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글로벌해운동맹가속… HMM,세계1위MSC와동맹­은‘필수’

- ‘스폿계약 선사’전락위기김성현기자m­inus1@

글로벌해운동맹이재구­축되는가운데, HMM이 속한 디 얼라이언스(THE Alliance)가 경쟁력을 유지하기위해서는 세계 1위 해운사 MSC와의 동맹이필수라는분석이­나왔다.

홍해의지정학적위험요­소가 해소되면글로벌해운동­맹이노선확대를위한가­격경쟁에돌입할것이라­는전망이함께 나오는데, HMM의입장에서는 해운동맹경쟁력약화가­대규모장기계약해지로­이어질것으로우려되고­있다.

17일 미국 컨설팅업체알릭스파트­너스(Alix Partners)의 2024년 컨테이너운송보고서에­따르면디얼라이언스는­동맹 내 최대 해운사인 독일 하팍로이드(Hapag-Lloyd)의 내년1월탈퇴를앞두고 전략 전환 또는 MSC와의 VSA(선복공유)를요구할가능성이높다.

하팍로이드가떠나는디­얼라이언스는 대만 양밍, 일본 오엔이(ONE), 한국HMM 3개의 선사로 구성된다. 선복량은 기존 약 480만TEU(1TEU는 컨테이너한 개 분량)에서 280만TEU로 축소된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가격경쟁이가능한 최소 선복량은 400만TEU로 현재상황이라면 내년부터디얼라이언스­는머스크-하팍로이드 동맹, 오션얼라이언스(코스코, 에버그린, CMA-CGM)와의경쟁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신규 동맹으로 대만의 해운사 완하이(WAN HAI)가 유력하게언급되지만완­화이의 선복량 역시 50만TEU 수준이라 해운동맹 경쟁을 위한 몸집 키우기에는한참 모자란다.

알릭스 파트너스에 따르면 디 얼라이언스는 특히 아시아-유럽 노선에서다른 동맹과 비교해 열위에 있는데, 가격경쟁이본격화하면 다수의 장기계약을빼앗길가능­성이점쳐진다.

HMM속한‘디얼라이언스’…동맹내최대독일‘하팍로이드’내년탈퇴선복량절반으­로줄고장기계약해지타­격…몸집키워경쟁력유지해­야

결과적으로는디얼라이­언스가특정노선을 상대로 한 스폿계약 중심의 해운동맹이될것이라는­전망도 나온다.

스폿계약은 운임상승기에는 가격을즉시 반영하면서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불황기에는 물동량 하락과 수익성 악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장기계약은 운임 상승 시기에 개선된수익성반영은 힘들지만 안정적인 해운사운영을할수있다­는것이특징이다.

국내 해운업계에 따르면 HMM의 경우 현재 운용노선의 약 70%가 장기계약이다. 디 얼라이언스의 경쟁력 약화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구조다.

코로나19 대유행이라는 대호황을 지

난 해운업계는 홍해 리스크가 종료됨에따라최대10­년에 달하는장기불황을예상­하고 있다. 이기간 거대해운동맹에게 장기계약을 뺏긴다면 HMM의타격이적잖을 전망이다.

또 HMM은 국내에서유일하게유럽­에취항하는 컨테이너선사인데,하팍로이드 탈퇴와 함께유럽향 계약이큰 타격을입을것이라는데­무게가 실린다.

이에대한 대안이선복량 561만TEU의 MSC와 동맹이다. 머스크와의결별로 동맹이사라진 MSC를 디얼라이언스에 영입하거나 최소한 VSA는 맺어야한다는 것이다. 오션얼라이언스역시M­SC와 머스크의 결별을 계기로 동맹을 2032년까지 연장한다고 밝힌 상황이라선복량 400만TEU 확보를위해영입가능한 선사는 사실상 MSC가 유일하다. 이미 양밍, 오엔이등이 MSC와의접촉을시도­한것으로전해지는데,동맹성사여부에대해서­는비관적이다.

디 얼라이언스가 MSC와 비교해 우위에 있는 노선은 아시아-호주 노선이다. 하지만 MSC는 이미 해당 노선에서세계 10위 해운사 짐 라인(Zim Line)과VSA를 맺고 있어 디 얼라이언스가 필요치않다는분석이다.

HMM 역시마땅한 대안은 찾지못한 것으로 전해진다. 디얼라이언스 내일부 선사들은 내부적으로 스폿계약중심의 선사 운영까지 검토 중이지만, HMM은 민영화 현안등으로미래계획수­립이 수월치 않다는 것이 내부 관계자의 설명이다. 또 언제 매각이 재추진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산업은행, 한국해양진흥공사 등의눈치를보면서전사­적 차원의 전략 전환도 어려운 것으로파악된다.

HMM측은디얼라이언­스차원에서해결해야할­문제라는입장이지만,지금의상황이라면 내년부터HMM의 경쟁력 저하를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시각이지배적이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