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중고유조·벌크선가격2배급등…국내선사들,배팔아재무개선

- 김성현기자minus­1@

중동리스크·에너지운반선부족금융­위기후중고선박가격최­고치팬오션등선박장사­로자금확보운임오른탱­크선사들도실적호전

중고 유조선·벌크선 가격이 2008년글로벌금융­위기이후최고치를기록­했다. 장기화한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지나치게낮았던 유조선 신조 선박 발주,글로벌에너지개발열풍­등이겹치면서에너지운­반선부족사태가일어난 것이원인으로분석된다.

특히지난 3년간 중고 유조선·벌크선가격은 두배가까이 뛰었는데, 이는 국내선사들의기업가치­상승으로이어질것으로 보인다. 또 석유제품 운반선의운임이 30년 최대치를 기록하면서탱크선사들­의실적개선이기대된다.

28일클락슨리서치에­따르면올해들어중고유­조선가격은 2021년 초와비교해 98%가 올랐다. 같은기간 중고벌크선가격은85%가증가한것으로나타났­다.이는2008년이후최­고가격이다.

건조한 지 5년 된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의 경우 2022년 약 7000만 달러(약941억원)를 기록했으나, 지금에와서는같은선박­이1억달러가넘는가격­에거래중이다. 10년이 넘은 VLCC의 가격도67%가량이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 초까지 5~10년 연령의 중고 유조선 가격이7~10% 인상된것으로나타났다.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최대크기의 벌크선인 ‘수에즈막스(재화중량 13만~15만DWT)’급 중고 선박의가격은 2022년 2월 4700만 달러에서현재8300­만 달러로올랐다.

10~15년 연령의 수에즈막스급 벌크선의가격도같은기­간 2배가 올랐으며,지난해 4분기부터 올해초까지 5~10년연령의 중고 벌크선의 가격도 12~14%가증가한것으로조사됐­다.

코로나19 대유행이후 컨테이너선과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에집중된글로벌 선사의 신조선박 발주로 인해 유조선건조량이지난해­까지사상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유조선의 주요 취항지인 중동 무력충돌 장기화로 운임은 올라가면서중고 선박을 찾는 선사들이 많아진 것이 가격 상승의 원인이다. 또 북해, 유럽,오세아니아등에서석유·LNG 등 대규모 자원개발 프로젝트가지난해부터­본격화하면서유조선·벌크선의수요는급증한­상태다.

이같은 글로벌해운 정세는 국내선사들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코로나19대유행­으로인한컨테이너선호­황기에도 재무구조 개선에실패한 탱크선사들이 선박 매각을 통해재무구조안정화를­꾀하는상황이다.

국내최대벌크선사인팬­오션은지난해총 7척의벌크선을 매각했으며, 올해도 비슷한 규모의 선박을 매각할 예정이다. 팬오션은 2026년까지 26척을 매각한다는계획이다.팬오션의매각대상벌크­선의평균연령은10년­미만으로전해지는데, 중고 선가의가격이2배가량­뛴만큼매각작업을통해­확보할수있는 재원은 당초의 예상치를 크게 넘을것으로보인다.

폴라리스쉬핑은 올해초 4척의 벌크선을 매각했으며, 초대형 광석선(VOLC)추가 매각을준비 중이다. 중고선박가격의인상에­따라 2000억원 이상의자금을확보할수­있을것으로보인다.

인수합병(M&A) 시장에서도 큰이변이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LNG상선, SK해운 등이 매물로 나온 가운데,지난해시장가격저평가­로매각이무산됐으나올­해는자산가치상승으로­인해예년보다는 높은 가격에 협상이 가능할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21~2022년선박에 투자했다가 올해 큰 이익을 본사모펀드(PEF)를 중심으로 중고 선박장사에관심이많은­것으로전해진다.

유조선·벌크선의올해수익성전­망도좋다.업계에따르면석유제품­운반선(PC선)의최근운임은하루 5만2140달러로3­0년최고치를기록했다.지난해와비교하면약6­0%가인상된금액이다.

높은 선가에 운임 상승이 더해져, HMM으로 대표되는 컨테이너선 중심의 국내 해운업계가 재편될 것이라는분석도나온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