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은행들‘맞춤형금융서비스’로고령층부담던다

상반기日평균카드이용­액2.7조코로나19여파비­대면결제급증키오스크·모바일뱅킹등낯선디지­털화에소외오프라인점­포도감소…접근성갈수록떨어져농­협은행,느린ARS·어르신전용전화창구특­화

- 배근미기자athen­a3507@서민지·이봄기자spring@

올해상반기카드결제규­모가 작년대비8%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에따른외부활동자­제등으로스마트폰등을­통한비대면결제규모가­1년새24%가까이급증했다.

8일 한국은행이발표한 ‘2021년 상반기지급결제동향’에따르면 2021년 상반기중지급카드이용­규모는하루평균2조7­000억원으로1년전­보다 8.4% 포인트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

한은 측은 “상반기 중 민간소비회복이본격화­되면서신용카드와 체크카드 이용규모가 각각 10.2%, 5.4% 증가했다”면서“다만 선불카드 이용규모는 지난해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따른 기저효과로67%가까이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결제형태별로는비대면­결제증가세가 두드러졌다.올해상반기스마트폰 등 모바일기기를 통한 비대면결제규모가 하루 평균 1조원으로 작년대비 23.4%급증했다. 전체결제중 비대면 결제비중 역시매년상승해(2019년 33%→2020년 상반기 36.9%→하반기38.8%) 올해상반기에는 40%(41.2%)를 넘어섰다.

접근기기별로도 실물카드 결제 증가폭(2.2%)보다모바일기기(21.4%)를 활용한 결제증가폭이눈에띄게­컸다.이는모바일기반의비대­면결제뿐아니라대면 결제까지도 삼성페이등과 같이모바일기기를 접촉하는 결제방식이빠르게확산­되고 있기때문으로풀이된다. #경기도 성남시에사는 A씨(63)는 모바일뱅킹사용을오늘­도 포기했다.스마트폰사용이익숙지­않은A씨에게모바일뱅­킹은 낯설기만 하다. 집주변 은행이최근 폐점한탓에주거래은행­을 이용하려면 버스를 타고 두 정거장을더가야 한다.오가는데만1시간이소­요된다.

은행권의디지털화로 모바일과 인터넷을 이용한 비대면금융서비스가 오프라인영업점을 대체하면서, 고령층과 장애인 등 디지털 금융소외계층 보호에비상이걸렸다. 비대면·디지털화에 따른 은행권의오프라인 점포가줄면서금융소외­현상이문제점으로떠오­른 가운데,이러한격차를해소하기­위한은행권의노력에이­목이쏠린다.

◆고령층모바일뱅킹이용­률10%대 불과

8일 한국은행에따르면지난­해말 국내은행의인터넷뱅킹(모바일뱅킹포함)을 통한일평균 자금이체및대출신청서­비스이용 건수는총 1333만건으로 전년같은기간보다 11.95% 증가했지만, 고령자와 장애인의인터넷뱅킹이­용률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기간 60대이상의모바일뱅­킹이용 비율은 13.7%에 그쳤고 인터넷뱅킹이용도 60대가 14%, 70대 이상은 4.3%에불과했다.

스마트폰을 아예사용하지않는 고령층도 많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2020년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에따르면 60대의 89.7%는 모바일스마트 기기를 보유하고있지만70대­이상의경우일반국민의­절반수준인 44.9%만모바일스마트기기를­보유하고있다.

5대 시중은행의 60대 이상 고객 이용자 수는 △NH농협은행 932만명 △KB국민은행 756만명 △신한은행615만명 △하나은행 481만명 △우리은행 510만명으로총 3294만명에 해당한다. 이들은 전체은행이용자의약2­1%에해당하는고객이다.

그러나,고령층이주로이용하는­은행지점은계속해서줄­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은행이지난 7월한달간 폐쇄한영업점은 60곳에 달했다. 상반기폐쇄한 지점(51곳)을 넘어선 수치다. 영업점축소는 연말까지이어진다. 시중은행의계획대로 통폐합이진행된다면올­해200여곳을정리하­게된다.

◆금융소외계층없게…농협은행서비스’눈길

모바일뱅킹이보편화하­면서금융소외계층 해소 문제가 떠오르자, 은행들은 디지털금융 격차를 줄이기위한대안책을마­련하고있다. 가장눈에띄는곳은NH­농협은행이다. 농협은행은 ‘고객행복센터’를 컨트롤타워로해고령층­은물론청각·언어장애인을위한맞춤­형서비스를제공중이다.

금융소외계층해소를위­한대표적인서비스는‘느린말서비스’다. 느린말 서비스는고객행복센터­에고령층의고객이전화­를건 경우, 일반 서비스보다 70% 느린 ARS(자동응답시스템)가자동적용된다.버튼입력대기시간도기­존(5초)보다 4배(20초) 길다.

또한, 농협은행고객행복센터­는어르신전용전화 전담창구를 통해맞춤형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어르신들이이해하기쉽­도록 천천히쉬운 말로 설명하며, 어려운 금융용어는 친숙한 단어로 교체해쉬운 말로 설명해주는탓에이용률­도 높다. 1개월 평균이용건수는 700건 정도로,예금·전자금융·대출등은행업무전반에­대한상담이이뤄지고있­다.

다른 은행들도 금융취약계층 보호에힘을 쏟고 있다. KB국민은행은 고령층 고객을 위해메뉴 구성이단순하고 큰 글씨로 안내하는 ‘골든라이프뱅킹’ 채널을 별도로운영하고 있으며, 신한은행도 조회·이체·입출금 서비스메뉴 등을 특화하고 큰 글씨체로 변경가능한 신한S뱅크미니를 운영 중이다. 우리은행도 비슷한 서비스와 함께‘어르신 전용전화’도 운영중에있으며, 하나은행의경우시니어­전문금융상담원을배치­한어르신전용전화로고­령층의금융상담을돕고­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