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내년홀로서는NHN클­라우드,플랫폼도우미지원도함­께제공”

인터뷰 김동훈 NHN 클라우드그룹장900­억규모광주AI센터에­인프라·기술투자처음부터국정­원보안·운영지침맞춤형구축

- 강일용기자zero@

게임 기업이었던 NHN이 클라우드 사업을 시작해통합소프트웨어(SW) 기업으로 체질전환을 꾀한지도어느새8년의­세월이흘렀다.민간·공공분야에서성과를내­며급성장한 NHN 클라우드사업부는 내년부터‘NHN클라우드’라는 이름으로 홀로서기에 나선다. 지난 10개월 동안공공 부문에서1000억원­이 넘는 매출을 낸 것이사업부분사라는결­정을한자신감의배경이­다.

Q. 내년출범하는NHN클­라우드는어떤회사인가?

A. NHN클라우드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IaaS)를 주력으로 하는 회사다. 사내 SW 개발자를 양성하는NHN소프트(구 NHN토스트)나 데이터센터관리에집중­하는 NHN엔터프라이즈와­는 조금 결이 다르다. 클라우드 협업도구(SaaS)를 제공하는 NHN두레이와도 거리가있다. NHN이이렇게다양한­클라우드 개발·관리회사를만드는이유­는고객이원하는모든 IT 서비스를제공하기위해­서다.

이회사들은 기업고객에게클라우드­부터SW 개발까

지다양한 IT 서비스를 통합해제공할 것이다. 장기적으론 NHN AI센터도 협업모델에합류해기업­이원하는 AI기술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플랫폼만제공­하고이용은기업과개발­자가알아서하는 구조라면, NHN은 클라우드플랫폼뿐만아­니라클라우드자회사들­을통해기업과스타트업­이더효과적으로기술을­이용할수있도록다양한­지원을함께제공할 것이다.

Q. 광주 AI센터를 수주했다.관련된사업목표는?

A. 광주 AI센터는 약 900억원의비용을투­자하는인공지능(AI) 국가 데이터센터다. 정부와함께NHN도 관련된인프라와 기술에 투자한다. 국가와 연계해 AI에 대한 핵심적기술을보유하면­서국내스타트업과연계­하는사업모델을만들수­있을것으로기대를해사­업에입찰·수주했다.현재NHN은 AI 생태계구축을위해필요­한기술과플랫폼을만들­고 있다. 단순히 AI 개발에필요한 하드웨어(GPGPU) 임대에그치지않고 지역내기업과 스타트업을지원하는서­비스로발전할것으로기­대하고있다.

Q. 광주 AI센터는 어떤형태로운영되나?

A. 광주시·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HN이협력하는민관­협력사업(PPP)이다. 건물과토지는광주시가 제공하며,계속 광주시소유로 남는다. 서버, GPGPU, UPS(무정전전원 공급) 등 데이터센터에들어가는­인프라는 NHN이제공한다.이후해당인프라를토대­로 NHN이공공클라우드­서비스를제공하게된다.

Q. 기존공공기관전용클라­우드와다른점은?

A. 광주AI센터는 NHN혼자만드는것이­아니다.설계부터운영까지모든 것을광주시등 정부가 요구하는 사항을고려해만든다. NHN은 3600억원규모의광­주 AI플랫폼사업중에9­00억원규모의AI센­터만 수주한 것이다.데이터센터를 포함해 AI 개발과 운영을 위한 여러실증단지와 서비스를 복합적으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는 NHN이 운영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의 AI 기업과연계하는플랫폼­을만들어나가는형태로­이해하면된다.

기존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는 설계와 운영은 민간클라우드 기업이하고 정부로부터클라우드보­안인증을받은 후 민간 클라우드와 분리된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면NHN이추진하는 PPP모델은 처음부터정부(국가정보원)의보안·운영가이드라인에따라­구축했다.

PPP모델을 통해NHN과 정부는 SW 유지·보수가 어려운기존공공SW 발주시스템의문제를해­결할 계획이다.예를들어정부가공공 서비스에 AI를 도입할 때이를일일이발주하지­않고광주AI센터에서­즉시임차하는모델을 생각해볼수 있다. 민간의신속함을공공에­적용하면서정부의보안­가이드라인을준수할수­있다.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