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노조가말하는성과급…정당한요구일까,성장막는걸림돌일까

현대차특별성과급지급­변경반발LG엔솔은성­과급깎자트럭시위도반­도체반등노리는삼성전­자‘곤혹’재계“전년도매출·영업익기준아닌지속가­능성관점에서책정해야”

- 강일용기자zero@

삼성전자 노동조합이급성장하며­경영 핵심 변수로 떠오른 이면에 사측과DS(반도체)부문 직원간성과급갈등이있­다. 삼성전자뿐 아니라 현대차·기아,현대제철, LG에너지솔루션 등 국내주요 기업들도 노조의 ‘묻지마’ 성과급 요구에골머리를앓고있­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 노조는 오는 20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에서 특별성과급 쟁취를 위한공동집회를진행한­다.

특별성과급이란 현대차그룹이 지난2년 동안 주요 계열사 직원들에게 교섭 성과급과 별도로 지급한 경영상 추가 보상이다. 지난해 기준 현대차 직원은 품질과 안정성 평가 항목에서우수한 결과를 낸것을 이유로 400만원+주식 10주를, 기아차 직원은 글로벌 판매톱3를 달성한 것을이유로 400만원+24주를받았다.

장재훈현대차사장은지­난달23일이메일을통­해직원들에게“올해는 지난 2년간특별성과급지급­방식을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총 성과보상 관점에서임금교섭을진­행하고이를조기에마무­리해직원들이성과에대­한보상을빠르게체감할­수있도록하는게 목표다. 회사내부에서특별성과­급이연간총보상과별개­로인식돼직원들사이에­혼란이생긴것도개편의­이유로꼽힌다.

하지만 노조 측은 지난해 현대기아차 그룹이사상 최대실적을 거둔 것을이유로특별보상급­지급방식을변경하는데­반발하고 있다. 지난달울산공장과양재­동 본사에서항의집회를 한 데이어 이달 1~10일에는 총량제 특근 거부를진행하기도했다.

현대제철노조는사측이­경영상어려움을이유로­특별성과급기준을낮추­자48시간 총파업 카드를 꺼내 들었다가여론이악화되­자 대외투쟁으로 전환했다.현대제철노조는지난해­임단협에서2022년 영업이익의 25%를 70주년 특별성과급으로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1인당약 3000만원에 달하는 수치다. 현대제철의지난해 영업이익은 8073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약 50% 감소했다. 건설시황 둔화에따른봉형강 제품판매량 감소와 전기요금 인상 등 대외요건이악화했기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도 성과급 지급을두고 한차례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기본급의 870%를 성과급으로지급한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생산 세액공제를성과급산정­기준에서제외하며성과­급을기본급의360%수준으로낮췄다.

이에반발한LG에너지­솔루션직원들은익명으­로 돈을모아 2월 초부터3월초까지서울­각지에서트럭시위를진­행했다.트럭에는“경영목표명확하게성과­공정보상하게”, “피와땀에부합하는성과­체계 공개하라” 등의문구를 표시했다. 하지만 LG에너지솔루션 여의도 사옥뿐 아니라 회사의대내문제대신미­래사업과관계있는서울­삼성동코엑스‘2024인터배터리’행사현장에도시위트럭­을보내업계관계자들의­빈축을샀다.

산업계에선 성과급 지급을 두고 사측과 노조·직원 간 분쟁이이어지는 이유로 성과급 지급 산정기준에관한이해도­가 부족한 것을 꼽는다. 경영진은회사 미래 성장을 위한 투자와 지속가능성관점에서성­과급을책정하는반면노­조와 직원들은 단순히전년도 매출·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성과급을 요구하는경우가잦기때­문이다.

전문가들은“회사의이익은회사성장­을위한연구개발과 주주환원,대외요건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한 사내유보금등에우선활­용해야 한다”며“미국·일본기업들이장기간흔­들림없이사업을지속할­수있는비결”이라고설명했다.

재계에선노조·직원들의정당한성과급­요구를막을수는 없지만, 과도한요구로 인해 기업의 미래 성장 동력마저흔들릴것을우­려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글로벌 빅테크의일원으로 도약할지, 아니면 현지 기업에 머물지 기로에 서있는 삼성전자를꼽을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올 상반기부터반도체불황­으로 인한 타격을 극복하고 다시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다. 시장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원가 수준 판매를 하던 플래시 메모리의 가격을인상하며DS부­문 흑자전환을 하고, HBM(고대역메모리)·GDDR(그래픽메모리)·LPDDR(저전력메모리) 등차세대고부가가치 D램을 잇달아 출시하며 D램시장1위입지를공­고히할 계획이다.

미국반도체법에따른대­규모보조금도 60억 달러(약 7조9600억원)로 예측돼대만 TSMC보다 더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에초미세반도체생­산거점을 만들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것으로 미국 정부의 호응을 끌어냈다.이러한미래성장계획을­현실화하기위해경계현 대표를 포함한 삼성전자 DS부문 핵심 임원들은 매달 3~4차례 미국·일본 등 해외출장에나서는 것으로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조가 과도한 성과급·위로급 요구를 하고 이를 빌미로파업을포함한대­규모 쟁의행위를하면삼성전­자 미래 전략도 흔들릴 수밖에없다는 게 재계 관계자들의공통된예측­이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