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유럽해운공룡,아시아항로서‘부산항패싱’…국내해운업계‘초비상’

내년출범앞둔머스크해­운동맹한·일·대만항구기항지제외시­켜세계의공장떠오른동­남아낙점국내해운산업­도미노타격우려

- 김혜란기자khr@

글로벌 해운 업계가 주요 교역 대상국인한국과일본을­제치고동남아시아를새­로운파트너로점찍으면­서국내해운산업이큰타­격을입을수있다는우려­가 나온다. 거대해운공룡탄생을알­린 제미나이 협력(이하 제미나이)이 유럽~아시아 노선에서 부산항을 거치지않을 거라고 밝혀환적물량 확보에어려움을겪게되­면서다.

25일업계에따르면덴­마크머스크와독일하팍­로이드가맺은해운동맹­제미나이가내년2월출­범이후유럽~아시아항로에서는 한국 부산항과 일본, 대만등을거치지않겠다­는계획을밝혔다.

이번 계획은 기존 항구들을 통폐합해19개기항지­와환적허브로운영한다­는 게 골자다. 제미나이는 아시아~유럽의기항지축소로고­객들에게90%이상의높은정시율을제­공한다는방침이다.

제미나이의 새 계획에 따르면 환적허브에는 말레이시아 탄중 팔레파스항을 포함해중국 상하이항과 닝보항, 싱가포르항등이이름을­올렸다.

이때 부산항과 홍콩항, 가오슝항 등은 제미나이의 유럽~아시아 기항지와환적 허브에서 빠졌다. 대신 부산항의아시아~미주, 아시아~중동 직항기항은유지될전망­이다.

일각에서는머스크가‘세계의 공장’이되고있는 동남아 잠재화물 수요를 흡수하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고 보고있다.제미나이의새계획엔머­스크가지분 투자한 말레아시아 탄중 팔레파스항을 유럽으로 가는 주요 길목의 허브항으로 만들고, 그 주변국의항만은보조 역할로 만들겠다는 의도가 있다는분석이다.이외에도머스크는 3년간 5억달러이상을 투자해동남아 내물류사업을 강화한다고 밝히는 등 동남아 글로벌통합전략을가속­화하고있다.

그간 부산항 유럽무역 노선은 머스크와 스위스 MSC의 2M 얼라이언스가4개, 하팍로이드가 속한디얼라이언스가5­개를운영하고있었다.그러나 2025년이후 2M이 해체하고, 하팍로이드가디얼라이­언스를 떠나면서유럽~아시아항로에서부산항­이기항지로서의역할을­잃게됐다.

기존에는머스크와 하팍로이드등이부산신­항에서환적을했다.그러나앞으로는 제미나이가 기항지로 점찍은상하이항,닝보항에서환적을한후­자체피더선을이용해주­변국을거쳐유럽으로갈­예정이다. 피더선이란 대형컨테이너선박이기­항하는중추항만과인근­중소형항만간에컨테이­너를 수송(피더서비스)할때쓰이는중소형컨테­이너선박이다.

동북아 환적허브를 꿈꾸며 신항만을 건설해온 부산항으로서는 큰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부산항의환적물량은 지난해기준 전체의 53.6%를 차지할만큼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부산항의 환적물량은 2004년 425만TEU(1TEU는 20m짜리컨테이너1­개)에서지난해에는 3배인 1214만 TEU를 기록해세계2위글로벌­환적항이자 세계7위컨테이너항만­으로이름을올렸다.

부산항은 크게 수출입물량과 환적물량으로 나뉜다. 수출입물동량은 국내경제나 산업규모 등의영향이커사실비약­적인증가를기대하기어­려웠고,유럽항로증가로환적물­량을높이려고했다. 그러나 갑작스런 해운 산업개편으로변화를맞­게됐다.

부산항의환적물량이줄­게 되면 터미널운영사의수익성­악화도 불가피해진다.현재HMM, PNC(부산신항만주식회사), 한국허치슨, 한진등이부산항에서터­미널을운영하고있다.

구교훈 한국국제물류사협회 회장은“부산항에 기항하는 글로벌 선사 수가줄어들면부산항에­서출발하는우리나라화­주들은운임을더높게주­고쓸수밖에없게돼 수익성이 떨어질 수 밖에없다”며 “여기에 더해 하역, 도선, 예선,선박 수리등관련산업이줄줄­이타격을입을것”이라고 우려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