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GM올해IRA보조금­증가호재…한국소부장업계낙수효­과기대

탈중국나선GM,한국기업과동맹LG화­학은양극재25조수주­낭보혼다100%보조금혜택도희소식

- 김혜란기자khr@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혜택을 강화하기 위해 탈중국화를 가속화하면서, 국내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수혜가예상된­다.

17일 업계에따르면미국환경­보호청(EPA)은 지난 14일(현지시간) IRA 세액공제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전기차 명단을 새로 업데이트했는데여기에­는 △캐딜락 리릭△쉐보레 블레이저 EV △볼트 EUV △볼트 EV △에퀴녹스 EV 등GM의전기차5종이­이름을올렸다.

올해초 IRA 규정이강화하면서GM­의 일부 전기차는 세액공제 혜택을 상실해볼트 EV와 볼트 EUV만이보조금대상­에오른바 있다.

이는 IRA에 따라 배터리 부품을 북미에서제조·조립하도록한의무비율­이작년 50%에서 올해 60%로 올라간 영향이다. 미국 정부는 나아가 중국 기업을 해외우려기관(FEOC)으로 지정하고FEOC가 제조·조립한 부품이들어간배터리를­쓰는전기차에올해부터­보조금을끊었다.

그러다 GM이서둘러공급망을­중국에서 한국, 일본 등으로 바꾸면서 GM의 주력 전기차가 보조금을 혜택을 온전히누리게됐다.

GM은 올 한 해 전기차 생산량 목표를 30만대로 잡았는데이는 전년 판매량인7만7000­대보다 289.6% 증가한수치다. 국내 배터리 소부장 업체는 주요고객사인GM의전­기차 전략강화로견조한물량­을확보하게되면서안정­적인수익기반을갖추게­됐다는평가다.

GM은국내소부장업체­와동맹맺기에 한창이다. 최근 대규모 수주 낭보를알린 LG화학이 대표적이다. LG화학은지난달7일 2035년까지약 25조원규모의양극재­를GM에공급키로했다.

GM 전기차 전략에 따른 수혜사는단연 LG에너지솔루션이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공장인 얼티엄셀즈1공장과에­서LG에너지솔루션의­미시간 공장에서GM향 제품을 생산하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얼티엄셀즈1공장은 40기기와트시(GWh) 규모로 2022년 11월 양산을 시작했다. 2공장은 올해부터, 3공장은 내년부터가동에들어갈­예정이다.

GM향 전기차 배터리에 쓰이던 주요소재는 현재 한국과 일본산으로 대체된 상황이다. 얼티엄셀즈1공장은 기존에 중국산 전해액을 쓰다가 현재는 국내 기업인 엔켐의 전해액으로 바꾼 것으로알려져있다.

이밖에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단독 공장에서는 SKIET와 LG화학의 분리막을사용하고전해­액은솔브레인홀딩스사­를사용한다.

양극재는 미시간 공장의경우 LG화학의양극재를사­용하고있으며얼티엄셀­즈1공장은 포스코퓨처엠의양극재­를사용 중이다. 최근 LG화학은 GM과의대규모 공급 계약에 따라 얼티엠셀즈1~3 공장에도양극재를납품­할가능성이높아졌다.

혼다가 올해 북미 전기차 시장 진출과동시에 IRA 보조금 100%를 받게된것도 국내 기업에 호재다. 해당 전기차는 GM과 LG에너지솔루션이공­동개발한 플랫폼을 탑재했는데, 여기에는 LG에너지솔루션의배­터리셀이쓰인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혼다와 총44억달러를투자해­미국오하이오주에40­GWh 규모의배터리생산 능력을 갖춘합작공장을짓고있­기도하다.

한편, GM에이어다른완성차­업체도공급망 다변화에 한창이다. 닛산의 경우 미국에서 만들고 있는 전기차는 중국산 배터리를 쓰고 있는데, 이를 SK온의배터리로바꾼­다는계획이다.

업계관계자는 “올해 북미는 IRA 정책 수혜로 전년보다 크게증가한 연간5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며 “GM 이외에도 혼다, 닛산등의전동화가속전­략에 따라 주요 협력사인 한국 배터리기업들도성장세­를회복할것”이라고 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