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경제안보시대,기업인홀대하는한국

-

삼성그룹의이재용 부회장이나 현대자동차의정의선회­장은군복입고총을쏘는­군인은분명아니다. 그러나이들은한국의어­느장병못지않게국가의­안보를책임지고 있다. 이 점은 지난달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한국을 방문했을 때절실하게실감할 수 있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의방한 첫 일정을 평택의 삼성전자 공장에서시작했고 현대자동차와의만남으­로 마지막 일정을마무리지었다.한국의안보에필수적인­동맹국미국의 지도자가 전하는 메시지는 명확했다. 즉 경제가안보이고안보가­경제라는얘기다.

한미동맹, 경제·기술 차원으로진화

바이든대통령의이러한­행보는물론국내정치적­타산에 기인한다. 중요한 중간선거를앞두고 고물가 등으로 인해 날로 추락하는 자신의인기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삼성이나 현대의대규모미국투자­가 절실하다. 이를통해일자리를확보­하고지역경제를활성화­시켜선거에도움을얻겠­다는것이그의계산이었­을 것이다. 그러나그이면에는초강­대국미국의지도자도움­직일수있는 한국 기업의 위상이 눈에 띈다. 미국 대통령에게한국의대기­업은한국정부지도자이­상의중요성을갖는다.

신냉전 시대를 맞아 날로 중요시되는 경제 안보의차원에서 봐도 이는 당연한 현상이다. 미국과 중국이경제및기술패권­을위해대결하는가운데­신자유주의시대의 세계 경제는 차츰 분절화되고 이는 한국 같은수출주도형경제에­큰도전이된다. 혼란스러운탈세계화의­와중에서미국역시우방­국을중심으로무역체계­및 공급망을 새로 구축해야 할 과제가 있다. 러시아의우크라이나침­공으로인해미국에게나­토및유럽국가와 결속은더욱 시급해졌다. 바이든 대통령이도쿄에서천명­한 인도 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역시같은배경을안고출­범했다.

일본, 호주 등과 함께한국이이런 체제에 참여하게된것은 미국 등 다른 참가국들에게한국의기­업과 기술이그만큼 필요하기 때문이다. 중국, 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와 맞서는 민주주의 및 시장경제 국가 연합에있어한국의협력­은 필수적이다. 삼성, 현대, LG, SK등 대기업이보유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5G 기술등은미국 등 주요 국가의경제를 돌리는 데필수적인요소가 되었다. 그런의미에서 한·미 동맹은 과거안보 차원에서이제는 경제, 기술차원으로급격히진­화하고있다.미국으로서는경제,기술의이유만으로도한­국의안보및방위에기여­해야할이유가있는 것이다.

대만에 TSMC 같은기업없었다면?

미국의이러한 정책방향을 확인할 수있는 또다른사례는대만이다.중국이대만침공위협을­계속하는상황에서바이­든 대통령은 유사시미국이대만을군­사적으로돕겠다는의지­를최근몇차례표명했다.백악관의일부부인이있­었지만그의의도는명확­해보인다. 이는1979년 미·중 외교수립후미국이인정­해온하나의중국원칙에­위배되는것이고그동안­미국정부가취해온전략­적모호성도포기하는 것이다. 이배경에는역시반도체­등첨단분야에서대만의­협력이미국에게는꼭필­요하기때문이다. 만일대만에 TSMC 같은세계적인첨단기업­이없었다면대만의안보­는지금보다훨씬더불안­해졌을 것이다. 러시아의우크라이나 침공을발판삼아중국은­대만침공위협을더욱노­골화했을것이다.

급변하는경제안보시대­에한국기업은밖에서그­만큼중요해지고환대받­고있지만국내에서는아­직도홀대받고있는 상황이다.재벌및대기업에대한규­제는쉽사리풀리지않고­기업인들은아직도따갑­고부정적인시각에시달­리고 있다. 부도덕한부패와비리의­온상으로지목받기도한­다.물론이는한국기업이자­초한일이다.오랜기간권력과밀착하­여특혜를통해사업을확­장했고그과정에서노동­자를탄압했고환경오염­등많은사회

적인문제를야기했다.아직도몇몇대기업및기­업총수들은이러한문제­로인해법과여론의심판­을받고있다.

그러나이런점은과거에­비해많은개선을보이는­것도사실이다.윤리경영을실천하고이­익의사회환원에힘쓰며­환경문제등의해결에도­앞장서는소위ESG 경영을채택하는기업도­늘고있다.그럼에도아직한국에는­반기업정서가강하고특­히대기업을보는시각은­매우부정적이다.이는어찌보면한국문화­가오래간직하고있는사­농공상의전통과도관련­이있다. 재물을얻기위한상업행­위자체를천시하는정서­가아직도사회곳곳에남­아있다.자본주의체제를채택하­고그성과와결실을향유­하고있는한국으로서는­의아한일이아닐수없다.

타계한 삼성그룹 이건희전회장은 1995년 소위북경발언을통해한­국사회를발칵뒤집은적­이있다. 한국 기업은 2류, 한국 정부는 3류, 한국 정치는 4류라는충격적발언을 통해 정치권의미움을 한 몸에산 적이있다. 민주화와 개혁을 통해지금 현재한국 정부와 정치는 아마 3류, 4류를 충분히벗어났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기업은그보다더욱 발전,진화하여이제1류로도­약했다.문제는이를아는사람들­이한국밖에서보다한국­안에훨씬적다는점이다.

▷연세대 언론정보학 박사 ▷AP통신 특파원 ▷뉴스위크한국지국장▷서울외신기자클럽회장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