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가능성무궁무진한메타­버스시장…중기도기회다

-

최근메타버스가주목받­으며산업적가치와활용­가능성에대한논의가 뜨겁다. 메타버스는 SNS에친숙한 MZ세대에게는 이미익숙한 공간일수 있다. 메타버스가 아직가상의아바타를 통해가상공간을 경험하는 수준 정도라고생각할수 있지만, 세계적인혁신가들이메­타버스를바라보는시선­은조금다르다.

글로벌컨설팅기업Pw­C는 2030년메타버스시­장규모가 1조5429억 달러(약 177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고,아마존등글로벌시가총­액상위10개기업중 7개기업이메타버스 관련 사업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역시“향후 5년 내페이스북을 메타버스 기업으로 탈바꿈하겠다”는 비전까지밝혔다.

메타버스는 최근 코로나19로 비대면‧플랫폼 비즈니스가 확산되고 서비스 수요가크게확대됨에따­라더욱 각광 받기시작했는데, 메타버스 성장의주요 바탕은 ‘플랫폼’ 비즈니스의확대와이를 뒷받침하는 ‘인프라’, ‘하드웨어’ 기술,그리고‘콘텐츠‧솔루션’의발달이라볼수있다.

우선 로블록스, 제페토와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 산업이형성됐고, 5세대(5G) 서비스가상용화되면서­메타버스플랫폼 활용이 수월해졌다. 또한 메타버스의핵심기술인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술과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MR(혼합현실)을아우르는XR(확장현실) 기술발달로메타버스 산업의성장은가속화하­고있다. 지난해페이스북 자회사가 내놓은 VR기기오큘러스퀘스­트2는출시2개월만에­100만대가 판매됐고,이는과거아이폰초기모­델의판매량과비슷한수­치다.

현재 메타버스 관련 하드웨어기술은 무게감, 해상도문제등의기술적­과제에 놓여있다. 이에따라 많은 기업에서시‧청각 등입출력인터페이스의­하드웨어기술과,카메라를통한영상 인식, 센서등소프트웨어기술­에대한연구가한창이다.

최근국내한중소기업이­VR‧AR 기기의핵심부품인‘광학모듈’국산화에성공한것처럼,하드웨어기기의소형화,경량화등편의성을높이­는핵심부품분야에서도­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 이미자동차업계에서는 디자인, 설계,주행테스트등을가상에­서활용 중이며, 항공업계에서도 재고정보,공장가동등을가상구현­해작업효율을높이는등­다양한산업분야에서도­메타버스기술이활용되­고 있다. 또한 NFT(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기술발전으로가상자산­거래가가능해지면서메­타버스의비즈니스확장­성까지높아지고있다.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TIPA)은 메타버스기술관련솔루­션을 개발하는 ‘스마트서비스 연구개발(R&D)사업’ (2021년~)과 이와연계해보급을지원­하는‘스마트서비스정보화지­원사업’(2020년~)을 지원한다. 올해12월에는 중기부, 카이스트(KAIST)와 ‘중소기업 혁신네트워크 포럼’에서메타버스에관한중­소벤처기업지원방안을­정책어젠다로설정해R&D지원사업과연계한다­양한지원방안을모색할­예정이다.

범부처 차원의 협업도 필요하다. 향후, 메타버스

BI(Business Incubating)를 활용해사업아이템개발­과서비스 검증이가능하도록 환경을 마련해주고 메타버스관련기술 지원, 콘텐츠 제작 등 중소벤처기업이메타버­스 시대를 준비할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지원이필요하다. 현재는메타버스가엔터­테인먼트분야등 B2C 영역에서빠르게대중화­되고 있지만, 앞으로는 중소벤처기업들이협업­하는메타버스플랫폼등 B2B 비즈니스로확장될것으­로보인다.

메타버스시대는이미시­작됐다. 메타버스기술이산업현­장에적용돼가는과정에­서사회적관심과공감대­를통한 균형적인 시각이필요하며 윤리, 도덕성등 부작용에대해서도 고민해나가야 할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들도 변화의흐름속에새로운­인사이트를얻어새로운­비즈니스가치를 발굴하고, 자사만의기술경쟁력을 키워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기를바란다.

 ??  ?? 이재홍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이재홍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원장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