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공공건축물40% 8년후노후화…정비사업은‘찔끔’

국토부, 리뉴얼 선도사업 실효성은…관리예산매년5조필요­한데1조그쳐민간자본­유치해민·관복합개발시급

- 안선영기자asy72­8@

앞으로 10년 내전국 공공건축물 10동 중 4동은 노후화하지만제대로관­리가이뤄지지않아시민­의안전확보뿐아니라 시설 효율화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공공건축물의효율적인­이용과안전관리를위해­서는재개발·리모델링등보다적극적­인개선대책이필요하다­는지적이나오고있다.

16일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국가공공건축지­원센터자료를분석한 결과, 2019년 말현재전국공공건축물 21만6823만동 가운데사용연한이30­년 이상 경과한 건축물은 전체의 23.2%(5만198동) 수준으로 조사됐다. 또한 10년후인 2029년에는 4만3485동이추가­돼전체공공건축물의4­3.2%인 9만3683동이노후­건축물로분류된다.

이처럼공공건축물의노­후화가 빠르게이뤄지고있지만, 전체의11% 수준인 2만4256동은 오기입, 미기입등의이유로정확­한준공일도알수없는상­황이다.

이같은 현상은 국유재산보다 도유·군유 부동산에서뚜렷하게나­타난다.

공공건축물의 40%는 지방자치단체 소유인데, 제대로된관리가이뤄지­지않아지자체청사의경­우에는노후도현황에대­한전체적인통계도전무­한 상황이다. 1980년대부터부족­한행정서비스수요에대­응하기위해빠르게청사­가 건설됐고, 이과정에서이전등으로 용도가 불분명

한 구(舊)청사가 상당비중을차지하고있­다.노후건축물은 시민의안전 확보뿐 아니라 시설 효율성약화에도영향을­미치는만큼개량및유지­보수는꼭필요한부분이­다.

노후화에따른위험과 필요성을인지한 정부도정비사업을위한­움직임을보이고는있지­만이마저도재원부족등­을이유로사업이원활하­게진행되지않고 있다. 매년1조원내외투입되­는 국유재산관리기금으로 노후화된공공건축물을 관리하기에는 턱없이부족한 실정이다. 전문가들은청사 신축·개축·리모델링등의방식에5­조원안팎의예산이필요­할것으로보고있다.

정부는 대안 중 하나로 한국판 뉴딜의대표과제인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을 적극 시행 중이다. 지난해부터올해까지2­년간 총국비 4500억원을 투입해국공립어린이집‧보건소‧의료시설 등공공건축물의에너지­성능과 실내공기질을개선하는­사업을추진하고있다.

하지만 지원금은 리모델링 사업비 전액이 아니라 일부보조에그친다. 서울은 사업비의 50%, 그외지자체는70%를 국가가 지원하는 방식이다. 지자체의적극적인정비­사업이요구되지만 재정여건이열악한 곳이대부분이라실효성­이낮은게현실이다.

이정찬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그린뉴딜의 최상위전략화 △건축부문 우선추진△민간 주도 녹색금융활성화를정책­방향으로설정,중앙정부와지자체간에­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연계·협력하는 방식으로 그린 리모델링의정책동력을­얻어야한다”고 말했다.

국토부가 11일부터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을대상으로 공모 중인 공공건축물 리뉴얼 선도사업도 성과는미미하다.

공공건축물리뉴얼선도­사업은오래된청사등비­좁고위험한공공건축물­을공공·편의등으로복합개발해­이용자의안전과 편익을 증진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위한 사업이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매년 선도사업을 공모·선정하고선도사업모델­검토및수립을지원하고­있다.

그러나 1~6차에 걸친공공건축물리뉴얼­선도사업후보지는전국­17곳에그쳐가시적인­성과를얻기에는부족한 수준이다. 공공건축물 노후화가 급속히진행되는 반면사업은소규모로진­행되고있어실질적·추가적지원이필요하다­는지적이다.

결국 노후건축물에대한 정확한 조사와 적극적인 투자 확대가 우선돼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건설분야 그린뉴딜사업예산을활­용한 재개발·그린 리모델링의적극적투자­가이뤄질수있기때문이­다.

이와 함께민·관 복합개발 등에도나서야 한다는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공공이주도하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없는 만큼 민간부문의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면서민간의재원­을 활용하는 민·관협력형 혹은 민간주도형방식이필요­하다는것이다.

현재 민·관협력 방식은 인센티브 부여또는 민간참여부분허용 등 소극적인수준에그치고­있는 데다가 분야도매우한정적으로­제한돼있다.

이에따라 적극적인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제반 규정마련과새로운민간­자본투자사업유형개발­이요구되고있다. 새로운 건축물과 노후 시설의특성을 반영한 민간자본투자방식개발­과그와관련된법·제도 정비방안마련이선행돼­야한다.

엄근용한국건설산업연­구원부연구위원은“공공 노후건축물은 대다수가 시·군·구의 중심지역에 위치해 개선사업시행에따라 지역경제에큰 활력을 제공할 것”이라며“재정투자외에민간투자­사업및복합개발등다양­한방식을고려할필요가­있다”고 말했다.

 ??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 공공건축물리뉴얼선도­사업사례중하나인서울­서초구청변경 전(왼쪽), 후(오른쪽 투시도) 모습.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공공건축물리뉴얼선도­사업사례중하나인서울­서초구청변경 전(왼쪽), 후(오른쪽 투시도) 모습.
 ??  ??
 ??  ??
 ??  ??
 ??  ??
 ??  ??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