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검역풀어‘금사과’잡겠다?…요동치는농심도돌아보­길

- 서진교GS&J 인스티튜트원장

최근 하루가 멀다하고 언론에 오르내리는이슈가 ‘금사과’ 이야기다. 작년이맘때만 해도개당 2000원도 하지않던후지 사과(상품) 소매가격이 3000원을 넘었으니 서민 가계에 부담이아닐 수 없다. 더욱이 총선을 앞두고 서민들의 장바구니 체감 물가가 떨어지지 않으니정부가연일과일­값안정대책을만들어내­느라 정신없다.그나마이번주들어납품­단가지원과 할인지원 확대등 정부의대대적인 물가안정대책으로사과­소매가격이하락세로돌­아섰다니다행이다.

필자가 보기엔앞으로사과 가격이더오르기는 어려울 것 같다. 물론 조생종 사과인 쓰가루(아오리)가 나오는 7월까지는 사과 가격이예년보다 높은수준을유지할 것이다. 그러나 8월부터홍로가 출하되고, 9월에는 후지사과가본격출하되­니시간이갈수록작년수­확기에저장한 사과의가치는 하락할 수밖에없다. 저장 사과는 6월이 지나면맛도 떨어져자연스레소비자­의손은복숭아나참외, 수박, 딸기등으로 옮겨지고 사과 수요도 자연감소한다. 사과저장업체나유통업­체도이점을잘알고 있다. 결국 4월과 5월이 고비인데, 앞으로두 달 동안 저장 사과 시중 공급량이 생각만큼크게부족할것­같지는않다.

우리나라의연간 사과 소비량은 50만톤 정도다. 식용 소비는 약 45만톤 수준이고, 주스나 잼 등 가공용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사과가 약 3~5만톤이 소비된다. 사과 소비성수기인 추석과 설이 있는 달에는 6만톤 내외의사과가 팔린다. 따라서 추석과 설이 있는 달을 빼면 월평균 신선 사과 소비량은 대략 3만3000톤 안팎이다.

작년사과생산량이약 39만톤이니평년소비­량 50만톤 대비 11만톤이 부족하다. 그러나가공용 4만톤 정도를 빼면 식용 소비부족량은 7만톤 내외다. 정부가 가공용 사과 수요를수입산 냉동 사과와 기타 냉동 과일로 대체할것을 장려하고 있어신선 사과의가공용으로이용­은 상품성이 극히 떨어지는 일부 사과에국한되고 그만큼 식용사과의 공급량이 늘어난다. 못난이사과가 시중에많이보이는 것도이때문이다.한편비싸진가격때문에­사과소비도 일정 부분 감소한다. 향후 두세 달 신선사과 공급 부족량은 생각만큼 크지 않을 수있다는말이다.

결국 사과 가격급등에 따른 소비 수요 감소, 점차 출하가 늘어나는 참외와 딸기, 수박,거기다가 저렴하게 공급되는 수입 오렌지 등을종합적으로생각해­보면앞으로사과가격이­더이상오르기쉽지않을­것이라는예상은가능하­다. 실제지난 2011년의 사과 생산량은38만톤으로 2010년 46만톤 대비약 20% 감소했으나,이듬해사과가격은12% 오르는데그쳤다. 사과 소비 감소 및 대체 과일의 공급과무관치않다.

문제는올해사과 생산이다. 작년과같이개화기 저온 피해, 여름철 폭우 및 탄저병 발생등으로 2년 연속 생산량이 감소한다면 사과가격은 추석을 맞아 급등할 수 있다. 따라서올해사과생육관­리가매우 중요하다.근본적으로는기후변화­에대응한안정적생산체­제를구축해야 한다. 여기에는 필히재배기술과 품종개량은물론인력고­령화에따른첨단기술의­접목이포함되어야한다.

한편이번 ‘금사과’ 논란과 관련하여식물검역을풀­어사과를수입해야한다­는주장또한유감이아닐­수 없다. 일반적으로 생과실이나열매채소는­과실파리와 코드린나방이라는해충­이있으며, 바나나에는바나나뿌리­썩이선충이 있다. 특히사과에는 과실파리류, 잎말이나방류등이있어­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유해병해충이국내유입­되면매년방제에수백억­원이들어감은물론다른­과일에도피해를 주고,우리의 과일 수출도 어려워진다. 개별 과일마다 그와 관련된 특정유해병해충이 있고, 과일별검역조건이다를­수밖에없음은 당연하다. 그런데도포도는수입되­는데왜사과는수입금지­냐는 주장은 검역에대한 이해가 너무부족한결과일것이­다.

검역에오랜시간이소요­되는것도 8단계에이르는 위험평가과정에서수출­입국 서로가검역자료를 교환해 과학적 검토를 하기 때문이다. 특히우리가 요구한 자료를 상대국이제공하지않으­면검역절차를진행할수 없고, 검역은 무한정 늘어진다. 이런 이유로 위험평가는통상 7~8년 이상이 소요되며, 때로는 더길어질수도 있다. 제주감귤이뉴질랜드에­수출되기까지 23년이 걸렸다는 점은 검역의 특성을이해하는좋은예­다.

또한 검역을 위장된 수입제한 조치로 이용하거나 고의로 위험평가를 지연하면 그 자체로WTO협정위반­이다.실제위험평가를불필요­하게지연하여 WTO 패널에서패소한 예도적지 않다. 따라서검역과정을 수입제한으로활용하거­나 인위적으로 지연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검역은동식물및인­간의건강과병해충의유­입방지를 위해과학적근거를 토대로운영되는 것으로, 검역이외다른요소가끼­어들어검역본래취지를 훼손하는 것은 금물이다.

올해초부터지금까지거­의매주 사과 가격이 언론에 빠지지 않고 있다. 과연 향후 사과가격이급락했을 때도 지금처럼온 언론이나서서급락을지­적하고정부가대대적인­가격안정대책을 내놓을 것인지 궁금하다. 소비자가중요하듯 국민 먹거리를 책임지는 생산자도똑같이 중요하다. 소비자와 생산자와 모두를균형있게바라보­는시각이아쉽다.

저온피해·탄저병으로생산량감소…기후변화대응생산체제­구축해야사과는왜수입­금지?…유해병해충유입되면우­리과일수출도어려워정­부,연일과일값안정대책…먹거리책임지는생산자­도똑같이중요

▷고려대 농업경제학과 ▷미국 메릴랜드대자원경제학 박사 ▷대외경제정책연구원선­임연구위원

 ?? [연합뉴스] ?? 2019년 9월 24일 전북장수군청앞주차장­에사과값폭락에항의하­는농민들이쌓아둔사과­상자가놓여있다.
[연합뉴스] 2019년 9월 24일 전북장수군청앞주차장­에사과값폭락에항의하­는농민들이쌓아둔사과­상자가놓여있다.
 ?? [연합뉴스] ?? 서울의한 전통시장에작황부진등­으로 가격이오른 사과가 진열돼있는가운데한시­민이사과를둘러보고있­다.
[연합뉴스] 서울의한 전통시장에작황부진등­으로 가격이오른 사과가 진열돼있는가운데한시­민이사과를둘러보고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