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인공지능시대핵심기술­로떠오른GPU…그래픽넘어AI가속까­지

미국,엔비디아등GPU기술­선도현실과같은고품질­그래픽구현유럽은고성­능AI반도체주도권중­국,데이터센터용GPU급­성장NHN클라우드,전력효율개선최고성능­GPU중단없이운영

- 선재관기자seon@

최근 몇 년간 GPU(Graphics Processing Unit)는 그래픽 처리의영역을 넘어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역할을 하며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함께 최고의 프로세서로 손꼽히고 있다. 이는 GPU의 뛰어난 병렬 처리 능력과 높은 효율성에 기인한다. 특히, GPU는 그래픽 처리의탁월한 성능을바탕으로게임산­업을이끌어왔다.

그러나 최근 몇년동안 GPU는 그래픽처리뿐만아니라 다양한분야로확장되어­왔다.

이는 GPU의 높은 병렬 처리 능력이빅데이터분석, 인공지능(AI), 자율주행자동차, 의료영상처리등다양한­분야에서필수적으로요­구되기때문이다. 특히,인공지능분야에서는G­PU가머신러닝알고리­즘의핵심요소로인정받­고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혁신적인 기술과서비스가탄생하­고있다.

현재 GPU 기업들은 그래픽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레이트레이싱(Ray Tracing)과 같은 고품질그래픽 기술을 개발해 현실과 같은 그래픽스를구현하고있­다.

또한GPU는데이터처­리능력을향상시켜다양­한분야에서빠른속도와­뛰어난성능을발휘하고­있다.이러한기술적진보는새­로운산업을창출하고기­존산업을혁신시키는데­중요한역할을한다.

특히, 엔비디아(NVIDIA)를 중심으로 하는 GPU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을선도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그래픽 처리 능력과 머신 러닝 알고리즘 실행을위한 AI 가속을 통해데이터센터및개인­용컴퓨터(PC) 시장에서강력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AMD나 인텔(Intel)과 같은기업들도 GPU 기술을통해새로운시장­을공략하고있다.

그러나GPU산업은여­전히많은도전과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국내기업들은해외­기업들과의기술적경쟁­과자금적 제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하지만, 국내기업들은 레이트레이싱기술과같­은새로운기술을개발하­고세계시장을공략하기­위해노력하고있다.

세계 GPU 산업의 현황과 전망…미국,유럽,중국,한국사례분석

미국은 GPU 기술분야에서세계적인­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엔비디아는 뛰어난 그래픽 처리 능력과 머신러닝알고리즘 실행을 위한 AI 가속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센터및 PC 시장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율 주행자동차와 같은새로운시장에도진­출하여글로벌시장을선­도하고있다.

엔비디아의주력제품인 그래픽카드는 레이 트레이싱과 같은 고품질 그래픽 기술을 통해 현실과 같은 그래픽스를구현할수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다양한 산업에적용할 수있는 기술을 개발해시장을선도하고­있다.

유럽은 새로운 기술과 벤처 기업의발전이 돋보이는 지역 중 하나다. 특히RISC-V CPU 기술을중심으로 한 독일의 코다십(Codasip)과 영국의그래프코어(Graphcore)는 GPU 산업에서 기술적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 기업은높은성능을가진­데이터센터용 고성능AI 반도체를 개발해 시장을 주도하고있다. 또한 유럽의 벤처 기업들은 정부지원을 받아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노력을기울이고있­다.

중국은최근몇년간 GPU 기술분야에서빠르게성­장하고있는 국가 중 하나다. 상하이루바타 코어엑스(Luvatar CoreX)와 메타엑스(MetaX)를 비롯한다양한 GPU 기업들이자국 기술을 바탕으로데이터센터용 고성능 GPU를 개발해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7nm 공정을기반으로한 GPGPU(병렬컴퓨팅) 반도체 칩을 개발하여중국내 GPU 기술을 선도하고 있다. 이러한노력을 통해 중국은 글로벌 시장에서더욱큰영향력­을행사하고있다.

한국은 GPU 산업에서 기술적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GPU 전문 팹리스 기술을가진실리콘아츠­와같은기업들과AI 반도체를 주력으로 하는 퓨리오사

AI, 리벨리온, 딥엑스, 디퍼아이등이있다. 이들 기업은 레이트레이싱을 비롯한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국내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또한,정부는 GPU 산업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있으며, 국내 기업들의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기업들은 아직해외기업들과의기­술적경쟁에서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위한노력이필­요하다.

위치한국가 AI 데이터센터, NHN클라우드 2.0 시대를선도

NHN클라우드는지난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주광역시가 추진하는‘인공지능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조성사업’에서클라우드인프라구­축과운영사업자로선정­돼광주광역시첨단3지­구인공지능중심산업융­합집적단지내에국가A­I데이터센터조성에돌­입했다. 2년여간건설과정을거­쳐올 4월데이터센터건물사­용승인후 인프라, 장비설치와시범운영등­을진행하고작년10월­부터정식운영을시작했­다.

NHN클라우드는 국가 AI 데이터센터에서초고성­능 GPU의무중단운영을­위해 전력 공급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전력효율을 극대화했다. 서버 랙(Rack,서버-통신장비 등 시스템 구성 장비를보관하는 틀) 당 전력밀도 15㎾를 도입해 AI 특화 데이터센터로서 GPU 서버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이는국내데이터센터의­평균전력밀도보다3배­높은수준이다.

NHN클라우드의국가 AI데이터센터는 기업, 연구기관, 대학등에 AI 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컴퓨팅 연산능력88.5PF, 저장 용량 107PB 규모의인프라를 갖춘 글로벌 상위권수준 초고사양데이터센터라­는점에서특징적이다.

NHN클라우드는 판교 데이터센터(NCC1)를 10년이상운영하며얻­은클라우드서비스전문­데이터센터운영경험을­녹여국가 AI 데이터센터에고밀도전­력,효율적소비전력설비를­구축했다.

먼저초고성능GPU의­무중단운영을위해 전력 공급 최적화 기술을 적용해전력효율을극대­화했다.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NHN클라우드의 2.0 전략의핵심부분으로,클라우드 서비스 및 AI 인프라 시장에서의성과를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NHN클라우드는이를­통해 AI 2.0 시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AI 인프라 시장을선도해나갈 계획이다.

이 국가 AI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수준의초(超)고사양을 자랑한다. NHN클라우드는클라­우드서비스분야에서1­0년 이상의노하우를 쌓은 데다가, 이번프로젝트에최신기­술과 혁신적인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투입했다. 결과적으로이데이터센­터는초고성능GPU와 효율적인 소비 전력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이를통해안정적이고효­율적인운영이가능하게­되었다.

뿐만아니라NHN클라­우드는이번프로젝트를­통해글로벌파트너와의­협력을강화하고있다.유럽CSP지코어(GCore)의정현용지사장은이번­프로젝트에대한긍정적­인평가를내놓으며NH­N클라우드와의긴밀한­협력을약속했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NHN클라우드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AI 인프라시장에서두각을­나타내고있다.

김동훈NHN클라우드­대표는“NHN클라우드는개발­부터운영,서비스제공까지 ‘AI 생명 주기’ 전방위에서영향력을 펼치며 AI 인프라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며“강력한 AI 데이터센터를중심으로 AI 2.0시대에 적극 대응하며 AI인프라 시장을이끌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