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SK에코플랜트,올해‘그린수소·암모니아’시장선점속도

2029년까지연간1­00만t생산목표중동·아프리카밸류체인확보­박차

- 우주성기자wjs89@

SK에코플랜트가 올해독보적 ‘그린수소 밸류체인’을 바탕으로 친환경사업 지평 확대에 속도를 낸다. 그린 수소는 물론, 그린암모니아 시장의기술및 시장 선점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그린수소·암모니아연간생산10­0만톤을 목표로중동과아프리카­를대상으로 한 밸류체인 거점 확보에도박차를가하고­있다.

24일업계에따르면S­K에코플랜트는오는 2029년 무렵에자사그린수소생­산량이연간 16만톤, 그린암모니아 생산량은연간 86만톤을 기록하는등그린수소·암모니아생산량이연간 100만톤을넘어설것­으로추산하고있다.

SK에코플랜트가 친환경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면서추정생산량 규모도커지고 있다. 지난해기준으로는 72만톤으로 설정했으나, 올해 북아프리카일대 재생에너지 발전소 구축으로 기존 연간 61만톤 추정치보다 41%가 늘었다.

SK에코플랜트는 재생에너지생산을통한 그린 수소 포집과 수소 운반을

위한그린암모니아 생산및활용등의그린수­소 밸류체인 기술을 완비하고있다. 수소 산업의확대로 그린암모니아 기술에대한 중요성이커진 상황에서최적의생산거­점을구축해시장선점에­속도를내겠다는방침이­다.

수소의 경우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저장과 운송이어렵다는 단점이 있다.암모니아는이를 해결할 수있는 ‘수소캐리어(Carrier)’ 물질 중 하나로 각광받고있다.글로벌시장조사업체인­마켓앤드마켓은전세계­그린암모니아시장규모­가지난해3억달러에서­2030년 179억달러까지성장­할것으로내다보고있다. 그린 수소·암모니아 산업 등을 통해친환경에너지분야­에서의매출 비중을 지속 확대하겠다는 것이 SK에코플랜트의 목표다. 지난해 3분기 SK에코플랜트 ‘환경·에너지’ 사업매출액은2조28­46억원으로 전체매출의 35%를차지했다.

SK에코플랜트는 올해그린 수소·암모니아의생산거점으­로북아프리카와중동을 주목하고 있다. 아프리카와 중동은그린수소및그린­암모니아수출을 위한 기반시설이 갖춰져있어유통에강점­이있다. 자체전력수요도높지않­아 물 분해를 통한 수소 생산이 용이하다. SK에코플랜트가 2029년까지생산될­것으로추산하는그린 수소·암모니아 중 이집트와 중동 지역이 차지하는비중은약 57%에달한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달 이집트에서 재생에너지를 통해 그린 수소와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2조6000억원 규모의 사업에 착수했다. 태양광 500MW·육상풍력 278MW 등 총778MW의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구축후 해당 전력으로 수전해기를 통해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추산되는 연간 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량은30만톤규모­다.

지난해 12월에는 한국남동산업과아랍에­미리트(UAE) 및 오만에서주요산업단지 내에 그린수소·그린암모니아생산 인프라를 구축하는 예비타당성조사에도 착수했다. 해당 사업에서SK에코플랜­트는해당그린수소프로­젝트사업개발과 예비타당성조사를총괄­할방침이다. 해당 인프라를 통해 생산되는그린 수소·암모니아 생산규모는약30만톤­으로 한국남동산업은 이를 국내주요 수요처에공급해혼소 발전에활용할방침이다.

특히 SK에코플랜트는 이번 예비타당성조사에서자­사의그린수소밸류체인 기술과 공정을 프로젝트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미 수소 연료전지 선도기업 ‘블룸에너지’와의 협력을 통해,수소 생산의 필수 선결기술인 고효율수전해기술을확­보한상태다.

2020년 10월 준공한 경북 구미블룸SK퓨얼셀 제조공장에서는 고체산화물수전해기(SOEC : Solid Oxide Electrolys­is) 설비를 통한 국내 첫 수전해 수소 시험생산에 성공하기도 했다. SK에코플랜트는 현재고효율수소생산을 위한 차별적기술역량을인정­받고, 제주 그린 수소 생산 실증 프로젝트에도참여하고­있다.

지난해5월 SK에코플랜트가 캐나다월드에너지GH­2와 함께핵심주체로참여한 캐나다 대륙 간 그린수소 프로젝트도순항 중이다. 해당사업은뉴펀들랜드­래브라도스티븐빌지역­에기반을둔대규모그린­수소상용 프로젝트다. 2025년 3월부터연간 6만톤의그린수소 생산, 2026년 3월에는36만톤의그­린암모니아생산이가능­해질전망이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그린수소밸류체인 역량을 바탕으로 앞으로도지속적으로중­동, 아프리카,유럽등재생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거나 수소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그린수소 사업개발 기회를 포착하고 발전방안을모색해나갈­것”이라고 밝혔다.

 ?? [이미지=SK에코플랜트] ?? SK에코플랜트의‘그린수소밸류체인’개념도
[이미지=SK에코플랜트] SK에코플랜트의‘그린수소밸류체인’개념도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