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전고체배터리도밀린다…일·중2027년양산,한국은2030년가능

저사양LFP배터리접­는추세앞선도요타지난­해특허11건중국CA­TL·BYD손잡고개발한국,저가매달릴때판뒤집혀

- 김성현기자minus­1@

국내배터리기업들이저­가형 LFP(리튬·인산·철) 양산을 시작도 하기 전에글로벌배터리트렌­드가뒤집어졌다.

급격한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과함께공정효율화­가이뤄지면서글로벌배­터리기업들이더이상은 저가형배터리 경쟁이 아닌 고사양 배터리 경쟁으로노선을변경했­다.

한·중·일 3국 중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에서 가장 뒤처진 일본은 도요타의‘전고체 배터리’ 개발로 단숨에선두주자로 뛰어오를 발판을 마련했다. 중국은 세계 1, 2위 배터리 기업인 CATL과BYD가 잠시 가격경쟁을 멈추고, 전고체배터리개발을위­해손잡았다.

2027년부터는 기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와 비교해 2배 높은 성능을 가진 전고체 배터리가 상용화될전망인데, 국내배터리기업의전기­차용전고체 배터리 양산은 2029년에나 가능할전망이다.

27일 배터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지난 1월 출범한 전고체 배터리협력 혁신 플랫폼(CASIP)에는 CATL, BYD,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tech), Nio 등을 포함한 중국 내 산·학·연이대거포함됐다.

중국 정부 주도의 배터리 개발 컨소시엄인 CASIP의 1차적인 목표는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서일본을 따라 잡는것이다. 앞서일본의 완성차 기업 도요타는지난해9월1­회충전에1200km­를주행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을공개했다. 충전속도도 NCM이나 LFP보다 최대 2배 가량 우수하다는 것이 도요타측의설명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지 양극과 음극사이에전해질을 기존액체에서고체로대­체한차세대배터리로, 고체전해질이라는 특성때문에높은 안전성을 자랑한다. 도요타는 2027년 차세대전고체배터리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요타의 전고체 배터리 양산은 글로벌 배터리업계의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는전망이나온다.

글로벌 배터리 업계가 저사양, 저가배터리 개발에서 고사양 배터리 개발로 눈을 돌린것은 급격히하락한 배터리원자재가격이원­인이다.국내배터리기업들이 주력으로 하는 NCM 배터리는 니켈, 코발트,망간등고가의원자재를 사용한 만큼 제조비가 높았다. 이에대한 대안이 코발트와 망간을 제외한LFP다.

하지만코발트와망간을­비롯한이차전지소재가­격이지난 2년간 폭락하면서배터리가격­은지난해여름과비교해­올해초 40% 가까이 떨어졌다. 올해여름까지배터리가­격은최대60%가량 떨어질것으로 전망되는데,이로인해값싼LFP배­터리의필요성이낮아지­게됐다.

실제지난 26일기준코발트가격­은 t당 2만8330달러로 최근3년고점이었던2­022년 3월 t당 8만2700달러와 비교해65.74%가 하락했다. 배터리 주요 소재중하나인수산화리­튬의3월 셋째 주(3월 18일~22일) 가격은 t당 1만11442달러로­전년대비69.9%가 줄었다.

이 같은 배터리 원자재 가격 하락은올해하반기까지­이어질것으로관측되고 있으며, 전기차 가격의약 3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 폭락은 전기차 판매 증가로 이어질 것이라는 게 시장의전망이다. 중국과 일본이 2027년 양산을 목표로 고사양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열중인 가운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은후발주자로언­급된다.

당장 삼성SDI가 도요타와같은 2027년전고체배터­리양산계획을발표했으­나,전기차에탑재될수준은­2030년에나가능할­것이라는게배터리업계­의분석이다.또양산된전고체배터리­가초기에는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에만 제한적으로탑재될것이­라는데무게가실린다.

실제LG에너지솔루션­은전고체배터리의완성­도를언급하면서전기차­용전고체 배터리 양산은 2030년에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SK온은 2029년 양산을목표로제시했다.

전고체배터리관련특허­기술에서도일본이 국내 기업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정보포털키프리스­에따르면 도요타는 지난해약 11건의 전고체배터리관련특허­를 출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총 4건의관련 특허를, SK온은 2건, 삼성에서는삼성전자와­삼성SDI가 각각1건의특허를출원­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