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카카오‘정신아시대’개막… A·I쇄신방점

- 한영훈기자han@

정신아 대표(사진)가 이끄는 카카오가 정식 출범했다. 위기속 구원투수로나선 만큼, 등판과 동시에 전면적인 경영 쇄신 작업을 펼친다. 동시에 카카오의 ‘인공지능(AI) 중심 기술 기업’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갈것을예고했다.

카카오는 28일 제주 본사 스페이스닷원에서 제29기 정기주주총회를 열고정신아 카카오 대표 내정자 등에 대한이사 선임 안건을 의결했다. 정 내정자는주총후이사회­를거쳐카카오새대표이­사로 정식 선임됐다. 정 신임 대표의임기는 2년이다.

이번 인사에 대한 내부 평가는 나쁘지 않다. 창사이래첫 여성이자, 49세의젊은대표라는­점에서조직이미지에긍­정적인영향을줄것으로­보고 있다. 그간 출세 필수 요인으로 꼽혔던 서울대출신이 아니란 점에 주목하는 시각도있다. 1975년생인 정 대표는 연세대 불어불문학·경영학과를졸업하고,미국미시간대경영대학­원에서석사 학위를받았다. 직관적인 판단력을 바탕으로 일처리를진행한다는점­에서창업자인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과 유사한 성향을갖췄다는평가도­나온다.

정 대표는 취임과 동시에 대대적인‘조직 쇄신’ 작업에 착수한다. 이과정의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초부터 카카오쇄신 전담조직(TF)장으로 사내간담회인 ‘크루톡’을 열고 다양한 내부 의견을 들었다. 전문성을 갖춘 사내외이사도 신규 선임했다. 권대열 CA협의체환경·사회·투명경영(ESG) 위원장과 조임기2년창사이래첫­여성대표‘AI중심기술기업’정체성강화잡음많던조­직문화혁신나설듯

석영 CA협의체그룹준법경­영실장이사내이사로새­롭게이름을올렸다.

이들은 정 대표 옆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선진적 의사결정 체계 수립과 윤리 경영에집중한다. 권위원장은외부 커뮤니케이션과 위험성 관리, 조실장은법조관련영역­에서두각을나타낼것으­로기대된다. 사외이사로는차경진한­양대경영정보시스템전­공 교수와 함춘승 피에치앤컴퍼니사장이­합류했다.

정대표는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성장 공식’ 수립에 나선다. 지난해말부터많은 잡음을 일으켰던 조직문화를 효율적으로 바꾸는 게 출발점이다. 우선명확한의사결정을­위해불필요한단계를 없앤다. 조직과 직책구조도 단순화해책임과 권한을 명확히할 수있도록했다.

기존에 목적에 따라 흩어져있던 기술 역량을 결집해주도권역시한층 강화한다. 카카오의 사업 규모가 급격히성장한 점을 고려해 그에 걸맞은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단, 본사 중심의의사결정 체제를 수립하는 걸 전제로한다.

직원들에겐 ‘당근과 채찍’을 동시에제시하며 정 대표만의 색깔을 드러냈다. 사기를 독려코자 전직원에게1인당20­0주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부여하는 동시에, 근무 방식을 전면 출근제로 전환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있도록했다.

정대표의또다른과제는 ‘AI 경쟁력’확보다. 이를 실현코자 전사에 흩어져있던관련팀들을 모아 AI 통합 조직을꾸리기로 했다. 이조직산하에다양한생­성형 AI 기반 서비스를 실험하는 다수의조직을 만들어, 빠른실행과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도모한다. 카카오가 보유한 플랫폼 개발 경험에 최신 기술을 더해 ‘일상 속 AI’ 시대를 선도하려는의도다.

이상호전 SK텔레콤 최고기술책임자(CTO)도 최고AI책임자(CAIO)로 영입했다. 이 CAIO는 SKT AI 사업단장, 다음검색부문장,다이알로이드창업자겸­대표, 네이버 검색품질랩장 등을 역임한국내의대표적A­I·데이터전문가다.

정대표의 AI 이해도도 높은 것으로평가받는다.그는카카오벤처스대표­재임 시절 다양한 AI 스타트업에 투자했고, 성과로 이어져높은 이해도와 안목을입증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