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은행들의상생금융이대­로괜찮을까?

- ›፮жw٦Ԗ김용진서강대­경영학과교수

최근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을 비롯한 경제주체들이 고물가·고금리·저성장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고 있다. 이에반해은행들은 고금리기조가 지속되면서예대마진증­가로 사상 최대영업이익을 향유하고 있다. 우리나라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2022년 39조원의 영업이익을 거뒀고 작년에는 41조원의이익을 시현했다. 이러한 은행을자회사로 가지고 있는 5대 금융그룹의 지난해당기순이익은 약 17조2000억원으­로 은행비중이82%를 차지한다.

이런상황에더해은행들­이자금중개기능에대한 정부 인가(은행법)를 통해예금을 수취하고 자금을 대출하는 독점적 권한을 갖고있다는 점이최근 부각되고 있다. 이에따라규제차익인독­점이익일부를사회에환­원해야한다는목소리도­높아지고 있다. 국회에서는횡재세관련­법안이발의됐고,언론들은은행이영업이­익을사회적책임과상생­보다는내부임직원성과­급으로활용하고있다는­비판을제기했다.

이에따라정부는금융기­관의사회적역할강화를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있고, 은행들도올해경영전략­의최우선목표로상생금­융을제시했다. 은행들은 상생금융 전담부서 신설,상생금융 기금 조성,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출이자 감축 등을 통해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노력하고있는것으­로보인다.

여기서몇가지고민해야­할문제들이있다.첫째는은행의역할이다. 은행은원래예금을받고 대출을 해줌으로써수익을 올리는 것을그 역할로 하고 있다. 다시말해 자금중개를통한 이자장사가 원래의목적이라는 것이다.그런데원래목적인이자­장사를해서돈을버는 게 나쁘다고 말하는 것은 자본주의 원리상맞지않다.

둘째는 현재 전체수익중 약 94%를 이자이익에 의존하는 은행들에 비이자수익을 확대하라고 강요하면경험과 지식부족으로인해우리­가 경험했던다양한파생상­품불완전판매나투자손­실을또겪을수있다.

셋째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 고객들이요구하는 신용대출이나 장기대출을 늘리면자본리스크가 높아진다. 이로인해은행들이BI­S(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규제 제도를 맞출수없거나대손충당­금적립제도등에따라훨­씬 더 많은 적립금을 쌓아야 하고, 기회이익을상실할가능­성이높아진다. 이때비용은대부분고객­들이부담해야한다.

그렇다면 은행들은 상생금융 문제를 어떻게바라보아야할 것인가. 중소기업들과 소상공인들이은행의중­요한 고객인만큼 은행은소비자를보호하­고소비자후생을늘리는­방향으로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객친화적프로세스를­만들고효율화하는것을 상생금융의핵심으로 봐야 한다. 즉, 기업과고객관계에서은­행은중소기업문제를자­신들이가진규제의틀안­에서가장효율적으로풀­수있는방안을찾아야한­다는것이다.

예를들어금리를깎아주­거나탕감해주는대신 은행들이 중소벤처기업 활성화 기금을출연해 민간 모태펀드에 출자하고, 이를 중소기업 구조조정이나 벤처 투자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등 국책기관들과 함께 P-CBO(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등을활성화해중소기업­용 자금을조달하고배분하­는방식을확대할필요가 있다. 이에 더해 컨설팅, 신용평가, 기술평가 등 역량을 확충해 기술금융을 확대하는등보다다양한­상생금융아이디어를만­들어기여해야 한다.

지금경제상황에는상생­금융과같은생태계확충­형금융이꼭 필요하다. 또한이같은금융권의노­력을정당하게평가할수­있는방안을도입해운영­할필요성도있다.은행의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금융의 확장을 통해은행과 소상공인·중소기업이함께성장할 수있기를기대한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