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보수텃밭꽃길놔두고黨­쇄신승부수…청정정치판근간만들다

- 김두일기자dikim@

그는 소년 시절부터 ‘열정’을 가슴에늘 되새겼다. 그열정이란 모범생기질이기도 하고, 무엇이든지한번한다면­하는그런기질이다.

그는 학창 시절 어머니가 장사하시는 남대문시장의서너평짜­리수예품가게에가보곤 했다.나일론제품에서뿜어져­나오는유해물질때문에­눈이따가워살 수 없었다. 내뿜는 독소를 매일들이마시며일하시­는어머니를생각하니가­슴이저며왔다. 그는그때‘집안을 일으켜세워야겠다’고다짐했다.이를위해선사법고시에­붙는것외에는 방법이없었다고 생각했다. 대학생이된청년은곧바­로실행에옮겼다.결과는합격이었다.

청년은이제어엿한변호­사가 됐다. 곧바로개업을 했다. 생계를 위한 길이 트인 것이다. 변호사 개업 1년도 안 됐을 때 ‘일조권’ 사건 하나를의뢰받았다.

어느 날 변호사 사무실에 한두 명도 아니고여러 명이 떼 지어 우르르 몰려왔다. 뭐가 그리억울했나 싶었다. 알고보니일조권피해를­호소하는 의뢰인들이었다. 나중에알았지만 이들은이쪽저쪽 안 찾아 본 변호사 사무실이 없었다.당시만해도이런사건은­맡아주질않았다.지금에야 일조권이보편적권리가 됐지만 그때만 해도실체가 없었다. 변호사들은이게아니어­도돈벌일이 많았다. 그러니이사건이 ‘퇴짜’를 맞은건어쩌면당연했다.후일이사건은대한민국­최초의일조권판례를만­들었다.

하지만 초짜 변호사는 모든 사건에열정적이었다. ‘잘하면되겠다’고 판단했다.그러나국내에는일조권­에대한판례도학설도 전무했다. 그래서일본사례를 뒤져봤다.일본에는많은판례가있­었다. 대개법이란 독일에서일본을통해우­리나라로 들어온다.일본에판례가있으면우­리도판례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승소가능성은매­우높다고판단했다.

변호사는우여곡절끝에­일본판례를번역해판사­에게갖다줬다. 1·2·3심에서 승소했다.변호사는이때일본어에­능통했고환경

에도눈을뜨기시작했다.

일조권소송은몇년이라­는시간이걸렸다. 소송 상대인 해당 건설업체는 국내굴지 대기업이었다. 이회사 변호사 또한 쟁쟁했다. 대법관 출신변호사였다.이를상대로초짜변호사­가승소를 이끌었다. 변호사는이과정에서환­경단체사람들을자주만­날수 있었다. 당시변호사는 ‘공해추방연합(공추련)’이라는 시민단체를 찾아갔다. 무슨 자료라도 얻을 수 있지않을까 해서였다. 이때시민단체가 이렇게열악한 환경에처해있는 줄 처음 알았다. 광화문에있는 허름한 다락방이었다. 불쌍해서변호사가 오히려도와줘야 했다. 변호사는이렇게시민단­체속에빠져들었다. 변호사는 갈 때마다 밥도 사주고 하면서이들과 친해져어느새시민단체­운동가가 돼있었다. 무료 환경 법률 상담도 해줬다. 지금으로말하면재능기­부자였다.

당시시민단체회원들 월급은일반 시민월급대비4분의1­정도에불과했다. ‘이렇게어렵게살면서도 사회에 헌신하면서 사는구나’ 생각하니애처로웠다. 한창나이에사명감하나­로돈도안벌고열정을불­사르고있었다.그는감화를받았다. 같이환경운동을 하기로 했다. 이렇게몇 년시간이 흐르면서변호사는 공추련 상담실장도되고 일조권 사건에서도 어느새 승소했다. 대한민국일조권첫판례­를 얻어냈다. 초짜변호사가말이다. 어느새 ‘스타 변호사’가 돼 있었다. 그럴수록 시민단체활동을 더열심히 했다. 더많은열정을 갖고 했다. 급기야 공추련은 환경운동연합으로 바뀌고 그는 여기서법률상담실장과 중앙위원회위원을맡게­됐다.

변호사는 환경연합에서 주인의식을 갖고 일을 했다. 시민운동가가 돼 버렸다. 환경에 관한법을만들고 제도를바꾸기위해환경­부공무원을 만나야 했고 때론 국회의원도 만나야 했다.하지만 변호사로선 넘기 힘든 벽이었다. 국회의원과 공무원들은 고압적이고 무성의하기만 했다. 해준다고 해놓고 해주지도 않고, ‘개무시’ 당하기일쑤였다. 울분도 쌓였다. 하지만 변호사는이제스타가 아니던가. 방송에출연해프로그램­진행도 맡고, CF 주인공도 되고 연예인보다 더잘나가는셀럽변호사­아닌가.

이 무렵 변호사는 여야 양당에서 정계 진출제안을 받는다. 먼저제안한쪽은여당이­었다. 새해아침청와대에서전­화한통이걸려왔다.김대중 대통령이었다. 정계진출 제안을슬며시받았으나­변호사는속내를보이지­않았다.

이어야당인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한테서도전화가 왔다. “한나라당은 당신 같은 인재가 필요하다”고 했다. 변호사의 원래 꿈은 정치인이아닌 대학교수였다. 모교에서 대학교수를 하고싶었다. 당시시민단체에몸담고 있던변호사는기나긴숙­고끝에이를수락했다.

법·제도 하나를 바꾸기위해얼마나 많은 설움을 당했던가. 국회의원이되면환경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는 환경연 활동가들권유도 적극 받아들였다. 변호사 신분으로 국회문턱을 넘나들기가얼마나 힘겨웠던가. 이총재의입당 제안을받아 정치인이됐다. 변호사는쉬운여당의길­을놔두고야당을 택했다. 어려운사람을 돕고, 더노력하는 사람에게더많은 기회와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나라를 만들자는 데공감했기때문이다.어쨌든그날 화창했다.하늘도파랗게높았다.온 세상이초록으로물들어­있었다. 국회의사당에핀꽃이이­렇게아름다운줄은 국회의원 4년임기마지막날처음­알았다.

짧다면짧았던 시간이었다. 17대 총선불출마를 선언하니초선의원은마­음이너무나홀가분했다. 이제서야 국회앞마당에핀 꽃이 처음 그의눈에들어온 것이다. 지난 4년간 그는의정활동에파묻혀­살았기때문이다.

이기간그는개혁적이고­파격적이기만했다.그는 정치자금법을 개정했다. 일명 ‘오세훈법’이다. 또 ‘수도권 대기환경에관한 특별법’을 제정했다. 두 법은 그의 인생에서 결정체요, 활짝핀꽃이었다.

초선 의원은 4년 내내 개혁적행보를 걸었다.원희룡, 남경필,정병국등소장파의원들­과‘미래를 위한 청년연대’를 결성했다. 여의도에선 이들을 가리켜 ‘미래연대 5인방’이라고 불렀다. 미래연대는당내정치개­혁과당쇄신을 위한 모임이다. 여기서그는공동대표를 맡고 모임의총대를멨다.

이어 2002년 “제왕적 총재를 폐지하자”고 주장했다. 17대 대통령선거를 불과 6개월 남겨놓은 시점이었다. 당내 파장이 클 수밖에 없었다.초선 의원은 막무가내였다. 공천권을 쥐고 있는당 중진들에게까지도 거침없이들이댔으니말­이다. 그의지역구는 ‘강남(을)’이다. 이곳은보수진영텃밭이­다. 꽃길이다. 가만히누워있기만해도­감이저절로 떨어진다. 그렇지만 그는 개의치않았다. ‘이 한몸던져당을 개혁하고 쇄신해야 한다’는 주의였다.

이렇게되자 당내에선 ‘젊은 x이 어쩌구 저쩌구, 싸가지없는x이어쩌구 저쩌구’하는비난일색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굽히지 않았다. 그러나개혁하지 못한 이 정당은 그해대선에서끝내패배­하고 말았다.대선2연패를당한 것이다.

이듬해 그는 다시 심기일전했다. 그의개혁칼날은 5·6공 세력을 향했다. 그는“한나라당이수구적이미­지에서벗어나야 한다.그러려면 5·6공 세력이퇴진해야한다”는 주장이었다. 그는 고삐를더옥죄었다. “5.6공 세력, 용퇴하라.그러면이초선의원도같­이물러나겠다”였다.

그가 17대총선불출마라는­배수진까지쳤다.이 불출마 약속은 그대로 지켰다. 불출마 선언후일명‘오세훈법’은 국회를 통과했다.옥동자는이렇게 탄생했다. 기업의정치자금 후원금지및후원금대폭­축소가 골자였다.다시말해‘가난한정치초년생도소­신껏정치할수있게 하자’였다.이는그가어렸을때부터­가졌던신념과 맞아떨어진다.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관한 특별법’도못지않게 중요했다. 이특별법도 국회를 통과했다. 이특별법시행일은 2006년 7월 1일. 이날은그가 서울시장에당선돼 임기를 시작하는날이었다. 즉, 자신이직접만든 특별법을 최초로 실시하는광역단체장이­됐다.그는이때문에‘미세먼지는내운명’이라고믿고있다.

사람들은그를 정치가, 행정가로알고있지만그­의핏속에는환경운동가­DNA가 흐르고있다.이특별법은수도서울뿐­아니라나라전체를맑고 깨끗하게 만드는 데 근간이 되고 있다. 서울녹지축 구축, 한강르네상스, 자전거보급, 천연가스·전기차보급등이대표적­이다.

그는 지금도 “온실가스 해결 없이 미래 도시발전은 있을 수 없다”고 단언한다. 서울을 비롯해전국에서하고 있는 대기오염방지관련정책­은초선의원이만든 특별법에서기인하고 있다.그속에는 대기질 개선과 관련된 모든 시스템이갖춰져있다.

초짜변호사가대기업상­대‘승소’스타변호사반열이회창­제안에정치입문…초선때부터개혁과파격“제왕적총재폐지”당중진등기득권상대소­신행보환경개선법통과…직접만든특별법시행첫­사례

 ?? [사진=서울시] ?? 지난 2004년 오세훈 국회의원이 철인 3종 경기를끝낸뒤기쁨을만­끽하고있다.
[사진=서울시] 지난 2004년 오세훈 국회의원이 철인 3종 경기를끝낸뒤기쁨을만­끽하고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