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디즈니플러스, 11월한국상륙…고민깊어진토종OTT

넷플릭스와국내시장양­분할듯이통사파트너는­LG유플러스유력웨이­브·티빙등국내업체대규모­투자에도콘텐츠양등글­로벌공룡맞서기역부족

- 오수연기자syoh@

월트디즈니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플러스(디즈니+)’가 한국 공식진출일을 확정했다. 넷플릭스와디즈니의격­전지가 될국내콘텐츠 시장은 활기를 띨전망이지만,토종OTT의생존전략­고민은깊어지고있다.

8일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는 디즈니+를 오는 11월12일한국시장­에출시한다고밝혔다.

이동통신사의디즈니+ 잡기협상도마무리단계­다. 국내진출 파트너로는 LG유플러스가 가장 유력하게거론된다.황현식LG유플러스대­표는“론칭날짜가얼마남지않­아서막판협상을하고 있다. 잘될것으로 생각한다”고말했다. KT도협상을이어가는­것으로알려졌다.

현재국내OTT 시장의압도적1위사업­자는넷플릭스다. 앱·리테일분석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앱사용자 수 분석에따르면지난 7월 한 달 동안 910만명이 넷플릭스를 이용했다. 다음으로 웨이브가 319만명, 티빙이278만명을기­록해각각 2, 3위에올랐다.

디즈니+출시에따라국내OTT 시장은넷플릭스와디즈­니+ 양강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디즈니+는 픽사, 마블, 스타워즈등강력한 지식재산권(IP)을 보유하고 있다.이를토대로출시1년 4개월만에가입자1억­명을 돌파하며글로벌시장에­서1위넷플릭스를 바짝 따라붙었다. 2분기기준 전세계넷플릭스 유료 가입자는 2억900만명,디즈니플러스는1억1­600만명이다.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출생 세대)를 중심으로다중접속 계정(멀티프로필)을 활용해여러OTT를동­시에구독하는행태가 나타나는만큼 디즈니+ 진출로당장은넷플릭스­이용자이탈현상이일어­나지않을것이라는시각­이지배적이다.

국내 OTT 업체들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디즈니는 최근 경쟁력강화를 위해국내미디어플랫폼­에콘텐츠공급을 중단했다. SK브로드밴드, KT, LG유플러스 등IPTV 3사와 웨이브, 시즌, U+모바일tv, 티빙등 OTT에서지난달 31일을 끝으로 주문형비디오(VOD) 서비스를중단했다. 당장 해외콘텐츠 공백을 메우는 과제가 급선무다.

장기적으로 국내 OTT의 콘텐츠 수급은 한층 어려워질 전망이다. 글로벌 OTT는 한국시장을아시아 콘텐츠첨병기지로 보고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넷플릭스의올해콘텐츠­투자예산은약 190억 달러(약 22조원)로 알려졌다. 한국에만 5500억원을 투자하고, 이례적으로 국내스튜디오까지확보­했다. 디즈니+는 2024년까지오리지­널콘텐츠에매년25억­달러(약 2조9120억원)를 투자한다.한국시장투자계획은알­려진바 없으나,스튜디오앤뉴에660­억원을 투자해향후 5년간 매년1편이상의콘텐츠­를공급받는계약을체결­했다.

국내에서는 CJ ENM이 향후 5년간 5조원, 콘텐츠 웨이브가 2025년까지 1조원, KT가 2023년까지 4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대규모 투자에나섰지만 글로벌OTT에비할바­가못 된다.콘텐츠제작시장은활기­를띨전망이나토종OT­T의표정은어둡다.

김용희숭실대경영학과 교수는 “디즈니+의경쟁합류로 국내콘텐츠 투자가 활성화하고 시장 규모가 성장할전망이나, 콘텐츠 제작 시장 소위 ‘풀부킹’ 상태가 돼국내플랫폼은 제작·수급에어려움이예상된­다. 투자 규모에한계가 있겠지만, 투자를 늘리지않으면 경쟁에서밀릴 처지에 처한다”며“현실적으로 일반적인 콘텐츠로는글로벌OT­T와 경쟁에한계가 있다.애니메이션에특화한‘라프텔’처럼 차별화된전략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말했다.

 ?? [AP·연합뉴스] ?? 월트디즈니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디즈니플러스)’가 한국시장에상륙한다.
[AP·연합뉴스] 월트디즈니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디즈니+(디즈니플러스)’가 한국시장에상륙한다.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