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글로벌인플레비껴간中… 5가지이유있다

中5월물가전월과같은­2.1%상승美8.6%·英9%상승과비교안정적① 2008년부양책후유­증에돈풀기신중②물가지수가중치美와달­라유리③국제원자재가격상승대­응여력④코로나봉쇄로내수침체­영향도⑤민심이반우려물가관리­최우선

- 베이징(중국)=배인선특파원baei­nsun@

코로나19대유행여파­에따른공급망균열,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장기화 등으로촉발된인플레이­션(지속적인물가 상승)공포가글로벌경제를 덮쳤다. 그런데, 상대적으로중국은글로­벌인플레이션습격에서­비껴가는모습이다.

중국의5월소비자물가­지수(CPI)는전년동기대비2.1%증가하며4월과동일한­수준을유지했다. 6개월래최고수준이긴­하지만,같은기간40년만의최­악의인플레를겪는 미국(8.6%), 유로존(8.1%), 영국(9%) 등의물가상승률과비교­하면상대적으로안정적­이다.중국의식품·에너지가격변동을제외­한핵심CPI는 지난달과동일한상승폭­인0.9%를기록했다.이로써1~5월중국의CPI누적­상승률은1.5%,정부목표치인3%보다훨씬낮다.

지난해 치솟았던 생산자물가도 진정세를 보이는 중이다. 5월중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는6.4% 상승하며, 2021년 10월 최고점(13.5%)의 절반수준으로 낮아졌다. 미국발(發) 긴축우려속에서도 중국이 자국 경기 부양을 위해 통화 완화를이어갈수있는배­경이다.

최근 홍콩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중국의 물가 상승률이 서방국보다 안정적으로관리되고있­는요인을몇가지로분석­했다.

◆4조위안 경기부양 후유증… ‘돈 풀기’신중한中

“서방국 중앙은행의전례없는 돈 찍어내기가인플레를 초래했다.”

중국학자들은미국·유럽등서방국이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경제를 살리기위해전례없이돈­을 푼 게글로벌인플레를 초래한 요인 중 하나라고주장한다.

실제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보유자산은8조90­00억 달러로, 코로나19 이후 2년 새두배로불어났다.반면2008년글로벌­금융위기당시4조위안­의돈을푸는초대형부양­책을시행했다가부채급­증,집값폭등등후유증을겪­었던중국은이번에코로­나19로경제가직격탄­을입은가운데서도과도­한돈풀기를자제했다는­평가가나온다.

◆돼지고기가격따라움직­이는中소비자물가

중국의CPI 구성요소나가중치가 미국과 다르다는 점도또하나의이유다.

SCMP에따르면미국­의경우, CPI 구성요소에서교통비와 거주비에가중치를많이­두는만큼국제에너지가­격과 통화정책의영향을많이­받는다. 반면, ‘중상위 소득 국가’로 분류되는 중국은의류,식품에더많은가중치를­부여하고있다.

황원타오 중신건투 증권애널리스트는 “중국의 CPI구성요소에서식­품가중치가 18.4%로, 미국(7.8%)보다 높고, 의류도 6.2% 가중치를 둬서미국(2.8%)을 웃돈다”고 설명했다. 반면주거임대료의 경우, 중국은 16.2%를 차지해 미국(32%)의 절반에 불과하다. 교통비도 10.1%로, 미국(15.1%)보다 낮다는분석이다.

특히중국소비자물가흐­름은돼지고기가격의영­향을크게받는다.중국 CPI구성에서돼지고­기가격품목이차지하는­비중이 2.4%에 달한다. 특히지난해하반기부터­중국돼지고기가격이공­급과잉으로하락하면서­중국소비자물가안정에­기여했다.통계에따르면올들어5­월까지돼지고기

가격은전년동기대비3­7%하락했다.

◆‘세계의 공장’ 중국… 국제 원자재 가격상승대응‘수월’

게다가미국은‘세계최대소비시장’이다.소비재의경우수입산에­크게의존하고있어소비­자물가가크게영향을받­을수밖에없다.

반면,중국은‘세계의공장’으로서국제원자재가격­상승에대응할수있는여­지가더크다.원가상승분을생산자나­해외구매자가떠안음으­로써소비자물가를안정­적으로관리할수있는것­이다.

보통 ‘CPI의 선행지표’라불리는 PPI가 급등하면시간차를두고 CPI도 덩달아상승하는게일반­적인경제 논리다. 하지만중국에선 PPI와 CPI의상관관계가약­하다.

국제 원자재가격상승세속 지난해 10월 중국 PPI 상승률이13.5%까지치솟았지만,중국내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5%에 머물렀다. 원자재가격상승분을 중국 제조기업이나 해외바이어가 떠안으면서 PPI 고공행진이 CPI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다만 PPI와 CPI 격차가커질수록비용상­승을제품에전이시키지­못한중국제조업체채산­성만악화했다.

◆민심 이반할라… 물가 관리 주력하는 中공산당

또 최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봉쇄역풍으로 중국인이지갑을닫아 내수가 침체된것도소비자물가­상승률이낮게유지될수­밖에없는 이유다. 중국의소매판매는 지난 4월과 5월각각 -11.1%, -6.7% 낙폭을기록했다.

이밖에중국공산당은예­로부터물가 상승을사회안정을뒤흔­들수있는불안요인으로­보고경계해왔다. 과거 1989년 톈안먼사태도 사실상인플레이션과 취업난이 고조돼 불만이 걷잡을수없을정도로커­진서민들이부패한정부­에반기를들고일어난것­이기때문이다.

이강(易綱) 중국 인민은행 총재도 최근 중국통화정책의주요 목표는 물가와 고용 안정이라고언급하기도­했다.

◆인플레부담덜어낸中…추가금리인하예상

전 세계각국이인플레이션­을 걱정하고 있지만,중국에겐남의이야기일­뿐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치솟는 원유와 곡물가격으로중국소비­자물가가상승할수있다­고우려하기도 한다. 세계은행은 브렌트유와 밀가격이올해만 약 40%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중국에수입형인플레를­유발할수도있다.

중금공사는 “향후 중국 소비자물가는 주로우크라이나전쟁에­따른원자재가격상승, 대외수요 감소, 위안화 환율의영향을 받을 것”이라고내다봤다.

이어“국내적으로는 돼지고기가격상승주기­와경기회복세가소비자­물가를끌어올리겠지만,연평균물가는양호한수­준을유지할수있다”며올한해중국연간물가­상승률을 2.1% 안팎으로예상했다. 이는중국정부가올해설­정한소비자물가억제선­인3%에크게못미치는수준이­다.

마이클스펜서도이치방­크 AG 수석이코노미스트도 앞서블룸버그를 통해 “현재 중국의물가수준은인민­은행이우려할만한경제­상황이아니다”면서“봉쇄가 끝나는 3분기에중국 물가가 반등하더라도 중국의성장률과 비교하면 온건한수준일것”이라고 내다봤다.

사실중국정부로선인플­레이션보다코로나19­역풍으로인한내수부진­이더큰 고민거리다.이에시장은중국정부가­경기부양을위해미국의­공격적인금리인상움직­임을봐가면서하반기추­가통화완화에신중하게­나설것으로예상했다.

영국은행냇웨스트는블­룸버그에서인민은행이­오는하반기정책금리를 20bp(1bp=0.01%포인트)내리고,은행권지급준비율을5­0bp인하할것으로내­다봤다.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