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식량불안·백신지재권·수산보조금협상등담은‘제네바패키지’도출…소기의성과냈지만실효­성아쉬워

-

지난주 초 제네바에서열린 제12차 WTO 각료회의가5일간열띤­협상을거쳐‘제네바 패키지’도출에성공하며막을 내렸다. WTO각료회의는WT­O최고의사결정기구로­통상 2년마다 개최된다. 다만이번 12차 각료회의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열리지못하다 5년 만에 개최된 것이다. 그만큼 산적한 의제를 안고 출발했기때문에각료 합의도출이쉽지않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특히각료회의직전까지­계속된실무협상에서참­가국간이견이커서합의­도출전망이밝지않았다. 그러나제네바에모인각­료들은코로나팬데믹등­으로인한세계경제위기­에대응하고자 ‘제네바 패키지’를 만들어내죽어가는 WTO를 살려 놓았다. 가까스로목숨을건진W­TO가앞으로다자무역­질서를복원하며과거의­영광을되찾을것인가?

5년만의각료회의쟁점­은다짚었지만…

이번 각료회의 성과는 식량 위기에 대응한 농산물수출 제한과 팬데믹 대응으로서 코로나 백신에 대한지식재산권 유예, 수산 보조금 철폐, 전자상거래에 대

한 관세부과 면제, 그리고 WTO 개혁등 5가지로 정리할수 있다. 농산물 수출 제한은 세계적인 식량위기발생시농산물­수출국에서종종행하는­수출제한을자제하자는 것이다. 이에 각료회의에서되도록이­면 식량수출제한을자제하­자고 합의하였다. 그러나식량수출제한을­자제하자는것이지수출­제한을못한다는것이아­니다. 즉 합의내용은 법적구속력이없는 노력조항으로되어있어­실효성에의문이있다.

선진국과 개도국간코로나 백신의불평등을 해소하기위해선진국제­약사들이가지고있는백­신특허를일시정지시켜­개도국들도백신을생산­해배분할수있도록 하자는 것이백신에대한 지재권유예 문제다. 각료들은백신지재권을­일시유예해주기로합의­하였다.그러나 유예는 백신에만 한정되어있다. 진단제나 치료제에대한유예는 계속논의하게되어있다. 앞으로또다른 변종 코로나가 발생하면 당연히 이것은 지재권 면제대상이 아니다. 또한 지재권 사용도 공짜가 아니다.적절한 보상을 전제로 지재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아예없는 것보다는훨씬 낫다. 다만 세계적으로코로나 팬데믹이줄어들고 있으며, 백신공급이충분한상황­에서이와같은지재권면­제가얼마만큼유용한지­는 의문이다. 특히향후코로나변종이­나온다면이는이번지재­권유예대상이아니다.

수산 보조금 철폐는 부분적 성과다. 협상에서는 수산보조금을불법어업­관련보조금과남획어족­자원에지급되는 보조금, 그리고 과잉어획에기여하는보­조금등 3가지로 나누고, 이번각료회의에서는앞­의두종류보조금만 철폐하기로 합의하였다. 세번째과잉어획에기여­하는보조금철폐여부는­계속논의하기로했다. 그러나 전체수산 보조금중 60% 이상이과잉어획에기여­한보조금이라는점은감­안하면보조철폐의실효­성을 비판하지않을 수 없다. 다만 ‘천 리길도 한 걸음부터’라고, 수산보조금철폐를 시작한 것에의미를둘수는있을 것이다.

전자상거래관세부과 면제는 1998년부터 전자적전송으로 거래되는 물품에는 관세를 부과하지않기로 한약속을 말한다. 그런데이약속이매각료­회의를 통해다음각료회의시까­지연장되어왔다. 최근 전자상거래에의한 물품 거래가 급격히늘어나자 이에따른 관세면제액도 대폭 증가하였다. 상대적으로 자본이부족한개도국은 전자상거래에관세를 부과하면 상당한 재정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인도를 비롯한 일부개도국이전자상거­래에대한관세부과면제­연장에반대해왔다.결국다음각료회의시까­지연장되기는하였지만­그때까지다시연장에대­한합의가없으면 2024년3월 말에종료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가 증가할수록 이와 같은 관세부과 면제에반대하는개도국­이앞으로늘어날가능성­이있다. 무관세전자상거래가 계속 연장되기를 기대하기는 쉽지않을전망이다. 빨리디지털무역협정을 체결해야 하는이유이기도하다.

WTO개혁은다양한미­사여구로표현되어있으­나핵심내용은 WTO의모든기능을 개선하기위해개혁작업­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눈여겨보아야 할 내용 중하나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적요소가 WTO 협상에 주는 영향력이 상당히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와함께WTO회원국­전체가아닌일부그룹이­WTO개혁논의를 주도할 수 있다는 내용이 흥미롭다. 이는 복수국가 간 형식으로 WTO 개혁을 논의하겠다는 말과 다름없다.

WTO개혁작업,일부국가주도가능성

이번 각료회의 성과를 깎아내릴 생각은 아니다. 세계경제가어려운가운­데중요한문제에대해나­름다자차원의성과를거­둔 것은 분명하다. 다만 실제효과 면에서이번각료회의성­과는화려한포장에비해­실속은빈약한 선물과 같다. 따라서향후 WTO가 이번각료회의성과를 근거로 다자 무역체제를 복원할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듯싶다. WTO 협상이 계속되기는할 것이다. 그러나이제부터는타협­이가장어려운난제만남­아있어협상진전을기대­하기는더욱어려울것이­다. 반면입장이비슷한 국가끼리는 복수 국가 간 협상을통한 WTO 개혁추진이허용되어있­기때문에선진국들끼리 WTO 개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가능성이높다. 당분간다자무역체제복­원보다복수국가간협상­에대한준비를철저히하­는것이맞다.

필자 주요 이력

▷美 메릴랜드대 자원경제학 박사 ▷관세청 자체평가위원

 ?? [AFP·연합뉴스] ?? 지난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TO본부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 개막식이 화면을통해보여지고있­다.
[AFP·연합뉴스] 지난 12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WTO본부에서 열린 WTO 각료회의 개막식이 화면을통해보여지고있­다.
 ?? ?? 서진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선임연구위원
서진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선임연구위원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