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개성만점조각몸매에반­했다

- 시승기성상영기자sa­ng@

/푸조 408

국내 승용차 시장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세단이 양분한다. 왜건, 해치백은 설 자리가 없고 그나마 쿠페형 SUV가 작은 몫을 차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장르를 해체하는 발칙한 차들이 종종등장해 주목을 받는다. 완성차 업계에서는 이런 차를 ‘크로스오버(crossover)’라고 이름을 붙였다.

푸조가 지난해 출시한 ‘푸조408’은 유럽계 브랜드에서 나온 대표적인 크로스오버 차량이다. 역설적이긴 하지만 어느 범주로도 구분짓기 어려운 덕에 장르 해체라는정의에 가장 잘 맞는 차가 됐다. 지난 22일부터 나흘간 670여㎞를주행하며 푸조 408만의 뚜렷한 색깔을 엿볼 수 있었다.

푸조 408은이름에서보듯­SUV는 확실히 아니다. 푸조는 세 자리(세단·해치백) 또는 네 자리(SUV) 숫자로 모델명을 부여하는데푸조 408은 세자리숫자를 받았다. 소형 해치백인 308과 중형세단 508 사이에있으면서둘의특­성을조금씩섞었다.

외관은 앞서출시된 3세대 푸조 308과 상당히 흡사했다. 사자의 송곳니를형상화한 주간주행등(DRL)은 날카롭고 차체 색상과 검정색이 촘촘하게 반복되는 라디에이터그릴은 강렬한인상을 줬다. 뒷모습은 사자 발톱을 나타낸리어램프(후미등)에서 브랜드 정체성이잘드러났다.

전체적인 형상은 마치 칼로 깎아낸듯했다. 전후좌우 사방에짙은 선과 각진 면이 도드라졌다. 이러한 모습은 푸조 408 시그니처색상인옵세션­블루와가장잘 어울렸다. 이색상은 보는 각도나 빛의양에따라 푸른색으로 보이다가도어떨땐녹색­에가까웠다. 색깔 하나는 정말 잘 뽑았다 싶다가 행여긁기라도 하면 도색하기 만만치 않겠다는걱정이들었다.

실내는 영락없는 푸조였다. 다른 브

세단인듯SUV인듯

랜드 차량보다작고유달리낮­게자리잡은 운전대는푸조만의 상징이다. 운전자를중심으로배치­된중앙디스플레이와조­작부, 직선과 곡선이 적절히 조화를이룬대시보드는­시각적인만족감을주기­에 충분했다. 푸조 차량의상징인 피아노 건반 버튼은 새롭게 다듬어져 계승됐다.

운전석에 앉았을 때 느낌은 익숙하진 않았다. 눈높이가 세단보다는 높고SUV보다는 낮아서인 듯했다. 그러나계기반과 운전대 위치가 낮아 시야가탁 트였다. 좌석은 중형급 이상 차량보다 확실히작게느껴졌는데­몸을꼭맞게잡아줬다. 덩치가큰사람은조금빡­빡할수있겠다.

중앙 조작부에서눈에띈곳은 ‘i-토글’이었다.인포테인먼트화면아래­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패널에서 전화, 공조, 스마트폰 연동, 미디어등기능을실행할­수 있다. 운전자가원하는대로구­성을 바꿀 수 있는데, 단순히바로가기

아이콘대신 그 자체를 공조 조작 패널로 바꾸거나 미디어 위젯으로 쓰는 등 활용도를 높이면더좋을것 같다.

푸조 408은 차체 크기가 국산 준중형 세단과 비슷하다. 그런데 용감하게도배기량 1.2ℓ, 그것도3기통엔진을넣­어놨다. 디젤 맛집으로 쏠쏠하게 재미를 보다 환경규제에못 이겨다운사이징(축소) 전문점으로 업종 변경한 모양이다. 1.2 가솔린터보엔진은앞서­푸조3008에 들어가 나쁘지않다는 평을 받았다.

처음 300㎞ 정도 탔을 땐 단점이 더많이 느껴진 게 사실이다. 엔진 음색이디젤차처럼거칠­고낮은 회전수(rpm)에서진동이 적나라했다. 엔진 소리야 흡음재를 더 쓰면 되고 진동은 엔진마운트라는 부품을 보강하면 될 일이지만그러면 무게가 늘어나고 결국은 더큰 엔진으로 가야 한다. 오히려초반 가속이나 고속 영역에서 밀어주는힘은큰문제가­없었다.

정차했을 때 시동을 자동으로껐다가출발할­때다시걸어주는차외관­은‘100점’

특정범주로구분짓기힘­든장르해체유럽‘크로스오버’어떤각도에서도매혹적­외관시그니처옵세션블­루MZ공략

ISG도 좀 아쉽다. 같은 기능을 탑재한다른 차들과 비교해 ISG가 작동할 때이질감이 크다. 작동 시점이 너무 빨라더부각될 수도 있겠는데, 차가 완전히멈추기전시속 3~5㎞까지 떨어졌을 때엔진이 멈춘다. 거의 정지할 듯하다 앞차가 출발해 다시 속력을 높이려면 제법크게울렁거린다.

반대로 엔진 체적을 줄인 덕분에 얻는 이점도 분명했다. 확실히 기름을 적게 먹는다. 시속 100㎞로 정속 주행하면 순간 연비가 ℓ당 20㎞ 이상을 꾸준히 보여줬다. 총 주행거리중약 40%는고속도로, 50%는 일반국도, 10%는 극심한 정체구간이었는데트립­컴퓨터상평균연비는ℓ­당 15.3㎞였다.

다운사이징효과는일반­적인운전자가 알아채지 못하는 곳에서 드러났다.급선회 구간에서 속력을 많이안 줄여도중심을잘잡고 갔다. 한마디로코너링이 좋다. 180도로 돌아나가는 곳을빠르게꺾었는데 ‘끽’ 하는 타이어소리가 안 났다. 내리막 곡선에서는 엔진무게때문에앞으로 쏠리며균형을잃어버리­곤하는데엔진이작아서­인지그런현상이없었다. ‘푸조 408’ 주행 모습. [사진=스텔란티스코리아]

이는 유럽과 한국 운전자 사이에호불호를가르는­요소로볼수 있다. 자동차 시장의오랜 통념에비춰보면푸조4­08의약점은유럽운전­자에게별문제가 아니고 강점은 한국 운전자에게 와닿지 않는다. 최근 한국에서 2030세대는성향이­기성세대와다르다는견­해가있다. 그래서인지푸조는 MZ세대를 타깃으로삼았다.

개성넘치면서매력적인­외관과 믿음직한 운동 성능에 비하면 공간에관한이야기는부­수적일듯하다. 넓지는않지만 좁지도 않다. 딱준중형세단 내지는소형 SUV 수준이다. 의외로 적재용량은기본 536ℓ로 동급 차량보다 큰 편이다. SUV의 활용성을 원하지만 낮게깔린차를원한다면­푸조 408이 제격이다.또 한 가지특징은 앞좌석마사지기능은 되는데 한국인이좋아하는 통풍 기능은없다는점이다.

국내에는 알뤼르(4290만원)와GT(4690만원) 두 가지로 판매된다. 기본 트림(세부 모델)인 알뤼르에서는 선루프와 자동 상향등(오토 하이빔), 차로유지보조,전동식트렁크, 마사지시트등이빠진다.

주행성능은‘호불호’거친엔진소리·큰진동아쉬워급회전구­간속력안줄여도무난작­동시점다소빠른ISG­이질감

 ?? ??
 ?? ??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