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품질보다싼값…이달발생고장사고80%가‘우진’납품열차

최저가입찰제의그늘

- 한지연·권가림기자 hanji@

임기짧은코레일사장성­과경쟁…업체들,저품질중국산부품늘려­정부‘노후전동차교체사업’…검증안된중소업체들다­수수주우려사고많은업­체에페널티강화…기술·안전인증등입찰기준높­여야

하루 1000만명의 시민이 이용하는수도권 철도에서안전사고가 빈번하게발생하는 이유는 ‘최저가 입찰제’의 부작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철도는 화재, 탈선, 고장, 연착 등 일단 문제가 발생하면 시민들의 발이 묶일 뿐 아니라대형인명피해로­도이어질수있다는점에­서각별한주의가 필요하다.시민들의목숨을 담보로 운영되는 철도차량 시장이 품질과 기술력이 아닌 가격 논리에매몰되면서국내­철도산업경쟁력은물론 시민의안전까지후퇴하­고있다는비판이제기되­고있다.

◆열차사고 30건중 25건이 제조사…최저가 논리에갇힌한국철도시­장

28일 정부·철도업계 등에 따르면 국내 철도차량 시장은 정부가 유일한 발주처로, 수요가 제한돼 매우 폐쇄적구조를 지닌다. 철도시장은 국가계약법에따라 규격·가격 분리동시 입찰제, 일정기술기준을 통과한 후 통과자에 한해최저가 투찰자가 낙찰되는 2단계 낙찰구조로 운영된다. 기술 평가가 있긴 하지만 평가기준이모호한데다 최저점만넘기면 되기 때문에 무의미하고, 최종단계에서는어차피­가장 저렴한 가격을써낸업체가선택­된다는점에서‘최저가

낙찰제도’가 지배한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전언이다.

최저가입찰제의단적인­사례는 2021년 4월 부산 1호선 전동차 200량 교체사업입찰 평가 결과다. 당시입찰에참여한국내­3개제조업체는1단계­기술평가에서최소 기준인 85점을 모두 통과했지만 2단계에서 최저가를 적어낸 우진산전이최종낙찰자­로선정됐다.

최근 빈번하게발생하는 열차사고는철도업계의 ‘최저가 입찰제’ 관행과 무관하지 않다. 시장구조가 품질이 아닌가격경쟁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발주처마저정부로 한정적이다보니철도제­조사들이수익성악화에­내몰리면서도 저가 수주관행을끊을수없기­때문이다. 이는 결국 열차 품질의하향평준화와철­도사고증가로귀결될수­밖에없다는지적이다.

실제철도노조가 이달(9~14일) 발생한수도권전동차사­고를조사했더니총30­건의 사고 가운데 25건의 사고가 우진산전이납품한열차­에서발생한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80%가 넘는 수치다. 우진산전이납품한열차­에서는 SLV화재, 중고장, 과전류, 보조휴즈 고장, 통신장애등원인도다양­했다.우진산전은서울시가 2015년 전동차 경쟁입찰제도를 본격도입한 뒤가격경쟁력을 앞세워수주를 싹쓸이하며짧은 기간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현재철도시장은 1강, 1중, 1약 구도인데,우진산전이전체시장의­50%이상을차지하고있다.

◆최저가맞추려중국산 부품에의존

최저가 낙찰을 위해 낮은 품질의중국산 부품을 사용하다보니필연적으­로사고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주장도있다. 실제 위례선에 투입될 우진산전트램의 경우 차량의 기계·전기 분야 부품 34개 중절반가까이를중국에­서공급받는것으로알려­졌다.세계시장점유율 1위업체 중국중차(CRRC)로부터 조달받는부품이대부분­이다.

가장 저렴한 가격을 써낸 투찰자가시장을독식하­다보니국내철도차량업­체들의 저가 중국산 부품 의존도는 점점 심해지는 추세다. 한국무역협회에따르면 한국의 중국산 철도차량의 부품 수입액은 2018년 4206만2000달­러(약 567억9631만원)에서 지난해 6887만7000달­러(약 930억1838만원)로 5년만에 63.8% 증가했다. 지난해중국에서들여온­수입액은전체의46%에달했다.

문제는기술과품질이충­분히담보되지않은 업체들이 납품한 열차가 오는2025년부터 본격적으로시민을수송­한다는 점이다. 정부의 노후전동차 교체사업의대부분을품­질이검증되지않은중소­업체들이수주해간만큼­이들이납품한 열차가 운행되기 시작되면 크고작은 사고가 지금보다 더 빈번해질 수있다는우려다.

익명을 요구한 코레일 관계자는 “쉬쉬하고있지만 A업체열차는연속운행­하면 다운돼 배차간격은 물론 특정구간은운행하지않­는사고가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면서 “AS나 리콜 등에대한 구체적사안도 없고, 수리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않는 걸 보면 제조사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는것같다”고 귀띔했다.이관계자는“신규전동차운행이지난­해말부터시작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 안전사고는계속증가할­우려가있다”고 덧붙였다.

철도 전문가들은 품질에 하자가 발생한 업체를 대상으로 한 페널티를 강화하고 입찰 기준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강경우 한양대 교통물류학과교수는 “특정 기기, 특정업체에서지속적으­로문제가발생한다면그­동안의평가 관례에서 벗어나 기술, 회사의 재정능력, 부품 등의기준을 높여고사양의철도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며 “스펙과맞지않게설계하­거나지속문제를일으킨 곳에 대한 페널티도 강화할 필요가있다”고 말했다.

철도기술연구원과 코레일의 예산을높여전동견인기­와 제동시스템,윤축같은 핵심 부품의연구를 강화하고 입찰인증기준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이선하 공주대교수는 “철도의부품별문제를파­악해내구성을강화하기­위해서는연구원의 지속적인 실험이 요구된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공공성 강화를위해안전기준을­높이는방식으로철도경­쟁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레일의 사장이 3년 주기로 바뀌면서 철도를 낮은 단가에도입해경영실적­을 쌓은이후 책임지지않고물러나는­게가장큰문제”라며“이들이사고에대해서는­무책임하게방관하기때­문에 저가 수주 관행과 각종안전사고가끊이지­않는다”고 지적했다.

 ?? ??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