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코레일도못믿는‘우진산전차량’…최저가입찰,불량열차낳았다

- <관련기사 4면>한지연·권가림·김민우기자hanji@

지하철1호선,화재·지연운행등잇단사고에“투입지양해달라”공지업계“결함우회적인정”…비용논리에품질입증안­된전동차도입원인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우진산전에서 공급한 지하철 1호선 신규 전동차 투입을 가급적지양해 달라는 공지를 각 지역본부, 철도차량정비단 등 내부 조직에 띄운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화재, 지연 운행, 연착등최근잇따르고있­는 지하철1호선 안전사고 원인파악에따른 후속 조치로 철도차량에대한결함과 안전우려를 코레일이공식적으로 인정한 조치라는 점에서 파장이예상된다.

신규열차에서안전사고­가급증하는이유는저가­수주관행이뿌리깊기때­문이라고철도업계에서­는지적한다.무인고속철,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등고성능철도에대한수­요는늘어나는데정작시­민안전을지켜줄철도조­달시장은‘최저가입찰제’논리에매몰돼철도산업­경쟁력은물론시민안전­까지볼모로잡힐수있다­는지적이나온다.

28일아주경제취재에­따르면코레일은최근 ‘우진산전 1호선 410량 신규전동차운용에관련­된본사지침’을내부에공지한것으로­확인됐다.이내용에따르면코레일­은우진산전이제작한차­량에대해△가급적투입지양△특정구간운행△연속배차금지등3가지­사항을권고했다.코레일은‘우진차량은가급적동

인천~용산급행투입’ ‘병점이남구간투입 금지’ ‘특정제작차량연속투입­금지’등을 요청한다며, 해당 부서는 차량 운용에해당사항을참고­해달라고했다.

코레일은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차량 자체결함이아닌가선과­전압 불안전에따른 문제”이며“신규 차량인만큼구형차와 적절히 배치해 달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내용은코레일이 열차 결함에 문제가 있음을우회적으로인정­하는것이라는게업계공­통된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철도 전문가는 “선로전압보다더높은전­압이공급되는과전압불­안전이원인이면해당구­간은전차량 운행을 중단해야 맞는 조치”라면서“특정업체가새로공급한­열차만콕집어서투입을­금지하거나일부구간만­운행하도록하는것은해­당열차에결함이있음을­암시하는조치”라고지적했다.

최근 수도권 지하철 열차 사고는 급증하는 추세다. 철도노조가 자체조사한결과이달 9~15일 서울~인천구간 1호선 열차에서 크고 작은 화재사고가10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일에는 1호선 의정부역과 도봉역, 도봉산역에서잇따라열­차사고가발생해광운대~연천구간운행이지연된­바 있다.

열차사고증가는최저가­입찰제를채택한 노후 전동차 교체사업으로 인한당연한귀결이라는­시각이많다.코레일은 2022년부터 2025년까지 1조4000억원을 투입해전체중 40%에 달하는 노후 전동차 1012량을 신형 전동차로 바꾸는사업추진하고있­다.

문제는 철도시장 낙찰구조가 품질경쟁력이아닌최저­가 입찰제를 따르다보니 사업권 대부분이 기술력 검증이덜 된 중소업체에 돌아갔다는 점이다.실제우진산전은문제가­된지하철1호선 410량, 일산선 80량을 공급하는 데현재 각각 330량, 50량 공급을 완료했고 코레일은 지난해 말부터 신규 열차를운행에투입한것­으로알려졌다.

철도업계 관계자는 “특정 업체가 납품한열차운행이시작­되자마자안전사고가급­증했다는점을유의미하­게인식하고 대처 방법을 세워야 큰 안전사고를예방할수 있다”면서“이런 중소업체들은 완성열차 개발 경험이없어납품후 사고가 발생하는 원인 파악은 물론차량 인도, AS, 리콜, 신차교체등대처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비용논리에갇혀품질경­쟁력입증이안된열차를­우후죽순도입하다 보니결국 이로 인한 막대한 비용은 국민과 사회 전체가 치를 수밖에없는 비극이 반복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