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세계적인신약개발위해­선자본·기술·업계·정부협업필요”

- 김유연기자coolc­ool@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가기 위한 필수 조건은 ‘글로벌 제약 기업의 개발’이다. 앞으로 자본,기술, 산업계와 정부의 협업이 뒷받침된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글로벌 제약 기업으로 발돋움할수 있다.”

허경화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KIMCo) 대표는 24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아주경제주최­로열린 ‘제12회글로벌헬스케­어포럼’에서 ‘제약바이오산업 동향과 우리의과제’라는주제강연을통해이­같이말했다.

허대표는 글로벌제약시장 현황에비해국내제약·바이오 산업은 외부와 협업하는 데뒤처져있다고지적했­다.

현재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년(2019~2021년) 동안글로벌 제약·바이오 성장률은 평균 6.1%를 유지하고 있고 있으며 향후에도 6%대를 유지할 것으로 관측된다. 따라서 2026년에는 글로벌의약품시장규모­가 1350조원에 이를것이라는전망이다. 미국 FDA 신약현황도지속적으로­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FDA 신약 허가 품목은지난해50건으­로 2016년부터 2020년 평균 허가품목수인 45.6건을 넘어섰다.

허 대표는 “글로벌 시장의 개발 동향 상황을 살펴보면 혁신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외부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라이선스 계약은 질환별·기술별로 집중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특히 질환 분야는 Oncology(56%) & CNS(22%), 기술 분야는mAb(30%), Cell & Gene therapy(31%)가 트렌드를주도하고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구조 역시 민간·공공분야에서 투자가 늘어나며 선진화의 변곡점에있는 상황이다.국내제약산업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23조원에 달한다. 의약품 수출 규모와기술수출 규모는 각각 9.9조원, 13조4000억원에­이른다. 같은기간국내제약기업­의매출대비연구개발비­중은14%를 차지하고있다.

다만한국은글로벌대형­제약사의외부파트너십­을 통한 개발 비중은 다소 낮은 상황이다.실제국내라이선싱인·아웃이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지만 국내중소벤처사와 대·중견기업 간라이선싱은20%수준에불과하다.

허 대표는 “국내에 머물고 있던 제약·바이오기업들이글로벌­화하고있다”면서“앞으로몇년이(국내 제약산업의) 10년을 좌우할수있는만큼 집합적인 역량을 만들어내고 글로벌역량을키워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이어“K메가 펀드확보등국내자본시­장에구조적변화가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그는 “기술적인부분은이미국­내기업의의약품 파이프라인을 비롯해 연구개발 비용과임상1·2·3상 비율은지속적으로늘어­나고있지만라이선싱인·아웃 비율은 2020년부터 줄고있는추세”라며 “무엇보다 산업계 자원과 역량을 집결한 ‘협업 플랫폼’ 확보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