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제2의중동붐이끈현대­건설,글로벌선점속도

- 리부트K남라다기자n­ld8120@

원전사업등초격차기술­력필두올해해외매출1­2조8000억목표수­주새역사쓰고업계1위­노려

현대건설이글로벌 시장에서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지난해엔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가 개척한 ‘중동 붐’을 재현하며연간 해외건설수주액9조원­을 넘어섰다. 올해는 원전사업 등 초격차 기술력을앞세워글로벌­시장에서입지를더욱넓­혀나간다는전략이다.

17일업계에따르면,현대건설은올해해외 매출 목표를 12조8000억원으­로설정했다. 이는 지난해 해외에서 거둔매출(11조8866억원)에 비해 7.7% 증가한 수준이다. 현대건설이 해외 매출 목표를 높여 잡은 것은 글로벌 건설시장에서굵직굵직­한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안정적인일­감을확보하고있어서다.

해외건설협회가 집계한 현대건설의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69억4155만 달러(한화 9조2461억원)로, 2022년(26억9506만 달러) 대비 157% 급증했다. 2022년 해외수주4위에서지난­해엔2위로 두 계단 급상승한 것이다. 1위인삼성물산(71억5300만 달러)과는 막판까지해외수주 왕좌를 놓고 치열한 접전을벌였다.

해외시장의눈부신 성과 뒤에는 ‘중동’이있다.현대건설은지난해중동­지역에서연이은수주낭­보를전하며‘제2의중동붐’을 견인했다. 현대건설이지난해중동­에서수주한금액만 65억832만 달러(8조6601억원)로, 전체해외수주액의93.8%에 달한다. 그야말로 ‘잭팟’을 터트린 셈이다. 지난해6월 현대건설이 50억 달러(약 6조5000억원)짜리 사우디최대규모 석유화학단지(아미랄 석유화학플랜트) 건설사업수주에 성공한 것이주효했다.

현대건설은 올해도 중동에서 수주역사를새로써1위­를 탈환하겠다는각오다. 현재 사파니아 가스전(사업비 50억 달러), 파드힐리 가스전(40억 달러)프로젝트에입찰참여를­끝내고결과를기다리는­중이다.사파니아는전세계에서­가장 큰 해상유전으로, 발주처는 아람코다.

네옴시티 지하터널인 ‘스파인 터널’프로젝트수주전에도역­량을쏟아붓는다. 스파인 터널 총 약 170km 구간 중28km 구간 공사를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맡고 있는데, 나머지구간에대한발주­가 예상되고 있어서다. 현대건설은삼성물산과 함께 스파인 터널 중 직선도시 ‘더 라인’지역의 지하 터널공사 입찰에 참여할 예정이다. 사업 규모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않았으나 수조원에이를전망이다.

회사 관계자는 “향후 사우디에서중장기적으­로발주가예상되는대형­석유화학플랜트 사업에서안정적인일감­을확보함으로써중동지­역에서확고한입지를구­축할것으로기대된다”고말했다.

올해는특히원전사업의­글로벌영토확장에방점­을 찍는다. 현대건설은지난달 25일불가리아코즐로­두이원자력발전소신규­공사의우선협상대상자­로선정되며 15년 만에 원자력 해외시장 진출을 재개했다. 이사업은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로부터 북쪽으로 200km 떨어진 코즐로두이 원전 단지 내에 2200메가와트(㎿)급 원전 2기를 추가로 신설하는 공사로, 다음달 최종 계약자 선정을 앞두고 있다. 총 사업비만 18조7000억원 규모이며, 이가운데시공 계약규모는정해지지않­았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은 지난 50여년간 쌓아온풍부한 원전시공 경험과 기술력 덕분이라는 게 현대건설측의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국내외 한국형 대형원전 34기 중 22기를 시공하며에너지산업의­핵심인대형원전부문에­서독보적인입지를 다져왔다. 소형모듈원전(SMR)부터 원전해체사업,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구축 등 원전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기술 경쟁력도 확보한상황이다. 최근 SMR 사업에도 출사표를 냈다. 미국 원자력기업인 홀텍 인터내셔널과 손잡고 영국 SMR 사업수주를위한준비작­업에착수한상태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