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남한산성에서호국의숨­소리를듣다

-

남한산성최고명소는 수어장대(守禦將臺)다. 1751년 광주유수(廣州留守)이기진(李箕鎭)이영조의명에따라 2층으로 증축했다. 본래는 서장대(西將臺)라고 했다. 인근 매바위(鷹巖)에는 ‘수어서대(守御西臺)’라는 각자(刻字)가 남아있다. ‘서장대’가 ‘수어장대’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준다. 오른쪽아래마당에는 ‘무망루(無忘樓)’가 있다. 1989년 수어장대2층에있던현­판을이자리로옮겼다.인조의삼전도치욕과효­종의북벌을잊지말자는­의미로영조가썼다고 한다. ‘능력이뒷받침되지않는­북벌계획일지라도잊지­는말자’던무망루곁에는대한민­국건국초기정치인이심­었다는기념식수가 있다. ‘점심은 평양에서먹고저녁은신­의주에서먹는다’는 그허세는북문인 ‘전승문(全勝門)’ 이름과 맞닿는다. 병자호란때군사 300명이 대기하다가청군의기습­을받고전멸한 곳이다. ‘이일을기려패하지말고­이기자’라는의미로붙였다고 한다. 쩝!하긴정치를하려면대내­용발언도필요한법이라­고해두자.

발길을붙들어매는것은 청량당(淸凉堂)이다. 주봉인청량산에서비롯­된이름이다. 청량당근처에는당주가­머무는집이있었다. 안방건넛방그리고 부엌이있는단출한 세칸 초가집이었다고 한다. 그때의향나무와 전나무는지금도그자리­를지키고있다.육이오때소실된것을이­후청량당만 복원했다. 영험있는 산신기도처로 알려져지역주민과 토착종교인들에게인기­있는유명굿당이기도하­다.

전쟁을대비하면서남한­산성을쌓는국가적큰일­을할때는알게모르게억­울한 희생자도나오기마련이­다. 당사자인이회(李晦)는 총융사(摠戎使군사 총책임자) 이서(李曙1580~1637)의 부하였다고 한다. 동남쪽 방향의성을 쌓으라는 명령을 받고 건설현장에투입되었으­나 진도가 지지부진했다. 공사비를 모두 지출하고도 부족한지라 사재를 털었고 그것도 모자라는지라부인송씨­와유씨가 삼남(三南·충청호남 영남)지방으로 화주(化主·모금)를 떠났다. 결국공금횡령이란죄목­을둘러쓰고이자리에서­극형에 처해졌다. 모금을 마치고 돌아오던부인들도 그 소식을 듣고서송파나루근처 쌀섬여울(米石灘) 강물에몸을 던졌다. 뒷날 재조사를 하게되었고험한지형과­꼼꼼한기초공사때문에­공기(工期)를 채우지못한것이알려지­면서누명도 벗게 되었다. 두 부인의원혼을 달래기위해한강변에재­각(齋閣)을 세웠고이회도수어장대­자리에사당을 세웠다. 세월이흐르면서한강변­재각은없어지고 청량각에 합사(合祀)되어오늘에이르고있다­는줄거리다.

실제로 남한산성을 완성한 사람은 벽암각성(碧巖覺性1575~1660)대사가지휘한 의승군이다.병자호란이일어나기직­전에3년만에완공했다.그공로로 산성으로 피난 온인조에게‘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라는시호를받았다.

조선왕조실록 현종10년(1669) 6월 20일(신사)에는 당시상황을유추해볼수­있는기록이남아있다.

“광주부윤(廣州府尹) 심지명(沈之溟)이임금께아뢰었다. 병자년(1636년인조14년)에(남한산성쌓을 때)승군의힘이가장큰도움­이되었습니다....신(臣)이 지난해(1668) 북문과서문을건립할때­일반백성(民丁)이3일동안한일이승군­이하루한일에도미치지­못했습니다. 대체로승군들은부역할­때죽을힘을다해일하기­때문입니다.”

부역때문에마지못해끌­려나온일반백성들보다 승군들의 울력(일) 속도가 3배나 빨랐다는 이야기다. 결국 ‘이회사건’ 이후에모든일을승군이­떠맡게되었을 것이다. 성을 완성한 후 남은 공사대금을 국고에반납까지했다. 1846년 홍경모(洪敬謨1774~1851)가 편집한『하남지(河南志)』권9 성사(城史)에는 이를뒷받침하는기록이­남아있다. 이회이름은아예보이지­도않는다.

“영의정이원익(李元翼)과 연평부원군 이귀(李貴)가 남한산성수축을청하였­다.총융사이서(李曙)에게명하였다.이서는고승인각성(覺性)과 응성(應性)등을불러지역을나누어­일을 맡겼다.”

본래산성안에는사찰이­두개밖에없었다. 추가로7개를 새로건립했다. 동문근처의개원사(開元寺)는본영사찰이었고나머­지8개사찰은팔도에서­차출된승병들이출신지­별숙식처로이용했다.나라의어려움앞에서조­선팔도에서달려와서하­나가 된모범사례이기도 하다. 이후 270년 동안수도한양을지키는­호국사찰역할을겸했다.

남한산성안에는많은사­당이있다. 청량당에는 이회(李晦), 숭열전에는이서(李曙)를 모셨다. 이서는 남한산성뿐만 아니라 각처의산성을 수리했고뒷날병조판서­를역임했다.병자호란와중에과로로­인하여남한산성에서순­직하였다. 청계당(聽溪堂)에는 벽암대사를봉안하고매­년제사를지냈다. 세사람모두남한산성관­련공로자들이다. 현재청계당은없어지고­영정은청량당으로 옮겨졌다.일부에서는 청계당과 청량당이처음부터같은­집이었다고한다.하지만현재정면에이회­를봉안하고좌우로벽암­대사와이회의두부인을­모신걸로미루어보건대­같은집이라고보기에는­억측이지나친것 같다. 구전기록이가질수밖에­없는 한계이니그러려니하고­알아들으면될일이다.

무신도(巫神圖)에가까운 청량당, 영정이아니라 제대로된벽암대사의진­영에호은유기(好隱有璣1707~1785)는 이렇게찬(讚)을 부쳤다.호랑이를그리되포효하­는모습까지미칠수있는­가?터럭뿐이로다.사람을그리되그속마음­까지드러낼수있겠는가?얼굴뿐이로다.벽암존자의영정에서그­명성과 덕행을드러낼수 있는가? 의대(衣帶 왕이내린가사)뿐이로다.

나의 찬사(讚辭)가 하늘과 땅을 감화시킨그모습을다드­러낼수 있는가? 붓의행로가막힐뿐이로­다.

 ?? [사진=원철스님 제공] ?? 수어장대무망루
[사진=원철스님 제공] 수어장대무망루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