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달라진주총,‘한국기업르네상스’열길

- 한지연산업부차장

“관계 개선의 첫 단추는 자기 반성입니다.실수를인정하지않는데­발전할리없잖아요?주주들은빚독촉꾼이아­닙니다. CEO가 앞장서서자기반성의시­간을 갖고,저평가원인을분석한뒤­개선책을발표하는건분­명과거와달라진 분위기죠. ‘밸류업’을 통해 기업과 주주모두윈윈한다면부­국강병(富國強兵)의길이열리는거아니겠­어요?”

A기업 주총장에서 만난 70대 노신사는“막말과 고성, 대답 회피하기 등으로 얼룩졌던주총장 분위기가 달라졌다”면서“요즘 같아선 주총장 올 맛이 난다”고 했다. 1997년IMF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 등으로인생에서세차례­크게넘어졌다는그는 “앞으로는 새로운 세대인MZ주주들이더­활발한 주주참여문화를 만들어갔으면한다”며웃었다.

이른 아침부터 쏟아진 장대비에도 A기업주총에는 성별과 연령을 불문하고 약 200명의 주주들이 참석했다. 반도체 소재를 만드는 A기업은 최근 2년간 주가가 50% 이상 빠져주주들의원성이자­자했는데, 막상주총을끝낸이들의­표정은 밝았다. 한 30대 주주는“나름대로분석한기업의­저평가원인과 CEO의시각을 비교해보고 싶었는데오늘 해결했다”면서“궁금증도 풀고미래방향도들을수­있어서불안이확신으로­바뀌었다”고 했다.

한국거래소에상장된기­업은 코스피, 코스닥을 합쳐모두 2584개에 달한다. 한국 경제의주인공인이들기­업은그동안인색한주주­환원 탓에 “상장만 하면 ‘을’에서 ‘갑’으로 돌변한다.” “한국장은호구나한다”는비판에시달렸다. 실제 최근 10년간 한국 증시의주주환원율은 29%(KB증권)에 불과해, 같은 기간미국 92%, 유럽등 선진국(68%)은 물론중국(32%)에도 크게못 미친다. 이런현실에한기업 관계자는 “오래 투자한 주주들은 기업과인생의동반자라­는 공식이 성립해야 하는데한국기업들은주­주와이익을 공유하지않다보니 꺼리는 것 같다”면서 “기업들이 상장을‘발전의 툴’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와 인식개선이시급하다”고지적했다.

주가는 기업의 피를 돌게 하는 혈류다. 한국기업에대한투자가­늘어나면기업은 비싼금융비용을 들이지 않고 투자를 지속할 수있고, 이는 결국 세상을 바꾸는 기술 탄생의원동력이된다. 그리고이런기업과 원천기술이늘어날때국­가경쟁력의선순환이가­능하다. 세계의자본이몰리는미­국기업을상대로힘겨운­싸움을벌이고있는한국­기업에게주가부양은필­수적과제다.이런어려움속에서‘한국증시=저평가의 늪’이라는 공식을 깨기위해정부, 기업이변화를시도했다­는점은긍정적이다.

물론 아직 갈길이 멀다. 세제상 인센티브강화 등 보완할 점이 많다. 기업들은 주주환원 증가액에 따라 법인세 완화, 대주주에 대한증여및상속세완화­등을요구하고 있고,주주들은체감 혜택을위한 배당소득세완화등을 주장한다. 정부는 이같은 의견을 수렴해 5월께 밸류업 최종 가이드라인을 발표할예정이다. 하반기부터는 밸류업 준비 기업을의무공시하고,밸류업기업지수를개발­해다양한 금융상품을 출시한다. 이자금들이기업에유입­되면한국기업들은한층­더밸류업될것이다.

이러한 변화의시도가 용두사미로 끝나지않으려면 지구력이 필요하다. 방향이틀리지않았기에­속도가더뎌도괜찮다고 본다. 한국증시의 활력이 떨어지면 기업의 사기도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뒤처질수밖에­없기때문이다. 기업, 주주들의참여로이뤄낸­밸류업이‘주주가치강화=기업경쟁력 약화’ 프레임을 걷어내고 K기업의 르네상스를열길 기대한다. 인구절벽, 생산성감소, 지정학적 갈등 등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2024년이 한국기업의질적성장을­이뤄내는첫단추가되길­희망한다.

밸류업통해기업·주주윈윈…변화시도세제혜택등보­완할점많아지구력필요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