코로나로꿈틀거­리고있는미래먹거리시­장에서백신접근에수월­한선진국에유리하게돌­아갈것이라는주장이설­득력을 얻는다. 실제로 전국민 50% 이상 1차 접종을 완료한 미국이나 유럽국가들은 경제를 더는 위축시키지않는 쪽으로 방향을 선회하고 있다. 오로지백신접종률을 높이는 데에 올인한다. 이를 통해지속해서감염률과­치명률을낮추겠다는 계산이다.일상에대한 통제가 최고의선택이아니라는 사회적합의가만들어지­는 분위기다. 정답은없지만지난 1년 반동안의축적된경험을­바탕으로새로운접근이­시도되고있는것으로보­인다.

상황이장기화하면서민­심도흉흉해지고있다. 특히백신이부족한국가­일수록정부에대한국민­의불신이높아지면서일­촉즉발의긴장감마저감­돈다. 상당수아시아 국가들에서보이는 ‘정치 방역’ 구설수다. 금지·단속위주의방역에치중­하다보니국민의인내가­한계점에 달한다. 장기독재나 정통성이취약한 정권들이코로나를오히­려정치로악용하면서벌­어지고있는촌극이다.두드러지게공통적으로­나타나고있는것이언론­에대한재갈 물리기다.중국정부는초기단계부­터‘가짜 뉴스’ 단속을빌미로 관계기관을총동원하여­여론을통제하고있다.중국뿐만아니고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 등다수아시아 국가들이정부를 비판하는 언론에대한 압박이도미노처럼번진­다.

코로나발생이전만하더­라도21세기는아시아­의세기가될것이라는전­망이지배적이었다.세계경제의중심축이대­서양에서태평양으로이­동하면서나온 시나리오다.그러나팬데믹을극복해­나오는과정에서양극화­의심화로 생겨난 ‘코로나 디바이드’가 국가나 지역간의힘의이동으로 옮겨붙는 중이다. 힘의 기울기가다시반전되고­있는기류가 형성되고 있다. 자연스럽게불거진기후­변화에대응하는탄소중­립관련이슈도대서양 국가들이선점하면서이­니셔티브를 확보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굵직한 뉴노멀에대한 기준(글로벌 스탠더드)을 서방 선진국들이주도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경제의가치사슬­재편이예고되면서코로­나이전에아시아국가들­이확보했던영향력이급­속히상실되고있다.

현재태평양지역국가들­이대서양연안국가들보­다밀리고있는 근본적이유는 코로나 극복 과정에서비롯되고 있는 정치적위기가 결정적 원인이다. 특히중국·일본·한국 등이지역을 선도하는 국가들에서리더십의약­화가 현저하다. 중국은 사회주의체제를 더공고히하면서자본주­의색채를빼는데열을 올린다. 민간기업에대한당의통­제가 강화되는소위‘변이자본주의’가 기승을 부린다. 중국 경제의장래에대해우려­하는 차이나 리스크가 다시대두되기 시작했다. 일본은 우여곡절 끝에올림픽은 마무리했지만, 국론 분열로갈팡질팡한다.한국도대선정국에돌입­하면서연이은 정치포퓰리즘으로 정국이갈수록 혼란스럽다. 동남아국가는물론이고­견고하던인도의모디정­권까지방역실패로흔들­리고있다.

이에비해미국과 유럽국가들은 다시똘똘 뭉친다.위기를기회로역전시키­기위해감추었던국가이­기주의의발톱을 내민다. EU는 탄소국경세를 꺼내들었고, 미국은‘바이아메리칸(Buy American)’ 정책을대폭강화하고나­섰다.미국이나유럽에물건을­팔려면수출이아닌자국­영토에들어와공장을지­으라는압박인셈이다.이는글로벌공급기지로­수출이절대적비중을차­지하는중국이나아시아­국가들에절대적으로불­리한환경이다. 동맹은끌어안되대척점­에있는국가들은밀어내­겠다는 계산

이다.독일출신으

로 ‘히든 챔피언(글로

벌 강소기업)’ 신봉자인

헤로만 지먼이 최근 언급한

“수출로 먹고사는 시대가 코로

나이후에끝난다”는 예언이적중할

수도있는판세가만들어­지고있다.

여하튼 코로나라는 팬데믹으로 글로

벌지형이다시전환되고­있음을 현실로인정하고받아들­여야 한다. 기존의‘코로나 디바이드’와 ‘백신 디바이드’가 ‘포스트 코로나 디바이드(Post-Corona Divide)’로 연결되는 조짐을 감지해야 한다. 당분간 격차를 벌리려는 자와 줄이려는 자의피말리는 사투가불가피할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는이경쟁에서어정­쩡한 위치에놓여있다. 자칫하다가는 후미에뒤처져남의꽁무­니를쫓아가야할신세로­전락할수도있는판세다. 다른아시아 국가들과 유사한 형태의방역올무에서벗­어나지못하고 있고, 백신 확보도 오락가락한다. 백신을우선하여챙겨야 하고,이른시일안에백신주권­을확보해야 한다. 그리고망하는줄이아닌­흥하는줄에서는통찰력­과지혜가필요하다.

 ??  ??
 ??  ?? 김상철동서울대교수
김상철동서울대교수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