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내일누리호3차발사…민간우주기업새시대연­다

한국형발사체핵심기술­민간이전항우연→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도2027년까지제작·조립과정등총괄

- 강일용기자zero@

순수국내기술로 개발된한국형발사체‘누리호(KSLV-Ⅱ)’의 3차 발사가 하루앞으로 다가온가운데 3차 발사와 기존 발사의차이점에국민들­의관심이 쏠린다. 이번 3차 발사는 한국항공우주원이주도­하는국가 중심우주발사체정책이­한화에어로스페이스 중심의민간우주사업으­로바뀌는분수령이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스페이스X, 블루오리진등과 경쟁할 수있는 민간우주기업이탄생할­것이란기대감이함께커­지고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누리호는 3차 발사부터정부 출연연인항우연주도에­서민간우주기업인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도로­변경된다.

과기정통부는 지난해 10월 누리호 발사체기술을이전받을­민간기업으로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선정한바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이번 3차 발사를포함해 2027년까지 총 네번의누리호 반복 발사 과정에서한국형발사체­주요 기술을 이전받은 후발사체제작·조립등을총괄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지난 2016년 3월 누리호 75톤급 엔진 초도 납품을 시작으로 75톤급엔진 34기, 7톤급 엔진 12기 등 총 46기의 엔진을제작하는등발사­체엔진기술확보에심혈­을기울였다. 마지막으로 출하한 75톤급 엔진은이

번누리호 3차 발사에 사용한다. 누리호 터보펌프, 각종밸브류제작과시험­설비구축에도관여했다.

이번 3차 발사부터는 누리호 발사의 조연이아닌주연으로 격상됐다. 3차 발사는 발사체제작이 거의 끝난 상황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엔­지니어들이 합류했지만, 내후년으로 계획된 4차 발사부터는 회사가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

고 발사체 1~3단 및 전기체(ILV)를 제작·발사한다.

항공우주 업계에선 이번 3차 발사와 기술 이전을 시작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민간우주기업으로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일례로 스페이스X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으로부터 발사체기술을이전받고 관련연구와 경험을 축적해발사체 재활용 분야에서독보적기술력­을갖출수있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누리호고도화사업에따­라 엔진을 추가 생산하고 항우연과 지속적으로 협력해발사체제작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라고밝혔다.

누리호 3차 발사를 위한 준비도 차곡차곡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항우연은 22일누리호를 발사체종합조립동에서­무인특수이동차량으로 옮기는 작업을 진행했다. 무인특수이동차량은누­리호를조립동에서발사­대까지이동시켜주는역­할을한다.

아파트 15층 높이(길이 47.2m)에 무게만 17.5톤에달하는누리호를­차량에올려야하는만큼­관련작업은하루종일조­심스럽게진행됐다. 이어 23일 오전 7시30분께 조립동에서나와 발사대로이동한후기립­작업을진행할 계획이다.

누리호 3차 발사 시간은 24일 저녁 6시 24분(±30분)으로 정해졌다. 이는 시험발사였던 1~2차와달리3차 발사는실제위성을우주­궤도에올려놓기위한정­식발사이기때문이다.

위성 모형을 실었던 누리호 2차와 달리누리호 3차에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가 만든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탑재됐다. 차세대 소형위성2호는 영상 레이다(SAR) 장비를지속운영하기위­해24시간 내내태양전력을생산할­수있는‘여명황혼궤도’에 올리기로 결정됐다. 여명황혼궤도란 24시간 내내여명과 황혼을 볼 수있는 궤도로,위성의태양정지판을항­상태양쪽을향하게 함으로써 위성운용 기간을 확장할 수 있는이점이있다.

 ??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나로우주센터발사체조­립동에서누리호 1·2단과 3단결합작업이진행되­고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나로우주센터발사체조­립동에서누리호 1·2단과 3단결합작업이진행되­고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