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U Business Daily

서울시,폐원위기어린이집살린­다…‘동행어린이집’지정확대

- 김두일선임기자dik­im@

연내최대600곳으로­확대계획규모적은곳엔­보육교사지원6월부터­시간제어린이집도운영

서울시가 저출생으로폐업위기에­놓인어린이집살리기에­총력지원한다.서울은저출생으로영유­아수가현격하게감소하­면서 문을 닫거나 폐원 위기에처한 어린이집이 속출하고 있다. 지난2019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4년간 영유아 수는 43만8000명에서 31만8000명으로 11만명(27%)이나 줄었다.

하루 1개꼴로어린이집이문­을닫으면서 지난 2019년 동(洞)별 어린이집이평균 13곳이었으나, 지난해엔 10.4곳으로대폭 감소했다. 이때문에영유아 가정에서는 어린이집이 없어지지 않을지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원아가 줄면 보육서비스 질이떨어지지는 않을지걱정하고있다.

서울시는 저출생위기속 어린이집이폐원하면서­가정의돌봄공백이생기­지않도록폐원위기어린­이집에대한지원을올해­대폭 확대·강화한다고 28일 밝혔다.

현원감소로어려움을겪­는어린이집을연내최대 600곳까지 ‘동행어린이집’으로 지정해 보육서비스가 차질 없이제공될수있게교사­대아동비율개선사업등­시책사업을우선지원한­다.

시는어린이집간 거리가 200m 이상떨어진어린이집중­정원충족률이70%미만인 곳을 동행어린이집으로 선정할계획이었으나 영유아 가정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에더초점을 두고 선정요건을완화했다.

동행어린이집으로선정­된어린이집은원래예상­했던 207곳보다 2배 이상 많은 525곳으로 늘었고 연내 600곳까지확대할 계획이다. 동행어린이집은 교사대아동 비율 개선 사업, 서울형어린이집, 보조교사지원등시가시­행하는보육사업에우선­선정한다.

교사 대아동 비율 개선 사업은 525개 동행어린이집 중 519개에 지원한다. 1개 반 당 월 39만4000∼140만원을 지원받는다. 규모가 작은 동행어린이집에도 보조교사를 채용할 수 있도록 501곳에 보조교사, 보육도우미 등 보조인력1159명을 지원한다.

동행어린이집중 민간 어린이집이서울형어린­이집공인을받기를원하­는경우에는 공인요건을 갖출수있도록맞춤 컨설팅을 하고 재원 아동수(현원 11인 이상) 요건을 제외하는 특례를 적용한다.현재동행어린이집중7­0곳이서울형어린이집­신규공인을희망하고있­다.

어린이집의낡은환경과 불편한이용시설을 개선하기위한 환경개선비도 전액 지원한다. 지원금은 500만∼700만원이고 자부담(30%)요건을없앴다.

직장어린이집설치의무­가있지만 장소, 이용 수요부족등으로 설치에어려움이있는기­업에서위탁보육을추진­할때는동행어린이집을­우선연계한다.

폐원위기어린이집의유­휴공간과인력을활용해­일시보육을제공하는‘시간제전문 어린이집’도 오는 6월부터 시범운영한다. 폐원 위기 어린이집의 남는공간과 유휴 인력을 활용하는 것으로,해당 어린이집에다니지않더­라도 누구나필요할때시간제­로맡길수있는서비스다.

다음달부터동행어린이­집중정원충족률 30% 미만어린이집부터우선­시행한다. 또 컨설팅을통한보육현장­의상황과 지역의영유아 인구 구성, 양육자의필요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서울형맞춤형어린이집­운영모델’을 개발한다. 김선순 서울시여성가족정책실­장은“저출생 여파로 인한 어린이집 폐원이증가해영유아 가정의걱정이큰 상황”이라며“시는 전국 최초로 폐원위기어린이집에대­한 지원대책을 본격적으로추진해양질­의보육서비스가계속될­수있도록최선을다하겠­다”고말했다.

Newspapers in Korean

Newspapers from Korea, Republic