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건설업‘4월위기설’근본적대책을

-

최근 건설 기업의경영위기상황이­심각한수준에이르고있­다.지난해역대급의건설기­업폐업사태는 올해들어서도 지속이어져 2월 말까지 종합건설업체 83곳을 비롯해 704개업체가 폐업신고를 했고, 건설공사의매출원가 상승으로 인한 건설 사업의 수익성 저하, 그리고 이로 인한 건설 기업의유동성악화는상­대적으로우량한건설기­업의경영여건도큰위협­이되고있다.

현재건설기업들이맞닥­뜨린경영상황을요약하­면4중고(重苦)라고 할수 있다. 고금리·고물가 영향,부동산경기침체,상승하는원가,건설기업의자금조달애­로가 그것이다. 고금리·고물가상황이지속되면­서건설기업은이자비용­감당에도어려움을겪고­있는현실이다.

한국경제인협회의 매출 500대 건설 기업대상의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의 76.4%가현 기준금리 수준이 이미 자사 이자 비용의감당 가능한임계치를 넘어선상황이라고 응답했다. 이러한 가운데지난해부터지속­되고있는부동산경기침­체와커지고있는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의부실위험은신규­사업의지연으로나타나­건설기업의수주물량감­소로이어지고있다.

추가로 높은 인건비와 자재비로 공사비가지속상승해건­설사업의수익성저하로­이어져부채증가와 유동성저하 등 재무적여건을 악화시키고 있다. 이는 신규 자금 조달에어려움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기화되는 건설및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건설 기업의 신용도 하락과 대출 여건의악화는 수수료 등

올들어704개사폐업­신고…자금난심화유동성지원­한계… PF구조적개선필요

금융비용증가로이어져­향후더욱자금조달에어­려움이가중될것으로 보인다.이렇게 복합적인건설기업경영­의불안 요인들이당분간 해소되기어렵고, 복합적으로 작용하고있음에따라대­책마련도쉽지않다는측­면에서건설기업경영의­어려움은지속악화될가­능성이크다.바로4월위기설이나오­는이유다.

정부에서도 4월 위기설차단과 건설업계의어려움에대­응해공사비현실화등대­책을고심중에 있으나, 전체건설 시장에서민간 건설부문이차지하는비­중이70%에이르는현실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공사비의 상승을위한 정책의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 또한 최근 건설 기업의가장 큰 리스크가 되고있는 PF 대출도상당수의사업장­이정상적인회수가사실­상불가능하고,유례없는PF 대출의규모 및 사업의복잡한 이해관계등을 감안할때정부의유동성­지원책은한계가있을수­밖에없는상황이다.

종합적으로보면지금은­보다근본적인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건설 산업내 적정 공사비 문제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건설경기가 침체되면될수록적정공­사비문제는더욱커질수­밖에없다. 또한최근건설경기악화 속에서도 건설 기업의 수는 지속 증가하고 있고, 생산성과 기술 경쟁력 향상을위한 건설 산업내 구조적인 개선 노력은 미흡했다. 이를 감안할 때 적정 공사비 확보에필요한 정책·제도 개선과 건설 생산성 향상및 건설 사업효율화를 위한 건설 산업의혁신을위한실질­적인노력이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건설기업의대다수를 차지하고있는중소건설­기업의경쟁력제고를위­한보다실질적인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 부동산 PF문제도 마찬가지다.이미부동산PF의구조­적문제의 개선 필요성은 오래전부터 제기됐으나 단기적인대책이나 금융지원못지않게우리­나라 부동산 PF의 구조적문제에대한 근본적인대책이필요하­다.

현재나타나고있는건설­기업의자금난이심화되­고 실질적이고 시의성있는 부동산 대책마련이지지부진할 경우, 4월 위기설은 현실로다가올가능성이­높다.산업의위기에대한 시의성있는 단기 대책의 추진과 함께 건설 시장에대한 신뢰회복을 위한 보다 근본적대책의제시가필­요한 시점이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